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세기 조선왕실 혼례용 백자의 구성과 특징 = The Composition and the Characteristic of White Porcelain for the Joseon Royal Familly Wedding in 19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966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왕실 혼례는 대표적인 왕실 축제로 국가의 가장 큰 행사 중 하나이다. 그러나 중대한 왕실 혼례에 사용된 백자에 대해서는 현재까지도 체계적 연구 없이 현전하는 몇몇 유물에만 관심이 집...

      왕실 혼례는 대표적인 왕실 축제로 국가의 가장 큰 행사 중 하나이다. 그러나 중대한 왕실 혼례에 사용된 백자에 대해서는 현재까지도 체계적 연구 없이 현전하는 몇몇 유물에만 관심이 집중되어 왔다. 이들 백자는 점각명으로 인해 언제, 누구의 혼례에 사용되었는지와 외면에 문양 그리고 기술적 특징(질·굽깎음·굽받침) 정도만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왕실 혼례용 백자에 대한 매우 단편적인 인식일 뿐 왕실 혼례용 백자를 예치(禮治)를 기반으로 한 조선왕실의 의례 가운데서 인식하고, 백자 기면에 나타난 문양·기술 이외의 다양한 사실들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19세기 가례도감의궤를 분석한 결과 혼례용 백자의 사용 배경인 왕실 혼례의 절차가 유교 예에 입각하여 위계에 따라 차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기발기를 통해서는 혼례 소용 백자의 수량(규모)·종류·구성·명칭·문양·진상체제·수량단위·크기분류 뿐 아니라 외래자기 사용 및 선호양상 등 다양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알 수 있어 왕실 혼례용 백자를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왕실 혼례용 백자는 조선왕실 의례용 백자의 한 축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oyal wedding is the representative of the Royal Festival, and was one of the biggest national events of Joseon era Korea. However, no systematic inquiry was made regarding the white porcelain used in the momentous royal wedding; researchers’att...

      The royal wedding is the representative of the Royal Festival, and was one of the biggest national events of Joseon era Korea. However, no systematic inquiry was made regarding the white porcelain used in the momentous royal wedding; researchers’attention was solely focused on a few of the more well-known white porcelains. One could understand the era, of whose wedding the porcelain was used, by looking at the Jeomgakmyeong (點刻銘, letters engraved in the white porcelain with dots). One could also grasp the design and the technical features by looking at the porcelain’s external appearance.
      However, this is just a fragmentary perception of the white porcelain used in the royal wedding.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porcelains used in the royal weddings based on the Joseon dynasty’s ritual, Rye (禮: Confucianism, based on courtesy), as well as by assimilating other various factors, excluding design and technique.
      Analyzing the 19th century’s Garyedogamuigwe (가례도감의궤, the book containing the record of the royal weddings), the white porcelain used in the royal wedding is based on Confucianism’s Rye, and distinguishes the status of each wedding by differentiating the procedures of each. Also, according to the Sagibalgi (사기발기, the book containing the list of the porcelains used in the Royal Festival), we can see the quantity, form, official name designation, design, and the sizing system of the porcelains, as well as how the king and royals were treated and viewed. Moreover, various and specific details such as the use of the imported porcelain and the preferred forms can be found in Sagibalgi, which became the method to analyze the white porcelain, we are able to see that Confucianism’s Rye, which is the basis of the royal ritual, is expressed through various aspects in ceramics. At the same time, it is meanigful to perceive on side of the white porcelains used in royal rituals in Joseon, and be able to find its significa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선형, "한중록" 서해문집 2003

      2 이욱, "조선후기 後宮 嘉禮의 절차와 변천 -慶嬪 金氏 嘉禮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19) : 39-67, 2008

      3 "조선청화 푸른빛에 물들다"

      4 구혜인, "조선시대 왕실 제기(祭器)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2019

      5 이욱, "조선시대 왕세자 혼례의 절차와 의미 - 1882년 왕세자 嘉禮를 중심으로 -" 한국고문서학회 48 : 315-336, 2016

      6 "조선백자 항아리"

      7 조선총독부, "조선고적도보 15권" 2005

      8 김기혜, "조선 후기 크락(Kraak)양식 청화백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2015

      9 "졍미가례시일긔(장K2-2709)"

      10 황문환, "정미가례시일기 주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0

      1 이선형, "한중록" 서해문집 2003

      2 이욱, "조선후기 後宮 嘉禮의 절차와 변천 -慶嬪 金氏 嘉禮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19) : 39-67, 2008

