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편고려사전문(新編高麗史全文)』의 편찬을 위한 방안 = A Scheme for Compilation of the Full Text of Newly Edited Goryeo Histor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blems pointed out in Goryeosa(高麗史) and Goryeosajeolyo(高麗史節要) that compiled in the middle of the 15th century are as follows. Firstly, when the first type of Goryeosa was typed, there was mis spelling, omitted words, etc., but i...

      The problems pointed out in Goryeosa(高麗史) and Goryeosajeolyo(高麗史節要) that compiled in the middle of the 15th century are as follows.
      Firstly, when the first type of Goryeosa was typed, there was mis spelling, omitted words, etc., but it was not corrected in the reprinted woodcut. Secondly, there is a case that failed to rearrange the previous year due to the change of the chronological order. Thirdly, in the contents, there are some cases in which the arrangement of time is not appropriate due to the first day of months in the lunar calendar, monthly difference, etc. Fourthly,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compilers wrote official rank, name, etc. wrong because the context of the facts i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Fifthly,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emperor's words and actions in the early period of Goryeo were demoted to that of the prince. Sixthly, because several people were compiled separately, there is a case that and the same facts were not recorded in any period at all.
      In order to find such errors, we should compare and examine the contents of strapline of Goryeosa and Goryeosajeolyo which was made based on the same historical sourc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ind out the actual facts by comparing some chronicles and materials of different sources. According to this method, I have reviewed the two chronicles and found that there are 120 articles to move to another period because of the problem with the arrangement of the period, 8,700 articles that can complement each other, and 2,600 articles that can be supplemented by other sour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相伯, "李朝建國의 硏究" 乙酉文化社 1947

      2 張東翼, "함안의 인물과 학문 Ⅵ" 咸安郡 2016

      3 尹龍爀, "여몽전쟁과 강화도성 연구" 혜안 2011

      4 노명호, "새 자료들로 보완한 『高麗史節要』와 『讎校高麗史』의 재인식" 진단학회 (124) : 27-56, 2015

      5 張東翼, "고려사 연구의 기초" 경인문화사 2016

      6 安英淑, "高麗時代年曆表" 韓國學術情報 2009

      7 尹龍爀, "高麗時代 史料量의 時期別 對備" 24 : 1986

      8 尹龍爀, "高麗對蒙抗爭史硏究" 일지사 1991

      9 金光哲, "高麗國史에서 高麗全史로" 67 : 2016

      10 張東翼, "高麗史世家初期篇補遺 1 ‧ 2" 景仁文化社 2014

      1 李相伯, "李朝建國의 硏究" 乙酉文化社 1947

      2 張東翼, "함안의 인물과 학문 Ⅵ" 咸安郡 2016

      3 尹龍爀, "여몽전쟁과 강화도성 연구" 혜안 2011

      4 노명호, "새 자료들로 보완한 『高麗史節要』와 『讎校高麗史』의 재인식" 진단학회 (124) : 27-56, 2015

      5 張東翼, "고려사 연구의 기초" 경인문화사 2016

      6 安英淑, "高麗時代年曆表" 韓國學術情報 2009

      7 尹龍爀, "高麗時代 史料量의 時期別 對備" 24 : 1986

      8 尹龍爀, "高麗對蒙抗爭史硏究" 일지사 1991

      9 金光哲, "高麗國史에서 高麗全史로" 67 : 2016

      10 張東翼, "高麗史世家初期篇補遺 1 ‧ 2" 景仁文化社 2014

      11 徐今錫, "高麗前期의 曆法과 曆日 硏究" 全南大學 2016

      12 李宗峯, "韓國의 度量衡史" 소명출판 2016

      13 盧明鎬‧, "重修文書 2" 國立中央博物館 2009

      14 麗元關係史硏究會, "譯註元高麗紀事" 선인 2008

      15 尹斗守, "禑‧ 昌非王說의 硏究" 5 ‧ 6合 : 1990

      16 盧明鎬, "校勘高麗史節要" 집문당 2016

      17 末松保和, "末松保和朝鮮史著作集 6" 吉川弘文館 1996

      18 加唐興三郞, "日本陰陽曆日對照表" 株式會社ニットー 2005

      19 中央氣象臺, "日本の氣象史料 1〜3" 原書房 1976

      20 渡邊敏夫, "日本‧ 朝鮮‧ 中國日食月食寶典" 雄山閣出版

      21 金光哲, "國譯高麗史 1" 景仁文化社 2008

      22 東亞大學 石堂學術院, "國譯高麗史" 2006

      23 장동익, "『고려사』의 편찬과정에서 발생한 誤謬의 諸樣相" 역사교육학회 (56) : 345-380, 2015

      24 김난옥, "『고려사』의 편찬과 조선전기 前朝史 인식" 한국사학회 (116) : 7-40, 2014

      25 노명호,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의 재인식과 한국사학의 과제" 역사학회 (228) : 119-149, 2015

      26 장동익, "『고려사』에 인용된 原典의 句節" 역사교육학회 (58) : 173-199, 2016

      27 장동익, "13世紀前半 崔氏政權期의 宰相" 역사교육학회 (51) : 319-358,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1 1.054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