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소년의 부모애착 및 가족식사 인식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Parents Attachment and Family Meal Perception on Smart Phone Addi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5448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is becoming social concerns amid pointing out the side effects of smart phone caused by rapid supply of it.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family environment factors such as parents attachment and family meal on the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In addi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the factors relevant with smart phone addic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other researches that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the personal perspectives such as personal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on the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To establish the study, the uses of smart phone and current condition of family meal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uses of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of groups were searched. Lastly,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parents attachment and family meal perception on smart phone addiction were examined.
      To collect the data,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680 students at middle school around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from March to April 2014, and 596 students data was used. To measure the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the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developed b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was used. The scale for parent’s attachment, the parents attachment scale for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in Korea was used.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condition, the measurement tool used by So Young Yun(2013). The SPSS WIN 18.0 program was used for collected data, and the method of analysis is as in the following.
      The descriptive statistic was use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 pattern of using the smart phone, and current state of family meal. The t-test, ANOVA test and Scheffe test was conducted into general factor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mart phone addiction and to verify the differences.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 of parents attachment and family meal with smart phone addictio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how the major factors such as general characteristics, parents attachment and family meal affects to smart phone addiction.
      As the result of the study, at the survey the 238(39.9%) respondents, the highest, used smart phone from 1 year to 2 year, and 184(30.9%) respondents, the highest, were using smart phone from 2 hours to 3 hours, 298(50%) respondents, the highest, used SNS and kakaotalk as the main function of the smart phone. The 281(47.1%) respondents answered, the highest, they use smart phone for more broad communications(such as kakaotalk) with people.
      At the survey of the condition of the family meal, 204(34.2%) respondents answered, the family meal frequency was ‘more than one’ each day, 384(64.4%) respondents answered, they mainly have ‘supper with family’. The 272(45.7%) respondents answered ‘weekend, and holiday’ at the question of ‘Usually when do you have family meal?’, 195(32.8%) respondents answered ‘30 min~40min’ for average time of the meal. Those are the highest of the survey. The 420(70.5%) respondents answered ‘mother’ is the one who make the meal, and 463(77.7%) respondents answered, ‘No time for family meal’ for ‘Reason for not joining for family meal.’ It was the highest.
      Second, the smart phone addi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using patterns of smart phon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school year, academic background of parents, the period of using smart phone, average using time of smart phone, major using functions of smart phone. Female students were more addicted to smart phone than male students, and the 3rd grade showed significantly high addiction than 1st and 2nd grade. The smart phone addiction was highly showed when they use instant messenger such as SNS and kakaotalk as the major using functions.
      Third, among the smart phone addicted group, the parents attachment and family meal perception, and frequency of family meal highly showed in general user group, also user group with potential risk and high risk user group was next.
      Fourth, the relation between the adolescent’s parent attachment, family meal and smart phone addiction had negative correlation. This means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smart phone addiction and the father attachment, mother attachment, family meal perception, and frequency of family meal is negative and significant. In addition, parents attachment and family meal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mart phone addiction.
      Fifth, the father attachment influenced significantly on smart phone addiction, and the mother attachment showed insignificant influence in adolescents’parents attachment. The family meal perception and frequency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addition. Also, among the general variables, the father attachment, family meal perception, meal frequency, gender, grade, function of smart phone, the family meal perception showed the most influence on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Female students, 3rd grade in middle school, the group whose major using functions are messenger such SNS, kakaotalk highly showed addicted to smart phone. The effective improvement measures have to be suggested such as increasing the father attachment, frequent family meal, changing the positiv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to family meal.
      번역하기

      The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is becoming social concerns amid pointing out the side effects of smart phone caused by rapid supply of it.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family environment factors such as parents attachment and family ...

      The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is becoming social concerns amid pointing out the side effects of smart phone caused by rapid supply of it.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family environment factors such as parents attachment and family meal on the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In addi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the factors relevant with smart phone addic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other researches that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the personal perspectives such as personal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on the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To establish the study, the uses of smart phone and current condition of family meal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uses of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of groups were searched. Lastly,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parents attachment and family meal perception on smart phone addiction were examined.
