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강점기 『조선어독본』과 『국어독본』의 비교 - 제1차 교육령기 보통학교 1·2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 = A Comparative Study on Joseoneodokbon and Gugeodokbon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 Focusing on 1st and 2nd graders textbook of the 1st Educational Law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756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lve into the questions of how Japanese educational policy had been implemented during colonial era by looking at Botonghakgyo Joseoneogeuphanmundokbon and Botonghakgyo Gugeodokbon.
      For this end, I tried to find out main objectives of two textbooks, Korean language textbook (Joseoneogeuphanmundokbon) and Japanese language textbook (Gugeodokbon). Considering the situation that Japanese language was promoted to the status of national language while Korean language was downgraded as foreign language, I analyzed internal structures of textbooks and characteristics of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language education and ideology education.
      About Gugeodokbon, I argued that the structure of textbook is similar to foreign language education textbook since Korean children were not familiar with Japanese language even though it had heightened status of national language. The textbook contains dialogues, songs, illustrations, and exercises which directly or indirectly intended to deliver messages of beautification of coercive colonial policies.
      With regard to Joseoneogeuphanmundokbon, my analysis is that Korean language textbook lacked language educational perspectives from the fact that the textbook had limited pages, contents, and illustrations comparing to Gugeodokbon. This is understandable since the foc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in ideology education not in language education itself where Japanese language was used limitedly as a tool of everyday communications.
      This argument can be further supported by the fact that two textbooks shared same ideology education materials and, in some cases, Korean language textbook dealt with more advanced ideology education materials.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lve into the questions of how Japanese educational policy had been implemented during colonial era by looking at Botonghakgyo Joseoneogeuphanmundokbon and Botonghakgyo Gugeodokbon. For this end, I tried to find out main 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lve into the questions of how Japanese educational policy had been implemented during colonial era by looking at Botonghakgyo Joseoneogeuphanmundokbon and Botonghakgyo Gugeodokbon.
      For this end, I tried to find out main objectives of two textbooks, Korean language textbook (Joseoneogeuphanmundokbon) and Japanese language textbook (Gugeodokbon). Considering the situation that Japanese language was promoted to the status of national language while Korean language was downgraded as foreign language, I analyzed internal structures of textbooks and characteristics of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language education and ideology education.
      About Gugeodokbon, I argued that the structure of textbook is similar to foreign language education textbook since Korean children were not familiar with Japanese language even though it had heightened status of national language. The textbook contains dialogues, songs, illustrations, and exercises which directly or indirectly intended to deliver messages of beautification of coercive colonial policies.
      With regard to Joseoneogeuphanmundokbon, my analysis is that Korean language textbook lacked language educational perspectives from the fact that the textbook had limited pages, contents, and illustrations comparing to Gugeodokbon. This is understandable since the foc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in ideology education not in language education itself where Japanese language was used limitedly as a tool of everyday communications.
      This argument can be further supported by the fact that two textbooks shared same ideology education materials and, in some cases, Korean language textbook dealt with more advanced ideology education materia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제1차 조선교육령기의 『보통학교조선어급한문독본』과『보통학교국어독본』을 비교 분석하여 일제의 식민지 교육정책이 교과서에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일제에 의해 '국어' 의 지위를 부여받게 된 일본어와 '외국어' 로 전락하게 된 조선어, 이 두 교과에서 각각 추구하고 있는 바가 무엇인지, 이를 위해 각 교과서는 어떤 내적 구성 체제를 취하고 있는지, 언어교육과 사상교육의 측면에서 어떤 특징들을 보이는지 등을 고찰하였다.『보통학교국어독본』의 분석을 통해, 그 위상이 '국어' 로 격상되기는 했으나 실질적으로는 일본어가 모국어가 아닌 조선의 아동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언어교육이라는 점에서 외국어교수법에 기반한 다면적 구성을 취하고 있음을 찾아낼 수있었다. 또한 무단정치를 미화하거나 왜곡해 전달하는 내용, 황민화 정책 및 식민 정책과 관련한 제재들을 대화법, 노래, 삽화, 연습문제 등의 장치들을 통해구체적이고 명시적으로 때론 암시적으로 교육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보통학교조선어급한문독본』은 『보통학교국어독본』에 비해 단원, 삽화의수가 현격히 적은 분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언어교육적인 측면이 약화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조선어 교과의 위상이 조선어의 교육에 있다기보다 아직 일본어가 의사소통 수단으로서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교육현장에서 임시적 보조수단으로서 조선어를 사용한 사상교육에 더 큰 무게를 두고 있는 까닭이라 하겠다. 동일한 내용들이 두 교과서에 반복 수록되었거나 그 내용이 심화된 경우들을 통해서도 이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제1차 조선교육령기의 『보통학교조선어급한문독본』과『보통학교국어독본』을 비교 분석하여 일제의 식민지 교육정책이 교과서에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살펴보...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제1차 조선교육령기의 『보통학교조선어급한문독본』과『보통학교국어독본』을 비교 분석하여 일제의 식민지 교육정책이 교과서에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일제에 의해 '국어' 의 지위를 부여받게 된 일본어와 '외국어' 로 전락하게 된 조선어, 이 두 교과에서 각각 추구하고 있는 바가 무엇인지, 이를 위해 각 교과서는 어떤 내적 구성 체제를 취하고 있는지, 언어교육과 사상교육의 측면에서 어떤 특징들을 보이는지 등을 고찰하였다.『보통학교국어독본』의 분석을 통해, 그 위상이 '국어' 로 격상되기는 했으나 실질적으로는 일본어가 모국어가 아닌 조선의 아동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언어교육이라는 점에서 외국어교수법에 기반한 다면적 구성을 취하고 있음을 찾아낼 수있었다. 또한 무단정치를 미화하거나 왜곡해 전달하는 내용, 황민화 정책 및 식민 정책과 관련한 제재들을 대화법, 노래, 삽화, 연습문제 등의 장치들을 통해구체적이고 명시적으로 때론 암시적으로 교육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보통학교조선어급한문독본』은 『보통학교국어독본』에 비해 단원, 삽화의수가 현격히 적은 분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언어교육적인 측면이 약화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조선어 교과의 위상이 조선어의 교육에 있다기보다 아직 일본어가 의사소통 수단으로서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교육현장에서 임시적 보조수단으로서 조선어를 사용한 사상교육에 더 큰 무게를 두고 있는 까닭이라 하겠다. 동일한 내용들이 두 교과서에 반복 수록되었거나 그 내용이 심화된 경우들을 통해서도 이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진호, "해방기 ‘국어’ 교과서와 탈식민주의 -『초등 국어교본』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30) : 97-126, 2009

