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교사교육자의 교직윤리 인식 및 실천수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al and Practical Levels of the Professional Ethics in the Teach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23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perceptional and practical levels of professional ethics in teach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according to the areas of professional ethic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were 107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who belong to universities and colleges. The questionnaire was made up by researchers based on ‘the NAEYC (2004)’s code of ethical conduct: supplement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method using SPSS Win 1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of the perceptional and practical levels according to the areas of professional ethics were highly apparent in order of ‘children and families’, ‘sites providing practicum experiences’, ‘community and the field of early education’, ‘adult learners’, ‘colleagues’, and ‘universities and training agencies’. Also, the practical levels of professional ethic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perceptional levels of professional ethics in all areas. Second, the perceptional and practical levels accord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characteristi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 between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 areas of professional ethics, such as careers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and ‘children and families’, ‘sites providing practicum experiences’, ‘community and the field of early education’, ‘adult learners’, ‘universities and training agencies’, positions and ‘sites providing practicum experiences’, and the educational experiences related to professional ethics in teaching and ‘colleagues’, and ‘community and the field of early education’. In conclusion, the education of professional ethics in teaching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perceptional and practical levels on professional eth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should be provided systematically to them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perceptional and practical levels of professional ethics in teach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according to the areas of professional ethic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perceptional and practical levels of professional ethics in teach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according to the areas of professional ethic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were 107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who belong to universities and colleges. The questionnaire was made up by researchers based on ‘the NAEYC (2004)’s code of ethical conduct: supplement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method using SPSS Win 1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of the perceptional and practical levels according to the areas of professional ethics were highly apparent in order of ‘children and families’, ‘sites providing practicum experiences’, ‘community and the field of early education’, ‘adult learners’, ‘colleagues’, and ‘universities and training agencies’. Also, the practical levels of professional ethic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perceptional levels of professional ethics in all areas. Second, the perceptional and practical levels accord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characteristi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 between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 areas of professional ethics, such as careers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and ‘children and families’, ‘sites providing practicum experiences’, ‘community and the field of early education’, ‘adult learners’, ‘universities and training agencies’, positions and ‘sites providing practicum experiences’, and the educational experiences related to professional ethics in teaching and ‘colleagues’, and ‘community and the field of early education’. In conclusion, the education of professional ethics in teaching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perceptional and practical levels on professional eth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should be provided systematically to them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사교육자의 교직윤리 인식 및 실천수준과 그 차이를 살펴보고, 유아교사교육자의 특성에 따라 교직윤리 인식 및 실천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4년제와 전문대학의 유아교육 및 관련학과 교수(강사) 107명이며, 연구도구는 ‘NAEYC 윤리강령의 유아교사교육자들을 위한 추가조항’을 연구자가 번역 후 우리나라의 맥락에 맞게 의역하여 구성한 설문지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윤리 하위영역별 유아교사교육자의 교직윤리 인식 및 실천수준의 차이는 유아와 가족, 실습기관, 지역사회와 유아교육현장, 학생, 동료, 대학과 연수기관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교직윤리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실천수준이 인식수준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교육자의 특성에 따른 교직윤리 인식 및 실천수준 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육기관 현장경력은 ‘학생, 실습기관, 대학과 연수기관, 유아와 가족, 지역사회와 현장’, 직위는 ‘실습기관’, 교직윤리 학습경험은 ‘동료, 지역사회와 현장’에 대한 인식 및 실천수준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직윤리 인식 및 실천수준의 차이를 좁히기 위한 교직윤리교육이 유아교사교육자의 특성에 맞게 체계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교사교육자의 교직윤리 인식 및 실천수준과 그 차이를 살펴보고, 유아교사교육자의 특성에 따라 교직윤리 인식 및 실천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본 연구는 유아교사교육자의 교직윤리 인식 및 실천수준과 그 차이를 살펴보고, 유아교사교육자의 특성에 따라 교직윤리 인식 및 실천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4년제와 전문대학의 유아교육 및 관련학과 교수(강사) 107명이며, 연구도구는 ‘NAEYC 윤리강령의 유아교사교육자들을 위한 추가조항’을 연구자가 번역 후 우리나라의 맥락에 맞게 의역하여 구성한 설문지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윤리 하위영역별 유아교사교육자의 교직윤리 인식 및 실천수준의 차이는 유아와 가족, 실습기관, 지역사회와 유아교육현장, 학생, 동료, 대학과 연수기관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교직윤리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실천수준이 인식수준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교육자의 특성에 따른 교직윤리 인식 및 실천수준 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육기관 현장경력은 ‘학생, 실습기관, 대학과 연수기관, 유아와 가족, 지역사회와 현장’, 직위는 ‘실습기관’, 교직윤리 학습경험은 ‘동료, 지역사회와 현장’에 대한 인식 및 실천수준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직윤리 인식 및 실천수준의 차이를 좁히기 위한 교직윤리교육이 유아교사교육자의 특성에 맞게 체계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은희, "좋은 연구를 위한 대학의 실천방안: 학습윤리교육과 연구윤리교육" 158 : 84-89, 2009