      To collect the data,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680 students at middle school around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from March to April 2014, and 596 students data was used. To measure the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the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developed b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was used. The scale for parent’s attachment, the parents attachment scale for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in Korea was used.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condition, the measurement tool used by So Young Yun(2013). The SPSS WIN 18.0 program was used for collected data, and the method of analysis is as in the following.
      The descriptive statistic was use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 pattern of using the smart phone, and current state of family meal. The t-test, ANOVA test and Scheffe test was conducted into general factor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mart phone addiction and to verify the differences.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 of parents attachment and family meal with smart phone addictio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how the major factors such as general characteristics, parents attachment and family meal affects to smart phone addiction.
      As the result of the study, at the survey the 238(39.9%) respondents, the highest, used smart phone from 1 year to 2 year, and 184(30.9%) respondents, the highest, were using smart phone from 2 hours to 3 hours, 298(50%) respondents, the highest, used SNS and kakaotalk as the main function of the smart phone. The 281(47.1%) respondents answered, the highest, they use smart phone for more broad communications(such as kakaotalk) with people.
      At the survey of the condition of the family meal, 204(34.2%) respondents answered, the family meal frequency was ‘more than one’ each day, 384(64.4%) respondents answered, they mainly have ‘supper with family’. The 272(45.7%) respondents answered ‘weekend, and holiday’ at the question of ‘Usually when do you have family meal?’, 195(32.8%) respondents answered ‘30 min~40min’ for average time of the meal. Those are the highest of the survey. The 420(70.5%) respondents answered ‘mother’ is the one who make the meal, and 463(77.7%) respondents answered, ‘No time for family meal’ for ‘Reason for not joining for family meal.’ It was the highest.
      Second, the smart phone addi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using patterns of smart phon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school year, academic background of parents, the period of using smart phone, average using time of smart phone, major using functions of smart phone. Female students were more addicted to smart phone than male students, and the 3rd grade showed significantly high addiction than 1st and 2nd grade. The smart phone addiction was highly showed when they use instant messenger such as SNS and kakaotalk as the major using functions.
      Third, among the smart phone addicted group, the parents attachment and family meal perception, and frequency of family meal highly showed in general user group, also user group with potential risk and high risk user group was next.
      Fourth, the relation between the adolescent’s parent attachment, family meal and smart phone addiction had negative correlation. This means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smart phone addiction and the father attachment, mother attachment, family meal perception, and frequency of family meal is negative and significant. In addition, parents attachment and family meal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mart phone addiction.