      2 이동배, "해방 후 시기의 남북한 초등국어 교과서 비교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3) : 337-356, 2009

      3 조문희, "한국의 일본어 교수법 변천사" 한국일본어교육학회 9 : 2005

      4 최인자, "한국의 언어문화와 국어교육" 한국어교육학회 (117) : 93-130, 2005

      5 윤여탁, "한국의 근대화와 국어교육 -근대 계몽기와 일제 강점기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117) : 1-22, 2005

      6 이관규, "한국의 국어정책과 국어교육, 그리고 국어운동" 한국어교육학회 (117) : 23-68, 2005

      7 이종국, "한국의 교과서 출판 변천 연구" 일진사 2001

      8 이종국, "한국의 교과서 변천사" 대한교과서 2008

      9 허재영, "한국어 교육의 입장에서 본 중국 동북3성의 우리 민족 학교의 <조선어문> 교과 연구" 37 : 2006

      10 김경자, "한국 근대 초등교육의 좌절: 일제 강점기 초등교육" 교육과학사 2005

      1 강진호, "해방기 ‘국어’ 교과서와 탈식민주의 -『초등 국어교본』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30) : 97-126, 2009

      2 이동배, "해방 후 시기의 남북한 초등국어 교과서 비교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3) : 337-356, 2009

      3 조문희, "한국의 일본어 교수법 변천사" 한국일본어교육학회 9 : 2005

      4 최인자, "한국의 언어문화와 국어교육" 한국어교육학회 (117) : 93-130, 2005

      5 윤여탁, "한국의 근대화와 국어교육 -근대 계몽기와 일제 강점기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117) : 1-22, 2005

      6 이관규, "한국의 국어정책과 국어교육, 그리고 국어운동" 한국어교육학회 (117) : 23-68, 2005

      7 이종국, "한국의 교과서 출판 변천 연구" 일진사 2001

      8 이종국, "한국의 교과서 변천사" 대한교과서 2008

      9 허재영, "한국어 교육의 입장에서 본 중국 동북3성의 우리 민족 학교의 <조선어문> 교과 연구" 37 : 2006

      10 김경자, "한국 근대 초등교육의 좌절: 일제 강점기 초등교육" 교육과학사 2005

      11 홍선표, "한국 개화기의 삽화 연구 - 초등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연구소 15 : 2002

