벼의 이삭을 떨어낸 ‘짚’은 쌀농사의 부산물로 전통문화에서 주거, 경작 등 우리민족의 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사람들은 오랫동안 짚을 이용해 지붕을 만들고, 신을 ...
벼의 이삭을 떨어낸 ‘짚’은 쌀농사의 부산물로 전통문화에서 주거, 경작 등 우리민족의 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사람들은 오랫동안 짚을 이용해 지붕을 만들고, 신을 만들어 신었으며, 멍석, 자리를 만들어 깔았으며, 망태기를 매고 다녔다. 생활 전반에서 짚은 유용한 재료로 사용되었고, 이는 짚과 관련된 생활어휘가 많이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러나 다른 전통문화와 마찬가지로 산업사회의 도래로 인해 많은짚과 관련된 생활 용품은 다른 재료로 대체되고 있다. 이는 관련 어휘사용이 줄어드는 것을 의미하며, 나아가 짚 관련 어휘가 소실 위기에처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거 농경사회의 산물인 짚과 관련된 어휘를 현장조사를 통해 수집, 정리하여 짚 관련 어휘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관련어휘의 DB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짚 관련 어휘 정리는 한국의 농경문화와 생활문화와 관련된 어휘장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 작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경북 성주지역의 짚 관련 어휘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지역 관공서의추천으로 지역 토박이면서 현재까지 짚공예 활동으로 하고 있는 제보자를 3인 추천받아 조사를 하였다. 조사는 문헌조사, 1⋅2차 현장조사, 보충조사 순으로 진행하였으며, 문헌조사를 통해 관련 범주를 질문지로 작성하고, 제보자들을 대상으로 민속지적 조사 방법을 통해 밀착조사를 실시하였다. 어휘 조사뿐 아니라 해당어휘의 음성자료, 사진자료, 영상자료를 함께 조사하여 DB구축을 위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짚 관련 어휘 조사 범주는 짚과 관련된 상위 명칭과 짚으로 만든 용품의 용도에 따라 대분류와 중분류로 나누었다. 대분류로는 ‘농사용품, 사육용품, 생활용품, 주거용품, 행사용품’ 등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중분류는 ‘개념, 건조, 도구, 먹이, 보관, 운반, 의복, 이동, 이방, 장례, 재료, 파종, 놀이, 부분명칭 등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해 145개 어휘자료, 제보자 강재희 씨의 생애구술, 어휘수집파일, 음성파일 분절 파일 등 녹음자료, 생애구술과 어휘 수집파일의 전사자료, 짚공예품, 도구, 제작과정 등의 사진자료와 영상자료 등을 확보할 수 있었다. 145개의 어휘자료 중 73개는 표준국어대사전 에 수록되지 않은 어휘도 있었다. 또한 짚 관련 어휘를 포함한 관용표현이나 속담표현도 수집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