      Fifth, the father attachment influenced significantly on smart phone addiction, and the mother attachment showed insignificant influence in adolescents’parents attachment. The family meal perception and frequency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addition. Also, among the general variables, the father attachment, family meal perception, meal frequency, gender, grade, function of smart phone, the family meal perception showed the most influence on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Female students, 3rd grade in middle school, the group whose major using functions are messenger such SNS, kakaotalk highly showed addicted to smart phone. The effective improvement measures have to be suggested such as increasing the father attachment, frequent family meal, changing the positiv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to family mea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스마트폰의 급격한 보급과 확산에 따른 다양한 부작용이 지적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하여 개인의 심리적 적응 및 정신건강과 같은 개인적 관점에서 살펴본 기존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부모애착, 가족식사와 같은 가족 환경적 요인들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현황 및 가족식사 현황을 살펴보았고. 일반적 특성 및 스마트폰 사용현황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부모애착, 가족식사 인식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였고, 마지막으로 부모애착 및 가족식사 인식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4년 3월부터 4월까지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6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총 596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개발한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를 사용하였고, 부모애착 척도는 한국 초, 중, 고등학생용 부모애착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가족식사 인식 및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윤소영(2013)이 사용한 가족식사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스마트폰 사용현황, 가족식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이용하였고, 이에 따라 일반적 변인에서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고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 및 ANOVA test를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을 위해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부모애착 및 가족식사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일반적 특성 및 부모애착, 가족식사와 같은 주요 변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마트폰 사용현황에 대한 조사에서는 먼저 스마트폰 사용기간은 1년~2년이라는 응답자가 238명(39.9%)로 가장 높았고, 스마트폰 하루 사용시간은 2시간~3시간 이라는 응답이 184명(30.9%), 스마트폰의 주사용 기능은 카카오톡을 비롯한 SNS 서비스가 298명(50%)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스마트폰의 사용이유는 사람들과의 폭넓은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카카오톡 등)가 281명(47.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족식사의 현황에 대한 조사에서는 일주일동안의 가족식사 빈도는 ‘매일 한 끼 이상’이라는 응답이 204명(34.2%)로 가장 많았고, ‘주로 저녁식사를 한다’라는 응답이 384명(64.4%)으로 가장 많았다. ‘식사하는 날은 보통 언제인가?’라는 질문에 ‘주말, 공휴일’ 이라는 응답이 272명(45.7%)으로 가장 많았고, 평균 식사시간에 대한 질문에 ‘30분~40분’이라는 응답이 195명(32.8%)으로 가장 많았다. 식사준비자는 ‘어머니’가 420명(70.5%)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가족식사를 못하는 이유’는 ‘가족이 함께 모일 시간이 없어서’ 라는 응답이 463명(77.7%)으로 가장 많았다.
      둘째, 일반적 특성 및 스마트폰 사용현황에 따른 집단 간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는 성별, 학년, 부모의 학력, 스마트폰 사용기간, 스마트폰 평균 사용시간, 스마트폰 주 사용기능에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먼저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스마트폰 중독이 높았으며, 학년은 3학년이 1, 2학년에 비해 스마트폰 중독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주 사용기능이 SNS 및 카카오톡 등과 같은 모바일 메신저 인 경우 스마트폰 중독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 집단에 따른 부모애착 및 가족식사 인식, 가족식사 빈도는 모두 일반사용자군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잠재적 위험사용자군 집단, 고위험사용자군 집단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부모애착 및 가족식사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는 모두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애착, 모애착, 가족식사 인식, 가족식사 빈도 모두 스마트폰 중독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애착 및 가족식사는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청소년의 부모애착에서 부애착은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애착은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식사인식과 가족식사 빈도는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변인에서 스마트폰 중독을 설명하는 것으로 규명된 요인을 포함한 부애착, 가족식사 인식, 식사 빈도, 성별, 학년, 스마트폰 사용 기능 중 가족식사인식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문제와 관련하여 여학생인 경우, 중학교 3학년인 경우, 스마트폰 주 사용기능이 SNS 및 카카오톡과 같은 메신저인 경우가 스마트폰 중독경향이 높게 나타났으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방안이 필요하며, 아버지와의 애착관계를 증가시키고 가족식사를 자주 하도록 노력하며, 가족식사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긍정적이 되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번역하기

      스마트폰의 급격한 보급과 확산에 따른 다양한 부작용이 지적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과 관...

