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학교텃밭의 자유학기제 활용을 위한 중학생 요구 및 인식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503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자유학기제의 전면시행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자유학기에 도입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 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과정에 학교텃밭을 도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 하여 중학생들이 인식하는 학교텃밭에 대한 요구와 자유학기제 연계 가능성 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 결과 중학생에게 있어 텃밭활동 경험이 있을수록 원예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높았고, 응답자의 70% 이상이 학교텃밭 및 관련한 원예프로그램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교텃밭 필요성을 인식할수록 원예프로그램도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예프로그램 경 험이 있을수록 텃밭 및 원예프로그램 필요성을 더욱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유학기제와 연 계 한 텃밭 관련 원예프로그램에 참여할 의사가 높았다. 텃밭활동을 하고 있거나 해본 경험이 있는 대상에서 자유학기제와 연계가 가능하며, 참여의사가 있다는 의견이 높았으며, 원예프로그램 경험 이 있는 대상에서 참여의사가 높았다. 청소년 활동 지원을 위한 학교텃밭 및 원예프로그램 운영의 목적은 사회성 증진이 가장 높았으나 사회성 증진, 학습능력 강화, 신체건강 강화, 스트레스 및 심 리적 갈등 조절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교텃밭 및 원예프로그램의 자유학기제 연 계 가능성에 대해서는 가능하다는 의견이 50%를 넘었고 연계 가능한 자유학기 영역으로는 예술체 육활동이 가장 높았으나 주제선택, 동아리활동, 진로탐색 영역도 모두 약 20%대를 차지하여 크게 차이가 없었다. 원예활동 영역에 대한 중학생의 선호는 식물 기르기 활동, 식물을 이용한 요리활 동, 식물을 이용한 장식 및 공예활동 순으로 선호를 보였으며, 식물 기르기 활동에 대한 선호는 남 학생에서 더 높았고, 공예활동은 여학생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예식물에 대해서는 성별 에 상관없이 꽃, 허브, 과일의 순으로 선호가 높았고, 학교텃밭 시설 선호는 햇빛가림막, 온실, 테 이블 및 의자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텃밭 관리를 위해 필요한 사항은 재정마련, 교육 프로 그램, 전담 인력 배치, 관련 도서 비치 순이었다.
      번역하기

      자유학기제의 전면시행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자유학기에 도입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 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과정에 학교텃밭을 도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

      자유학기제의 전면시행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자유학기에 도입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 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과정에 학교텃밭을 도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 하여 중학생들이 인식하는 학교텃밭에 대한 요구와 자유학기제 연계 가능성 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 결과 중학생에게 있어 텃밭활동 경험이 있을수록 원예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높았고, 응답자의 70% 이상이 학교텃밭 및 관련한 원예프로그램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교텃밭 필요성을 인식할수록 원예프로그램도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예프로그램 경 험이 있을수록 텃밭 및 원예프로그램 필요성을 더욱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유학기제와 연 계 한 텃밭 관련 원예프로그램에 참여할 의사가 높았다. 텃밭활동을 하고 있거나 해본 경험이 있는 대상에서 자유학기제와 연계가 가능하며, 참여의사가 있다는 의견이 높았으며, 원예프로그램 경험 이 있는 대상에서 참여의사가 높았다. 청소년 활동 지원을 위한 학교텃밭 및 원예프로그램 운영의 목적은 사회성 증진이 가장 높았으나 사회성 증진, 학습능력 강화, 신체건강 강화, 스트레스 및 심 리적 갈등 조절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교텃밭 및 원예프로그램의 자유학기제 연 계 가능성에 대해서는 가능하다는 의견이 50%를 넘었고 연계 가능한 자유학기 영역으로는 예술체 육활동이 가장 높았으나 주제선택, 동아리활동, 진로탐색 영역도 모두 약 20%대를 차지하여 크게 차이가 없었다. 원예활동 영역에 대한 중학생의 선호는 식물 기르기 활동, 식물을 이용한 요리활 동, 식물을 이용한 장식 및 공예활동 순으로 선호를 보였으며, 식물 기르기 활동에 대한 선호는 남 학생에서 더 높았고, 공예활동은 여학생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예식물에 대해서는 성별 에 상관없이 꽃, 허브, 과일의 순으로 선호가 높았고, 학교텃밭 시설 선호는 햇빛가림막, 온실, 테 이블 및 의자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텃밭 관리를 위해 필요한 사항은 재정마련, 교육 프로 그램, 전담 인력 배치, 관련 도서 비치 순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ttempts have been made to introduce various contents into the free semester.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needs and percep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school garden and the possibility of linking to the free semester system in order to prepare basic data for introducing the school garden in the middle school free semester course. As a result, the more middle school students had experience in gardening, the higher their participation in gardening programs, and more than 70% of respondents recognized the need for school gardening and related gardening programs. In addition, the more experienced the horticultural program was, the more perceived the need for the gardening and horticultural program, and the higher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horticultural program related to the garden in connection with the free semester system. It is possible to connect with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opinions that there is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are high in those who have experience in gardening or have experience in gardening. The purpose of the school garden and gardening program to support youth activitie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ocial improvement, learning ability enhancement, stress and psychological conflict control, physical health enhancement. There were over 50% of opinions that the possibility of linking the school garden and gardening program to the free semester system was possible, and the arts and physics activity was the highest in the free semester area that could be linked, but the subjects selection activities, club activities, an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were all selected by 20%.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was not great. The preferen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area of horticultural activity were in order of plant raising activity, cooking activity using plants, decoration and crafting activities using plants, and preference was given to plant raising activities regardless of gender, but higher in male studen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craft activity was highly favored by female students. For gardening plants, regardless of gender, preference was given in order of fruits, herbs, and flower, preference for school garden facilities was high in order of sunscreen, greenhouse, tables, and chair. And In order to manage the school garden, finances, educational programs, staff assignment, and related books were in order.
      번역하기

