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진로선택교과목인 ‘생활과 과학’ 과목에 제시된 환경교육 내용 요소를 ‘환경교육 내용 분석틀’에 비추어 분석하고, 차기 교육과정에 대비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913930
청주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지구과학교육전공 , 2021. 8. 졸업
2021
한국어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 ; 과학교육 ; 생활과 과학
550 판사항(22)
충청북도
Analysis of the Cont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Life & Science’ Subject in the 2015 Rrevised Science curriculum
ⅵ,52장 : 삽도 ; 26 cm
한국교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곽영순
참고문헌 : p. 43-45
I804:43012-00000003923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진로선택교과목인 ‘생활과 과학’ 과목에 제시된 환경교육 내용 요소를 ‘환경교육 내용 분석틀’에 비추어 분석하고, 차기 교육과정에 대비하...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진로선택교과목인 ‘생활과 과학’ 과목에 제시된 환경교육 내용 요소를 ‘환경교육 내용 분석틀’에 비추어 분석하고, 차기 교육과정에 대비하여 생활과 과학을 통한 환경교육 강화방안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생활과 과학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생활과 과학 내의 환경교육 내용 강화방안과 생활과 과학을 포함한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과의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 강화방안을 제안하였다. 생활과 과학 과목에 반영된 환경교육 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분석틀의 하위 범주별로 살펴보면, 환경 지식 35.9%, 환경 역량 4.7%, 환경 태도・가치 3.2%, 환경 실천 및 참여 10.9% 로 나타났다. 특히 환경 역량, 환경 가치・태도와 환경 실천과 참여 범주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는 생활과 과학이 다른 과학 과목과 마찬가지로 지식을 중심으로 성취기준을 진술하고 있으며, 역량, 가치・태도, 실천과 참여와 관련된 구체적인 진술문은 극히 드물게 제시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환경 지식 측면에서는 생활과 과학의 과목 특성상 인간사회시스템 지식과 환경과 인간사회의 상호작용에 관한 지식을 주로 다루며, 환경문제 해결과 관련된 실천전략과 관련된 지식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로 토대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과 과학을 통한 환경교육 강화를 위해 환경교육과 연계할 수 있는 내용의 양과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생활과 과학을 통해 환경교육을 강화할 수 있도록 생활과 과학 교육과정에도 핵심 개념별 탐구주제 및 활동(예시), 성취기준 해설 등을 환경교육과 연계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생활과 과학을 비롯하여 환경교육과 연계가 가능한 교과목의 경우 인지적 측면의 역량뿐만 아니라, 환경 태도・가치, 환경 실천과 참여 등과 같은 정의적 측면도 강화할 수 있도록 교과 역량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넷째, 범교과 학습주제 중 하나인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을 관련 교과에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환경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실제 교수학습에서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에서 강조하는 ‘실천과 참여’ 범주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