      스마트폰의 급격한 보급과 확산에 따른 다양한 부작용이 지적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하여 개인의 심리적 적응 및 정신건강과 같은 개인적 관점에서 살펴본 기존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부모애착, 가족식사와 같은 가족 환경적 요인들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현황 및 가족식사 현황을 살펴보았고. 일반적 특성 및 스마트폰 사용현황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부모애착, 가족식사 인식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였고, 마지막으로 부모애착 및 가족식사 인식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4년 3월부터 4월까지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6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총 596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개발한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를 사용하였고, 부모애착 척도는 한국 초, 중, 고등학생용 부모애착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가족식사 인식 및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윤소영(2013)이 사용한 가족식사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스마트폰 사용현황, 가족식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이용하였고, 이에 따라 일반적 변인에서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고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 및 ANOVA test를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을 위해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부모애착 및 가족식사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일반적 특성 및 부모애착, 가족식사와 같은 주요 변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마트폰 사용현황에 대한 조사에서는 먼저 스마트폰 사용기간은 1년~2년이라는 응답자가 238명(39.9%)로 가장 높았고, 스마트폰 하루 사용시간은 2시간~3시간 이라는 응답이 184명(30.9%), 스마트폰의 주사용 기능은 카카오톡을 비롯한 SNS 서비스가 298명(50%)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스마트폰의 사용이유는 사람들과의 폭넓은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카카오톡 등)가 281명(47.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족식사의 현황에 대한 조사에서는 일주일동안의 가족식사 빈도는 ‘매일 한 끼 이상’이라는 응답이 204명(34.2%)로 가장 많았고, ‘주로 저녁식사를 한다’라는 응답이 384명(64.4%)으로 가장 많았다. ‘식사하는 날은 보통 언제인가?’라는 질문에 ‘주말, 공휴일’ 이라는 응답이 272명(45.7%)으로 가장 많았고, 평균 식사시간에 대한 질문에 ‘30분~40분’이라는 응답이 195명(32.8%)으로 가장 많았다. 식사준비자는 ‘어머니’가 420명(70.5%)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가족식사를 못하는 이유’는 ‘가족이 함께 모일 시간이 없어서’ 라는 응답이 463명(77.7%)으로 가장 많았다.
      둘째, 일반적 특성 및 스마트폰 사용현황에 따른 집단 간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는 성별, 학년, 부모의 학력, 스마트폰 사용기간, 스마트폰 평균 사용시간, 스마트폰 주 사용기능에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먼저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스마트폰 중독이 높았으며, 학년은 3학년이 1, 2학년에 비해 스마트폰 중독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주 사용기능이 SNS 및 카카오톡 등과 같은 모바일 메신저 인 경우 스마트폰 중독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 집단에 따른 부모애착 및 가족식사 인식, 가족식사 빈도는 모두 일반사용자군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잠재적 위험사용자군 집단, 고위험사용자군 집단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부모애착 및 가족식사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는 모두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애착, 모애착, 가족식사 인식, 가족식사 빈도 모두 스마트폰 중독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애착 및 가족식사는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청소년의 부모애착에서 부애착은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애착은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식사인식과 가족식사 빈도는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변인에서 스마트폰 중독을 설명하는 것으로 규명된 요인을 포함한 부애착, 가족식사 인식, 식사 빈도, 성별, 학년, 스마트폰 사용 기능 중 가족식사인식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문제와 관련하여 여학생인 경우, 중학교 3학년인 경우, 스마트폰 주 사용기능이 SNS 및 카카오톡과 같은 메신저인 경우가 스마트폰 중독경향이 높게 나타났으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방안이 필요하며, 아버지와의 애착관계를 증가시키고 가족식사를 자주 하도록 노력하며, 가족식사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긍정적이 되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문제 5
      • Ⅱ. 이론적 배경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문제 5
      • Ⅱ. 이론적 배경
      • 1. 스마트폰 중독 6
      • 1) 스마트폰 중독의 개념 6
      • 2)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7
      • 2. 부모애착 9
      • 1) 부모애착의 개념 9
      • 2) 청소년의 부모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10
      • 3. 가족식사 11
      • 1) 가족식사의 개념 11
      • 2) 청소년의 가족식사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13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15
      •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15
      • 3. 측정도구 15
      • 1) 스마트폰 중독 척도 15
      • 2) 부모애착 척도 16
      • 3) 가족식사 척도 17
      • 4. 자료분석 방법 18
      • Ⅳ. 연구 결과
      •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9
      • 1) 인구통계학적 특성 19
      • 2) 스마트폰 사용현황 21
      • 3) 가족식사 현황 22
      •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 23
      • 1)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 23
      • 2) 스마트폰 사용현황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 25
      • 3. 주요변인의 수준 26
      • 4. 스마트폰 사용 수준별 집단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 27
      • 5. 청소년의 부모애착 및 가족식사와 스마트폰 중독간의 관계 28
      • 6.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9
      • Ⅴ. 논의 및 결론
      • 1. 논의 31
      • 2. 결론 33
      • 참고문헌 36
      • 부 록 45
      • Abstract 5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