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초기 경력자의 OJT 프로그램 특성요인과 OJT 성과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OJT 프로그램 특성요인과 OJT 성과와의 관계에서 선배와의 관계강도가 갖는 조절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448518
서울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인적자원개발전공 , 2014. 2
2014
한국어
서울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s on the strength of ties with senior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JT program for early career employees and the OJT qutcomes : focusing on a domestic travel agency, H
viii, 132 p. : 삽화 ; 26 cm
지도교수: 조성용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초기 경력자의 OJT 프로그램 특성요인과 OJT 성과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OJT 프로그램 특성요인과 OJT 성과와의 관계에서 선배와의 관계강도가 갖는 조절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
이 연구는 초기 경력자의 OJT 프로그램 특성요인과 OJT 성과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OJT 프로그램 특성요인과 OJT 성과와의 관계에서 선배와의 관계강도가 갖는 조절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문제는 세 가지로 설정하였다. 첫째, 초기 경력자의 OJT 프로그램 특성요인은 OJT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초기 경력자와 선배와의 관계강도 정도는 OJT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초기 경력자의 OJT 프로그램 특성요인과 OJT 성과 간의 관계에서 선배와의 관계강도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국내 여행기업 H사에 근무하는 7년 이하의 초기 경력자 302명의 설문조사 자료로 최종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 검사를 거쳐 적합하게 나온 문항만을 최종 분석에서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조절효과분석이다. 자료 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기 경력자의 OJT 프로그램 특성요인이 OJT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다중회귀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H사 초기 경력자들의 초기 경력자의 OJT 프로그램 특성요인인 현장직무 환경, 피교육자의 학습동기, 지도 선배의 능력, OJT 설계와 OJT 지원은 OJT 성과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절변수인 초기 경력자와 선배와의 관계강도 정도는 OJT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다중회귀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그 결과 선배와의 관계강도 정도는 OJT 성과의 하위 변수인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모두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모형에 대한 상대적으로 낮은 설명력은 OJT 성과에 관해 영향을 미치는 선배와의 관계강도 이외의 다른 요인들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초기 경력자의 OJT 프로그램 특성요인이 OJT 성과 간의 관계에서 선배와의 관계강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선배와의 관계강도는 OJT 프로그램 특성요인 중 현장직무 환경, OJT 설계, OJT 지원과 OJT 성과(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리하면 첫째, 초기 경력자의 OJT 프로그램 특성요인인 현장직무 환경과 피교육자의 학습동기, 지도 선배의 능력, OJT 설계, OJT 지원 5가지 변인 모두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마찬가지로 조직몰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배와의 관계강도는 OJT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배와의 관계강도는 현장직무 환경, OJT 설계, OJT 지원과 OJT 성과 간의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