      2 박수진, "유치원교사의 교직윤리의식과 역할수행정도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 이경,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역할수행 인식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4 조형숙, "유치원 교사가 경험한 윤리적 딜레마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73-101, 2009

      5 염지숙, "유아교육실습: 예비교사들의 경험 이야기"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223-248, 2003

      6 조경옥, "유아교사의 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7 조형숙, "유아교사의 교직윤리관련 딜레마에 나타난 갈등요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243-276, 2009

      8 임승렬, "유아교사의 교직 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19 (19): 175-190, 2002

      9 이은화, "유아교사론" 양서원 1995

      10 조형숙, "유아교사 교직윤리교육에 관한 소고" 1-19, 2007

      1 조은희, "좋은 연구를 위한 대학의 실천방안: 학습윤리교육과 연구윤리교육" 158 : 84-89, 2009

      2 박수진, "유치원교사의 교직윤리의식과 역할수행정도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 이경,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역할수행 인식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4 조형숙, "유치원 교사가 경험한 윤리적 딜레마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73-101, 2009

      5 염지숙, "유아교육실습: 예비교사들의 경험 이야기"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223-248, 2003

      6 조경옥, "유아교사의 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7 조형숙, "유아교사의 교직윤리관련 딜레마에 나타난 갈등요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243-276, 2009

      8 임승렬, "유아교사의 교직 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19 (19): 175-190, 2002

      9 이은화, "유아교사론" 양서원 1995

      10 조형숙, "유아교사 교직윤리교육에 관한 소고" 1-19, 2007

      11 조형숙,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 인식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301-326, 2008

      12 조필수, "보육교사의 교직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교사교육 프로그램 및 윤리강령 제정을 위한 기초"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13 박은주, "돌봄의 관점에서 살펴본 보육교사의 윤리적 딜레마"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45-74, 2009

      14 이현청, "대학의 도덕성과 윤리의식의 과제" 111 : 99-107, 2001

      15 송병순, "대학교수의 윤리" 8 (8): 14-43, 2002

      16 신재철, "대학교수의 역할과 자질" 117 : 45-52, 2002

      17 최혜영, "기자의 눈으로 본 대학의 연구윤리" 144 : 70-76, 2006

      18 유병열, "국내 대학 인문사회계 분야 교수와 연구윤리" 144 : 44-53, 2006

      19 최문기, "교직윤리의 이론적 토대와 통합적 접근" 한국윤리교육학회 (12) : 179-200, 2007

      20 정보주,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교직윤리 및 도덕성 함양 프로그램 개발. 교육인적자원부 교사교육프로그램개발과제" 교육인적자원부 2004

      21 서정화, "교원의 권위와 교직윤리 확립방안 연구"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교육정책연구소 1994

      22 강선보, "교수의 직업윤리" 140 : 50-56, 2006

      23 박남기, "교수의 역할과 자질" 140 : 44-49, 2006

      24 이복례, "교사윤리 확립을 위한 교사윤리의식 실태 분석" 청주교육대학교 대학원 2004

      25 Freeman, N., "The NAEYC code is a living document" Young Children on the Web 1-6, 2004

      26 Soltis, J. F., "Teaching professional ethics" 37 (37): 2-4, 1986

      27 Strike, K. A., "Teaching ethics to teachers: What the curriculum should be about" 6 (6): 47-53, 1990

      28 Bucholz, J. L., "Teachers' ethical dilemmas: What would you do?" 40 (40): 60-64, 2007

      29 Ewing, N. J., "Teacher education: ethics, power, and privilege" 24 (24): 13-24, 2001

      30 Katz, L., "Talks with Teachers of Young Children: A Collection" Ablex 1995

      31 Campbell, E., "Professional ethics in teaching: Towards the development of a code of practice" 30 (30): 203-221, 2000

      32 Freeman, N. K., "Ethics instruction for preservice teachers: How are we doing in ECE?" 1 (1): 5-18, 1996

      33 Freeman N., "Ethics 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 A proposed addendum to the NAEYC code of ethical conduct" Young Children on the Web 1-6, 2003

      34 Caropreso, E. J. & Weese. A. W., "Educative ethics: Lessons for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35 NAEYC, "Code of ethical conduct. Supplement for early childhood adult educators"

      36 교수신문, "(2006.3.9). 진정한 지식인이 되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중앙유아교육학회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영문명 : Chung-Ang Society Of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2 2.42 2.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7 2.56 2.707 0.5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