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취업과 임금의 영향요인을 밝혀내기 위해서 인구사회학적 요인, 장애 요인, 인적자본 요인, 사회환경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직업재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586285
용인 :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1
학위논문(석사) --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사회복지학과(전) , 2011. 8
2011
한국어
경기도
vii, 92 p. ; 26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취업과 임금의 영향요인을 밝혀내기 위해서 인구사회학적 요인, 장애 요인, 인적자본 요인, 사회환경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직업재활...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취업과 임금의 영향요인을 밝혀내기 위해서 인구사회학적 요인, 장애 요인, 인적자본 요인, 사회환경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직업재활시설, 장애인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20세 이상 50세 미만의 지체장애인 350명을 편의표집(Convenience Sampling)하여 조사 설문지를 배부하여 최종 283부가 본 연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x²검증 등의 통계를 활용하여 산출하였다. 취업 및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서 상관관계분석과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여부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혼인상태에 있는 자가 혼인상태에 있지 않은 자 보다, 장애등급이 낮을수록, 중복장애가 없을수록, 직업훈련경험이 있을수록, 이동제한이 적을수록, 차별경험이 적을수록 취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형태 영향요인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정규직의 경우는 남자가 여자보다, 취업관련 자격증을 있을 때, 이전직장경험이 있을수록 정규직으로 취업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정규직의 경우에는 장애등급이 낮을수록,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이전에 직장생활을 경험했을수록 비정규직 취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금수준의 영향요인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남자가 여자보다,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가 아닐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장애등급이 낮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이전직장경험이 있을수록 임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취업 및 임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 하였다.
첫째, 장애인가구의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에게 최소한의 생활수준을 보장하는 사회적 적절성을 높이는 것과 근로동기를 약화시키지 않는 방안 사이의 딜레마를 해결하여야 한다.
둘째, 장애인 특수학교에서 장애정도에 맞는 교과과정이 개발되어 교육되어야 한다.
셋째, 장애인 직업훈련을 체계적으로 마련하여 장애정도에 맞는 직종 중심의 취업을 강화하여야 한다.
넷째,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유형개편은 장애등급 1, 2급의 중증장애인 중심의 유형개편이 되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influential factors about demographics factor, human capital factor, disabilities factor, social environmental factor in order to reveal employment and wages of person physically disabled. With Convenience Sampling, This study r...
This study analyzed influential factors about demographics factor, human capital factor, disabilities factor, social environmental factor in order to reveal employment and wages of person physically disabled.
With Convenience Sampling, This study recruited 350 a person with physically disabled persons whose age are more than 20 years of age under 50 years who located in the Gyeonggi Provinc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rehabilitation centers.
As analysis method of the present study,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s according to employment were caculated through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an average, x² 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to clarify influential factors employment and wages.
First, analysis of the influential factors employment.
it reavealed that married people showed higher employment rate than single people, and that the lower the disability rating, the more you do not have disabilities, had more vocational rehabilitation experience, a decrease of movement restrictions, The less experienced employment discrimination.
Second, analysis results of the influential factors related to the type of employment showed that, in case of regular employment, more men found the regular jobs than women, and when they had job-related qualifications, when had previous work experience. in the case of irregular employment, analysis result indicated that the lower the degree of disability, more subjective health status, higher educational level, had previous work experience.
Thrid, analysis results of the influential factors related to wage level showed that more men achieved higher wage level than women, and that are not reception subject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Higher educational level, the lower the disability rating, had previous work experience.
Based on this research can improve the employment and wage were proposed as follows.
First, the people in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with disabilities to ensure a minimum standard of living that enhance the social relevance and do not weaken the incentive plan must resolve the dilemma between.
Second,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degree of disability in the curriculum have been developed and should be educated.
Third, the systematic voca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 provided jobs for a disability-oriented work should be strengthened.
Fourth, the typ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restructuring of disability 1, 2, class-oriented type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will be reorganized.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