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ee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in Duchesnea indica (Andrews) Teschem. Native to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3133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장미과의 과일 및 관상용 식물은 세계적으로 경제적, 원예적 가치가 뛰어나다. 장미과의 뱀딸기는 관상 및 약용 작물로써 이용가치가 매우 높은데, 증식방법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 이다. 뱀딸기의 종자 종자발아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내부형태 관찰, 수분흡수실험, 온도 별 배양, move-along test, GA3처리 실험을 수행하였다. 뱀딸기 종자는 탈리시점부터 성숙한 배를 지닌다. 수분흡수실험 결과, 침지 3시간만에 종자 무게가 초 기무게 대비 100% 이상 증가하였다. 온도 별 배양 실험 결 과, 25/15, 20/10, 15/6, 5, 25, 20, 15°C에서 각각 8주간 배양하였을 때 88, 71, 61, 12, 89, 39, 17%로 나타났다. Move-along test의 T125/15°C(12주)→20/10°C(4주)→ 15/6°C(4주)→5°C(12주)]에서 12주차까지 72%가 발아하였고 T2[4°C(12주)→15/6°C(4주)→20/10°C(4주)→25/15°C(12주)] 에선 20/10°C까지 발아하지 않았고 25/15°C에 도달하고 나서 발아하여 최종발아율은 16%로 나타났다. GA3처리구에선 배양 3주차에 발아를 시작한 반면에 대조구에선 배양 4주차부터 발 아하였다. 따라서 한반도 자생 뱀딸기 종자는 PD로 분류하였다. 뱀딸기속과 Potentilla속 식물은 서로 근연관계이고, 종간의 종 자휴면에 차이가 나타나 종자휴면 특성에 분화가 일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장미과의 과일 및 관상용 식물은 세계적으로 경제적, 원예적 가치가 뛰어나다. 장미과의 뱀딸기는 관상 및 약용 작물로써 이용가치가 매우 높은데, 증식방법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 이...

      장미과의 과일 및 관상용 식물은 세계적으로 경제적, 원예적 가치가 뛰어나다. 장미과의 뱀딸기는 관상 및 약용 작물로써 이용가치가 매우 높은데, 증식방법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 이다. 뱀딸기의 종자 종자발아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내부형태 관찰, 수분흡수실험, 온도 별 배양, move-along test, GA3처리 실험을 수행하였다. 뱀딸기 종자는 탈리시점부터 성숙한 배를 지닌다. 수분흡수실험 결과, 침지 3시간만에 종자 무게가 초 기무게 대비 100% 이상 증가하였다. 온도 별 배양 실험 결 과, 25/15, 20/10, 15/6, 5, 25, 20, 15°C에서 각각 8주간 배양하였을 때 88, 71, 61, 12, 89, 39, 17%로 나타났다. Move-along test의 T125/15°C(12주)→20/10°C(4주)→ 15/6°C(4주)→5°C(12주)]에서 12주차까지 72%가 발아하였고 T2[4°C(12주)→15/6°C(4주)→20/10°C(4주)→25/15°C(12주)] 에선 20/10°C까지 발아하지 않았고 25/15°C에 도달하고 나서 발아하여 최종발아율은 16%로 나타났다. GA3처리구에선 배양 3주차에 발아를 시작한 반면에 대조구에선 배양 4주차부터 발 아하였다. 따라서 한반도 자생 뱀딸기 종자는 PD로 분류하였다. 뱀딸기속과 Potentilla속 식물은 서로 근연관계이고, 종간의 종 자휴면에 차이가 나타나 종자휴면 특성에 분화가 일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osaceae is consists of many economically important ornamental plants. Duchesnea indica is a medicinal and pharmacological plant with high economic value if an efficient propagation method could be developed. The seeds have developed embryos. In the laboratory, the effects of move-along, temperature and gibberellic acid were also tested to characterize the type of seed dormancy. The germination of the seeds reached 88, 71, 61, 12, 89, 39, 17% when incubated at 25/15, 20/10, 15/6, 5, 25, 20, and 15°C for 8 weeks, respectively. Also, T1 [25/15°C (8 weeks) → 20/10°C (4 weeks) → 15/6°C (4 weeks) → 5°C (4 weeks)] showed germination at 25/15°C in sequences of move-along test. The seeds did not germinate at 5°C. Under T2 [5°C (8 weeks) → 15/6°C (4 weeks) → 20/10°C (4 weeks) → 25/15°C (8 weeks)] conditions, seed germination percentage was 16% at 25/15°C of T2. The seeds treated with 0, 10, 100, and 1000 mg·L-1 of GA3 and incubated at 25/15°C for 3 weeks germinated to 0, 8, 16, and 17%,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D. indica native to Korea has physiological dormancy seeds. The differences in the seed dormancy in the Duchesnea-Pontentilla clade indicated that seed dormancy traits had diverged.
      번역하기

      Rosaceae is consists of many economically important ornamental plants. Duchesnea indica is a medicinal and pharmacological plant with high economic value if an efficient propagation method could be developed. The seeds have developed embryos. In the l...

      Rosaceae is consists of many economically important ornamental plants. Duchesnea indica is a medicinal and pharmacological plant with high economic value if an efficient propagation method could be developed. The seeds have developed embryos. In the laboratory, the effects of move-along, temperature and gibberellic acid were also tested to characterize the type of seed dormancy. The germination of the seeds reached 88, 71, 61, 12, 89, 39, 17% when incubated at 25/15, 20/10, 15/6, 5, 25, 20, and 15°C for 8 weeks, respectively. Also, T1 [25/15°C (8 weeks) → 20/10°C (4 weeks) → 15/6°C (4 weeks) → 5°C (4 weeks)] showed germination at 25/15°C in sequences of move-along test. The seeds did not germinate at 5°C. Under T2 [5°C (8 weeks) → 15/6°C (4 weeks) → 20/10°C (4 weeks) → 25/15°C (8 weeks)] conditions, seed germination percentage was 16% at 25/15°C of T2. The seeds treated with 0, 10, 100, and 1000 mg·L-1 of GA3 and incubated at 25/15°C for 3 weeks germinated to 0, 8, 16, and 17%,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D. indica native to Korea has physiological dormancy seeds. The differences in the seed dormancy in the Duchesnea-Pontentilla clade indicated that seed dormancy traits had diverg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언
      • 재료 및 방법
      • 실험재료
      • 수분흡수 실험
      • 온도조건 별 발아 실험
      • 서 언
      • 재료 및 방법
      • 실험재료
      • 수분흡수 실험
      • 온도조건 별 발아 실험
      • Move-along test
      • GA3 처리에 의한 효과
      • 통계처리
      • 결 과
      • 고 찰
      • 초 록
      • 사 사
      • Referenc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