      12 정태준, "학교행사에 있어서 천황제 사상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5 : 2003

      13 박성의, "학교교육에 나타난 일제의 어문정책"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1 (11): 1968

      14 허재영, "통감시대 어문 교육과 교과서 침탈의 역사" 경진 2010

      15 이경화, "초등학교 국어교과서 단원 구성과 전개 방식 탐색" 국어교육학회 (27) : 59-108, 2006

      16 김순전, "조선총독부 제1기 초등학교 일본어독본 1-4" 제이앤씨 2009

      17 다카하시도루, "조선인, in 식민지 조선인을 논하다" 동국대학교출판부 2010

      18 강진호, "조선어독본 1-4" 글누림 2007

      19 김규창, "조선어과 시말과 일어교육의 역사적 배경" 김규창교수논문간행위원회 1985

      20 정명규, "일제의 조선어교육 변천과정에 대한 연구 -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2 : 1984

      21 박용규, "일제시대 한글운동에서의 신명균의 위상" 민족문학사학회 (38) : 365-394, 2008

      22 김혜련, "일제강점기 조선어과 교과서와 조선인" 역락 2011

      23 허재영, "일제강점기 조선어 장려 정책과 한국어 교육" 한말연구학회 (20) : 293-316, 2007

      24 오세원, "일제강점기 식민지 교육정책의 변화연구-조선총독부 발행 修身書를 중심으로-" 한국일본어문학회 (27) : 273-292, 2005

      25 허재영, "일제강점기 교과서 정책과 조선어과 교과서" 경진 2009

      26 최용기, "일제 강점기의 국어 정책" 46 : 2006

      27 박삼헌, "일본중학교 후소샤(扶桑社)판 역사교과서의 삽화분석 -근대화에 대한 역사인식을 중심으로" 일본사학회 (27) : 155-177, 2008

      28 임영철, "일본어 교수법의 변천" 한국일본학회 33 : 1994

      29 조연순, "우리 나라 초등교육의 변천과정과 현황문제 및 과제" 한국초등교육학회 15 (15): 477-496, 2002

      30 Edward W. Said, "오리엔탈리즘" 교보문고 2000

      31 최지현, "역사교과서 그림삽화의 유형과 평가기준-현행 중학교 세계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역사교육학회 (45) : 173-205, 2010

      32 최관진, "어문 정책과 한문 교육 정책의 변천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26) : 225-252, 2003

      33 오성철, "식민지 초등교육의 형성" 교육과학사 2000

      34 오대환, "식민지 시기의 조선어와 일본어의 문법 대조를 통한 조선어교육에 관한 연구 -‘조선문조선어강의록(경성 조선어연구회 간행)’의 ‘국선문대역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105-128, 2010

      35 이관규, "세계의 자국어 교육 과정에 대한 연구- 내용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72) : 81-102, 2006

      36 이은경, "삽화 제시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삽화 이해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7 (17): 177-188, 2009

      37 마이클 W.애플, "문화정치학과 교육" 우리교육 2006

      38 Homi Bhabha, "문화의 위치-탈식민주의 문화이론" 소명출판 2002

      39 문혜윤, "문학어의 근대-조선어로 글을 쓴다는 것" 소명출판 2008

      40 이지영, "문법사적 관점에서 본 일제 시기 언어의 몇 문제" 한국어학회 40 : 57-92, 2008

      41 박붕배, "국어교육전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87

      42 윤여탁, "국어교육 100년사 II"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43 강진호, "국어 교과서와 국가 이데올로기" 글누림 2007

      44 정혜승, "국어 교과서 연구의 현황과 반성" 국어교육학회 (16) : 2003

      45 정길남, "개화기 교과서의 존대법 연구" 42 : 2004

      46 강진호, "‘조선어독본’과 일제의 문화정치 —제4차 교육령기 <보통학교 조선어독본>의 경우—" 상허학회 29 : 115-148, 2010

      47 김혜림, "<일어독본>에 대한 연구 - 일본의 국정1기 교과서 <심상소학독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8 윤재숙, "<국정독본>에 나타난 일본 현대어 연구" 고려대학교 2005

      49 민병찬, "1912년 간행 『普通学校国語読本』의 편찬 배경에 대하여 - 小田省吾의 「朝鮮総督府編纂教科書概要」를 중심으로" 한국일본어교육학회 (43) : 3-15,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96 1.43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