      3 "조선청화 푸른빛에 물들다"

      4 구혜인, "조선시대 왕실 제기(祭器)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2019

      5 이욱, "조선시대 왕세자 혼례의 절차와 의미 - 1882년 왕세자 嘉禮를 중심으로 -" 한국고문서학회 48 : 315-336, 2016

      6 "조선백자 항아리"

      7 조선총독부, "조선고적도보 15권" 2005

      8 김기혜, "조선 후기 크락(Kraak)양식 청화백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2015

      9 "졍미가례시일긔(장K2-2709)"

      10 황문환, "정미가례시일기 주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0

      11 "원행을묘정리의궤"

      12 최경화, "분원리 1호요지 가마2호 발굴의 양상 및 의의-상부퇴적 및 바닥내출토품을 중심으로-" 25 : 2016

      13 홍석모, "동국세시기" 도서출판 풀빛 2009

      14 "뎡유듕츄길례시"

      15 "뎡미가례시일긔 (장K2-2708)"

      16 황문환, "덕온공주 집안 유물 중 한글 자료에 대하여" 30 : 2012

      17 구혜인, "근대도자 시대를공유하다" 천안박물관 2016

      18 지규식, "국역 하재일기 1·6" 2009

      19 "국역 덕온공주가례등록"

      20 이 욱, "국역 덕온공주가례등록" 국립고궁박물관 2017

      21 "국역 국혼정례"

      22 "광주 분원리요 청화백자"

      23 최경화, "경복궁景福宮 출토 19세기 백자의 제작상 특징 및 의미: 소주방지燒廚房址, 흥복전지興福殿址, 함화당咸和堂ㆍ집경당緝敬堂 행각지行閣址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회 (40) : 117-140, 2013

      24 "高宗明成皇后嘉禮都監儀軌(K2-2599)"

      25 家田淳一, "韓國出土の近世日本磁器, 日韓交流史理解促進事業調査硏究報告書" 2006

      26 佐賀縣立九州陶磁文化館, "柴田コレクション總目錄"

      27 "林園十六誌"

      28 김은경, "朝鮮의 淸 琺瑯瓷器 유입경로와 수용태도 연구"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7 : 115-140, 2019

      29 張慶姬, "朝鮮王朝 王室嘉禮用 工藝品 硏究" 弘益大學校 大學院 1999

      30 金用淑, "朝鮮朝宮中風俗硏究" 일지사 1987

      31 김은경, "朝鮮後期 清 陶瓷의 受容과 認識 變化" 한국학연구소 (66) : 39-77, 2018

      32 최경화, "朝鮮後期 分院里 時期 官窯白磁 硏究 : 1752-1895년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33 家田淳一, "朝鮮へ輸出された江戶時代の肥前·對州磁器" 2006

      34 최준수, "朝鮮 後期 茶文化와 白磁 茶具 硏究" 충북대학교대학원 2018

      35 정다혜, "朝鮮 18∼20世紀 白磁 高足楪匙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36 "憲宗孝顯后嘉禮都監儀軌(규13139)"

      37 "憲宗孝定后嘉禮都監儀軌(K2-2597)"

      38 "憲宗妃慶嬪金氏順和宮嘉禮時節次(규27008)"

      39 "慶嬪嘉禮謄錄 (귀K2-2614)"

      40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廣州 樊川里 9號 朝鮮白磁窯址" 새로문화 2007

      41 "分院磁器貢所節目(古4256-11)"

      42 "京都雜誌"

      43 佐賀縣立九州陶磁文化館, "『柴田コレクション』Ⅵ -江戶の技術と裝飾技法"

      44 佐賀縣立九州陶磁文化館, "『柴田コレクション』Ⅳ -古伊万里樣式の成立と展開"

      45 "『古文書集成十三』 -藏書閣篇Ⅳ-"

      46 김미경, "19세기 조선백자에 보이는 청대 자기의 영향"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3) : 293-327, 2009

      47 "1837년 가을 어느 혼례날 덕온공주 한글자료"

      48 김문식, "1823년 明溫公主의 가례 절차" 조선시대사학회 (56) : 125-160, 2011

      49 최경화, "18 19세기 日本 磁器의 유입과 전개양상" 한국미술연구소 (29) : 197-222,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2-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6-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Cultural Research Institute -> Korea Culture Research Institute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 0.73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