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우리사회의 외모지상주의에 대한 기독교 사회학적 비판 = Christian sociological critique of lookism in our soc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4686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사회 외모지상주의에 대한 기독교 사회학적 비판

      기독교 사회학과 박재찬
      지 도 교 수 이 철

      우리 사회는 외모에 대한 관심이 대단히 많다. 텔레비전 드라마와 광고에 등장하는 거의 모든 사람들은 아름다운 얼굴과 건강미 넘치고, 마른 몸매의 사람이며, 인터넷은 매일 다양한 연예인들의 얼굴과 몸매를 찍은 사진을 기사거리로 다루고, 이러한 기사는 하루도 수십개를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아름다운 피부와 몸매를 가꾸는 책들이 인기를 끌고 있고, 다양한 몸매 관리와 피부 관리 프로젝트가 관심을 받고, 성형외과는 미용성형을 위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많은 사람들이 시술을 받고 있다.
      이렇게 외모에 대해서 사람들이 지나친 관심을 가지는 이유 중 하나는 미디어의 영향이다. 그 중에서도 광고는 짧지만 강한 이미지를 남기기 때문에 그 영향력은 막대하다. 또한 광고는 일차적인 의미 뒤에 또 다른 의미가 숨겨져 있고, 이 숨겨진 의미는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자연화되어 남아있게 된다. 이러한 광고의 영향력 때문에 광고 속의 외모지상주의는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의도하지 않게 자연화 되어 남아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광고의 이러한 영향력 때문에 우리 사회의 외모지상주의는 더욱 심각하게 나타난다.
      또한 우리 사회에서의 외모는 단순히 보기에 아름답고, 좋은 것이 아니다. 우리 사회의 외모는 이제 권력과 자본의 상징이다. 일차적으로는 외모는 취업과 사회생활의 성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나 이보다 더 심각한 문제는 외모는 이제 현대 기술력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프로젝트와 성형시술을 통해서 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젝트와 성형시술은 많은 시간과 돈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결국 외모는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권력과 자본을 보여주는 아주 중요한 상징이 되었다.
      사실 이러한 외모지상주의를 우리 개인이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아무런 영향력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인간은 어쩔 수 없이 다른 사람을 의식하게 되고, 사회의 시선을 의식하며 살아가게 된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다른 사람들의 욕망을 개인들이 욕망하게 된다. 다른 사람들이 욕망하는 외모를 개인들도 욕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 사회의 외모지상주의는 비판받아야 한다. 그리고 기독교는 의식을 가지고 더욱 심각해지는 외모지상주의에 대한 비판과 의식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우리 사회 외모지상주의에 대한 기독교 사회학적 비판 기독교 사회학과 박재찬 지 도 교 수 이 철 우리 사회는 외모에 대한 관심이 대단히 많다. 텔레비전 드라마와 광고에 등장하...

