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임석재, "한국구전설화" 평민사 1993
2 전혜경, "한국-베트남 설화에 나타난 여성상 및 기층의식 비교연구" (9) : 2009
3 조단, "한.중 신데렐라형 민담의 문화형태학적 해석, In 한중민간설화비교연구" 보고사 2006
4 현용준, "제주도 신화의 수수께끼" 집문당 2005
5 미르치아 엘리아데, "영원회귀의 신화" 이학사 2009
6 대림태량, "신화학입문" 새문사 2007
7 카렌 암스트롱, "신화의 역사" 문학동네 2005
8 김기호, "신화에 나타난 곡모신 모티프의 성격과 고대 한국 농경문화의 기원" 22 : 2002
9 미르치아 엘리아데, "신화. 꿈. 신비" 숲 2006
10 주경철, "신데렐라 천년의 여행" 산처럼 2005
1 임석재, "한국구전설화" 평민사 1993
2 전혜경, "한국-베트남 설화에 나타난 여성상 및 기층의식 비교연구" (9) : 2009
3 조단, "한.중 신데렐라형 민담의 문화형태학적 해석, In 한중민간설화비교연구" 보고사 2006
4 현용준, "제주도 신화의 수수께끼" 집문당 2005
5 미르치아 엘리아데, "영원회귀의 신화" 이학사 2009
6 대림태량, "신화학입문" 새문사 2007
7 카렌 암스트롱, "신화의 역사" 문학동네 2005
8 김기호, "신화에 나타난 곡모신 모티프의 성격과 고대 한국 농경문화의 기원" 22 : 2002
9 미르치아 엘리아데, "신화. 꿈. 신비" 숲 2006
10 주경철, "신데렐라 천년의 여행" 산처럼 2005
11 질베르 뒤랑,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문학동네 2010
12 김환희, "비교문학적인 시각에서 본 <콩쥐팥쥐>의 기원과 특성" 2004
13 강진옥, "동아시아 농경 및 곡물기원 신화와 문화영웅의 존재양상" 한국구비문학회 21 (21): 375-425, 2005
14 이진성, "그리스 신화의 이해" 아카넷 2007
15 Adolf Ellegard Jensen, "Hainuwele, Vittorio Klostermann, frankfurt am Main"
16 Leo Viktor Frobenius, "Die Weltanschauung der Naturvölker" Emil Felder, Weimar 1898
17 Arthar E. Christy, "Chinese Cinderella" World Literure 1947
18 김헌선, "<밀의 기원>담의 Hainuwele신화적 성격" 한국구비문학회 30 (30): 129-158,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