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환보,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연구동향 분석" 한국교육학회 54 (54): 197-227, 2016
2 이종재, "한국교육행정론" 교육과학사 2012
3 오경희, "학부모들의 학교교육에 대한 인식과 열망에 관한 이해"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127-148, 2009
4 박환보, "초중등연계 세계시민교육의 효과 분석"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2 (12): 97-124, 2017
5 이혁규, "초등학교 수업 지도안 특성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1-29, 2012
6 박윤경,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인식 및 재구성 실태 조사" 한국초등교육학회 28 (28): 117-143, 2015
7 이동민, "초등지리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49 (49): 949-969, 2014
8 박민정,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인식 분석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열린교육학회 19 (19): 1-26, 2011
9 홍용희,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 연구자와 연구대상자의 관계" 15 (15): 131-153, 1998
10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아카데미프레스 2013
1 박환보,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연구동향 분석" 한국교육학회 54 (54): 197-227, 2016
2 이종재, "한국교육행정론" 교육과학사 2012
3 오경희, "학부모들의 학교교육에 대한 인식과 열망에 관한 이해"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127-148, 2009
4 박환보, "초중등연계 세계시민교육의 효과 분석"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2 (12): 97-124, 2017
5 이혁규, "초등학교 수업 지도안 특성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1-29, 2012
6 박윤경,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인식 및 재구성 실태 조사" 한국초등교육학회 28 (28): 117-143, 2015
7 이동민, "초등지리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49 (49): 949-969, 2014
8 박민정,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인식 분석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열린교육학회 19 (19): 1-26, 2011
9 홍용희,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 연구자와 연구대상자의 관계" 15 (15): 131-153, 1998
10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아카데미프레스 2013
11 이혜영, "중등학교 교사의 생활과 문화" 한국교육개발원 2001
12 이동민, "중등 지리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4 (54): 1-19, 2015
13 임경수, "중고등학생의 사회적 쟁점 수업에 대한 접근 허용성 비교"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4 (14): 131-164, 2007
14 교육부, "제 6차 교육과정 총론 해설(Ⅰ)"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2
15 김영천, "잔인한 3월 : 한국초등학교 초임교사의 3월의 삶에 대한 생애사 연구" 10 (10): 49-78, 2003
16 김미진,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교육과정 특성 분석: 2013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215-241, 2014
17 강혜영, "인천광역시 세계시민교육 추진방안 연구" 인천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 교육정책연구소 2016
18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국제이해교육원, "유네스코가 권장하는 세계시민교육 교수학습 길라잡이"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국제이해교육원 2015
19 유혜영, "시·도교육청의 세계시민교육 정책 현황 분석" 글로벌교육연구학회 9 (9): 3-33, 2017
20 배영주, "세계시민의 역할 과제를 중심으로 한 세계시민교육의 재구상" 교육과학연구소 44 (44): 145-167, 2013
21 이성회, "세계시민성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특성 분석: 초·중·고 학교급 별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23, 2017
22 장의선, "세계시민성에 대한 중학생과 교사의 인식 실태 연구" 글로벌교육연구학회 8 (8): 3-28, 2016
23 이성회, "세계시민교육의 실태와 실천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15
24 이성회,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현실적 딜레마" 한국다문화교육학회 9 (9): 31-56, 2016
25 교육부, "세계시민교육(GCED) 중앙선도교사 발대식"
26 박애경, "세계시민교육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수업 실천: ‘지구촌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2 (12): 121-157, 2017
27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국제이해교육원, "세계시민교육 정책 개발을 위한 가이드"
28 박순용,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들의 현장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2 (12): 49-88, 2017
29 김명정, "선거교육에 대한 사회과 교사의 인식연구-내용요소, 교수-학습자료, 기대효과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9 (39): 1-26, 2007
30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교육청, 인정도서 ‘세계시민’개발·보급"
31 강영삼, "새로운 교직과정을 위한 교육학개론" 교육과학사 2007
32 구정화, "사회과 쟁점 토론수업에서 금기주제 수용성 연구 - 초등예비교사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0 (50): 53-68, 2011
33 모경환, "사회과 글로벌 시티즌십 교육의 동향과 과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6 (46): 73-108, 2014
34 박순용, "난민문제를 통해서 본 세계시민교육의 과제에 대한 고찰"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0 (10): 77-99, 2015
35 조대훈, "글로벌 다문화 한국의 ‘시민’과 ‘시민교육’" 17 (17): 1-18, 2015
36 방기용, "근거이론을 적용한 교육과정 재구성 저해 요인 분석" 교육종합연구소 12 (12): 23-54, 2014
37 한경구, "국제이해교육에서 세계시민교육으로: 글로벌 교육패러다임의 진화 그리고 현장의 혼란"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2 (12): 1-43, 2017
38 강순원, "국제이해교육 맥락에서 한국 글로벌시민교육의 과제"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9 (9): 1-32, 2014
39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40 손희권, "국·공립학교 초·중등교원들의 정치활동을 제한하는 것은 헌법에 위반되는가" 22 (22): 397-419, 2004
41 박순용, "교육현장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방법" 5 (5): 97-117, 2010
42 정영근,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 수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고찰" 한국교육과정학회 29 (29): 93-119, 2011
43 한혜정, "교육과정" 학지사 2012
44 홍미화,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론적 논의-사회과수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4 (44): 101-124, 2005
45 류영휘, "교사의 내적 동기를 매개로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이 학교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6
46 김선정, "‘학교교육과 관계된 세계시민교육’ 연구경향: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활용하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07-228, 2017
47 Elbaz, F.,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report of a case study" 11 (11): 43-71, 1981
48 Bandura, A., "The self system in reciprocal determinism" 33 (33): 344-358, 1978
49 Elder, C. D., "The political uses of symbols" Longman Publishing Group 1983
50 Fontana, A., "Th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Publications 361-376, 1994
51 Ben Peretz, M., "Teacher-curriculum encounter, the freeing teachers from the tyranny of texts" Suny Press 1990
52 Bogdan, R. C., "Qualitative research: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ds" Allyn & Bacon 1992
53 김재웅, "MB 정부의 학교 자율화 정책 집행과정 분석 : 교육과정 자율화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정치학회 18 (18): 61-85, 2011
54 UNESCO, "Incheon Declaration – Education 2030: Towards inclusive and equitable quality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for all" UNESCO 2015
55 Pike, G., "In the Global Classroom(Ⅱ)" Pippin 2000
56 Hogeling, L., "Global citizenship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in the Netherlands" NCDO 2012
57 Schugurensky, 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arget 4.7: the Challenging Road Toward 2030" (2) : 22-28, 2018
58 Padgett, D. K., "Does the glove really fit? Qualitative research and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43 (43): 373-381, 1998
59 Rapoport, A., "A forgotten concep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state social study" 33 (33): 91-112, 2010
60 교육부, "2018년도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 운영계획안"
61 교육부, "2015 개정교육과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해설(Ⅰ)"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