      우리 사회 외모지상주의에 대한 기독교 사회학적 비판

      기독교 사회학과 박재찬
      지 도 교 수 이 철

      우리 사회는 외모에 대한 관심이 대단히 많다. 텔레비전 드라마와 광고에 등장하는 거의 모든 사람들은 아름다운 얼굴과 건강미 넘치고, 마른 몸매의 사람이며, 인터넷은 매일 다양한 연예인들의 얼굴과 몸매를 찍은 사진을 기사거리로 다루고, 이러한 기사는 하루도 수십개를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아름다운 피부와 몸매를 가꾸는 책들이 인기를 끌고 있고, 다양한 몸매 관리와 피부 관리 프로젝트가 관심을 받고, 성형외과는 미용성형을 위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많은 사람들이 시술을 받고 있다.
      이렇게 외모에 대해서 사람들이 지나친 관심을 가지는 이유 중 하나는 미디어의 영향이다. 그 중에서도 광고는 짧지만 강한 이미지를 남기기 때문에 그 영향력은 막대하다. 또한 광고는 일차적인 의미 뒤에 또 다른 의미가 숨겨져 있고, 이 숨겨진 의미는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자연화되어 남아있게 된다. 이러한 광고의 영향력 때문에 광고 속의 외모지상주의는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의도하지 않게 자연화 되어 남아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광고의 이러한 영향력 때문에 우리 사회의 외모지상주의는 더욱 심각하게 나타난다.
      또한 우리 사회에서의 외모는 단순히 보기에 아름답고, 좋은 것이 아니다. 우리 사회의 외모는 이제 권력과 자본의 상징이다. 일차적으로는 외모는 취업과 사회생활의 성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나 이보다 더 심각한 문제는 외모는 이제 현대 기술력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프로젝트와 성형시술을 통해서 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젝트와 성형시술은 많은 시간과 돈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결국 외모는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권력과 자본을 보여주는 아주 중요한 상징이 되었다.
      사실 이러한 외모지상주의를 우리 개인이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아무런 영향력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인간은 어쩔 수 없이 다른 사람을 의식하게 되고, 사회의 시선을 의식하며 살아가게 된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다른 사람들의 욕망을 개인들이 욕망하게 된다. 다른 사람들이 욕망하는 외모를 개인들도 욕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 사회의 외모지상주의는 비판받아야 한다. 그리고 기독교는 의식을 가지고 더욱 심각해지는 외모지상주의에 대한 비판과 의식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ristian sociological critique of lookism
      in our society

      PARK, JAE-CHAN
      Department of Christian Sociology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Our society has great interests in looks. Everyone, appearing in TV dramas and ads, has beautiful face, healthy beauty, and slim body. Internet covers the photos of the faces and the bodies of many entertainers for article topics every day, and tens of these articles can be found everyday. Also, the books, dealing with beautiful skins and bodies, win popularity; the various projects for getting fit and skin care appeal to us; and many people undergo cosmetic surgery, without distinction of age or sex.
      One of the reasons why so many people have excessive interests in looks, is the influence by the media. Among them, the ads leaves very strong images, even though it is short, so the influence is enormous. Also, the ads has the secondary message hidden behind the primary message, and this hidden message is naturalized and left without our awareness. Due to the influence of ads like this, the lookism in ads, appears more seriously in our society. Also in our society, the looks is not just good and beautiful things to look at, but the symbol of capitalism. However, the more serious problem is the looks can be changed though various projects and cosmetic surgery, due the advanced modern technologies. However, these projects and cosmetic surgery are closely associated with a large amount of time and money. Eventually, the looks became the very important symbol, showing the power and the capital of the beholder. In fact, if we do not accept the lookism, it won't have any influence. However, humans will inevitably recognize the others and the eyes of our society, while they are living. And furthermore, they will desire what is desired by the others. Thus, a person will desire the looks which are desired by the others. From this perspective, the lookism in our society should be criticized. And christian critique of lookism which is getting more serious in our society, and its critical consciousness about that lookism, are required.
      번역하기

      Christian sociological critique of lookism in our society PARK, JAE-CHAN Department of Christian Sociology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Our society has great interests in looks. Everyone, appearing in TV dramas and ads, has beauti...

      Christian sociological critique of lookism
      in our society

      PARK, JAE-CHAN
      Department of Christian Sociology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Our society has great interests in looks. Everyone, appearing in TV dramas and ads, has beautiful face, healthy beauty, and slim body. Internet covers the photos of the faces and the bodies of many entertainers for article topics every day, and tens of these articles can be found everyday. Also, the books, dealing with beautiful skins and bodies, win popularity; the various projects for getting fit and skin care appeal to us; and many people undergo cosmetic surgery, without distinction of age or sex.
      One of the reasons why so many people have excessive interests in looks, is the influence by the media. Among them, the ads leaves very strong images, even though it is short, so the influence is enormous. Also, the ads has the secondary message hidden behind the primary message, and this hidden message is naturalized and left without our awareness. Due to the influence of ads like this, the lookism in ads, appears more seriously in our society. Also in our society, the looks is not just good and beautiful things to look at, but the symbol of capitalism. However, the more serious problem is the looks can be changed though various projects and cosmetic surgery, due the advanced modern technologies. However, these projects and cosmetic surgery are closely associated with a large amount of time and money. Eventually, the looks became the very important symbol, showing the power and the capital of the beholder. In fact, if we do not accept the lookism, it won't have any influence. However, humans will inevitably recognize the others and the eyes of our society, while they are living. And furthermore, they will desire what is desired by the others. Thus, a person will desire the looks which are desired by the others. From this perspective, the lookism in our society should be criticized. And christian critique of lookism which is getting more serious in our society, and its critical consciousness about that lookism, are requir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초록 ⅵ
      • ABSTRACT ⅷ
      • 목 차
      • 국문초록 ⅵ
      • ABSTRACT ⅷ
      • 제 1 장 서론 1
      • 1.1 문제제기 1
      • 1.2 연구목적과 연구방법 4
      • 1.3 연구사 6
      • 제 2 장 광고를 통해 보는 외모지상주의 신화읽기 : 롤랑 바르트의 신화론 중심으로 8
      • 2.1 기호학과 신화 8
      • 2.1.1 일상생활에서 기호 8
      • 2.1.2 소쉬르의 기호학 10
      • 2.1.3 롤랑 바르트의 신화론 12
      • 2.2 광고로 신화읽기 17
      • 2.2.1 ‘당신은 나이 들기 아까운 여자입니다’ : 화장품 광고 신화읽기 17
      • 2.2.2 ‘우월하다는 건 바로 이런 것!’ : 다이어트 광고 신화읽기 25
      • 2.3 광고 속 외모지상주의에 대한 기독교 사회학적 비판 31
      • 제 3 장 아름다운 외모가 특권이 되는 사회 : 미셸 푸코의 신체권력과 부르디외의 육체자본 중심으로 34
      • 3.1 신체권력과 육체자본 34
      • 3.1.1 미셸 푸코의 신체권력 34
      • 3.1.2 부르디외의 육체자본 43
      • 3.2 푸코와 부르디외의 이론으로 보는 우리 사회의 외모지상주의 59
      • 3.2.1 피부가 권력과 자본이 되는 사회 59
      • 3.2.2 체형으로 사회적 지위가 나타나는 사회 52
      • 3.2.3 외모를 경쟁력으로 보는 사회 54
      • 3.3 외모가 권력과 자본이 되는 우리 사회에 대한 기독교 사회학적 비판 56
      • 제 4 장 우리는 왜 아름다운 외모을 욕망하는가? : 자끄 라깡의 거울단계와 욕망이론 중심으로 59
      • 4.1 거울 단계와 타자의 욕망 59
      • 4.1.1 거울단계 59
      • 4.1.2 타자의 욕망 63
      • 4.2 라깡의 이론으로 보는 우리 사회의 외모지상주의 67
      • 4.2.1 깨끗한 피부와 어려보이는 외모를 욕망하는 사회 67
      • 4.2.2 마른 몸매을 욕망하는 사회 69
      • 4.3 외모에 대한 지나친 욕망에 대한 기독교 사회학적 비판 70
      • 제 5 장 결론 71
      • 참 고 문 헌 76
      • 그 림 목 차
      • [그림 2-1] 리엔케이 광고 ‘거울’ 편 24
      • [그림 2-2] 쥬비스 다이어트 지면광고 ‘G. NA’ 편 30
      • 표 목 차
      • [표 2-1] 롤랑 바르트의 신화론 15
      • [표 2-2] ‘당신은 나이 들기 아까운 여자입니다’ : Re;nk 화장품 광고 분석 23
      • [표 2-3] ‘우월하다는 건 바로 이런 것!’ : 다이어트 광고 분석 2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