      With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ttempts have been made to introduce various contents into the free semester.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needs and percep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school garden...

      With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ttempts have been made to introduce various contents into the free semester.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needs and percep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school garden and the possibility of linking to the free semester system in order to prepare basic data for introducing the school garden in the middle school free semester course. As a result, the more middle school students had experience in gardening, the higher their participation in gardening programs, and more than 70% of respondents recognized the need for school gardening and related gardening programs. In addition, the more experienced the horticultural program was, the more perceived the need for the gardening and horticultural program, and the higher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horticultural program related to the garden in connection with the free semester system. It is possible to connect with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opinions that there is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are high in those who have experience in gardening or have experience in gardening. The purpose of the school garden and gardening program to support youth activitie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ocial improvement, learning ability enhancement, stress and psychological conflict control, physical health enhancement. There were over 50% of opinions that the possibility of linking the school garden and gardening program to the free semester system was possible, and the arts and physics activity was the highest in the free semester area that could be linked, but the subjects selection activities, club activities, an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were all selected by 20%.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was not great. The preferen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area of horticultural activity were in order of plant raising activity, cooking activity using plants, decoration and crafting activities using plants, and preference was given to plant raising activities regardless of gender, but higher in male studen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craft activity was highly favored by female students. For gardening plants, regardless of gender, preference was given in order of fruits, herbs, and flower, preference for school garden facilities was high in order of sunscreen, greenhouse, tables, and chair. And In order to manage the school garden, finances, educational programs, staff assignment, and related books were in ord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학교텃밭
      • 2. 학교텃밭의 효과
      • 요약
      • I.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학교텃밭
      • 2. 학교텃밭의 효과
      • 3. 자유학기제의 이해
      • Ⅲ. 연구방법
      • 1. 조사대상 및 조사방법
      • 2. 조사내용 및 분석방법
      • Ⅳ. 결과 및 고찰
      • 1. 응답자 특성
      • 2. 학교텃밭 및 원예프로그램에 대한 일반적 인식
      • 3. 학교텃밭 및 원예프로그램의 자유학기제 연계 가능성 및 영역
      • 4. 원예활동과 식물에 대한 선호
      • 5. 학교텃밭 시설 및 관리 요구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동국, "학교텃밭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3 (23): 109-125, 2017

      2 최이진, "학교 텃밭의 지속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초등학교의 학교 텃밭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 한국조경학회 46 (46): 36-48, 2018

      3 이상원, "학교 텃밭의 교양 농업 교육 적용 사례 분석과 교육 효과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547-571, 2014

      4 김명호, "학교 텃밭을 적용한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1 (21): 55-72, 2015

      5 김희정, "학교 텃밭 체험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일에 대한 태도 변화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6 심소희, "학교 텃밭 참여주체의 인식 및 태도에 대한 연구 –서울시 중학교 4개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9

      7 임선빈, "폐교 위기의 학교 사례 연구. 학교 역할에 관한 구성원의 인식연구" 서울대학교 2015

      8 서울시, "초등학교 학교텃밭 조성․관리 지침" 플러스인쇄 2018

      9 정남식, "청소년 문제행동 완화를 위한 도시농업 체험활동의 효과 분석" 한국농촌지도학회 23 (23): 271-283, 2016

      10 윤현숙, "중학생들의 원예활동 인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1 황동국, "학교텃밭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3 (23): 109-125, 2017

      2 최이진, "학교 텃밭의 지속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초등학교의 학교 텃밭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 한국조경학회 46 (46): 36-48, 2018

      3 이상원, "학교 텃밭의 교양 농업 교육 적용 사례 분석과 교육 효과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547-571, 2014

      4 김명호, "학교 텃밭을 적용한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1 (21): 55-72, 2015

      5 김희정, "학교 텃밭 체험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일에 대한 태도 변화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6 심소희, "학교 텃밭 참여주체의 인식 및 태도에 대한 연구 –서울시 중학교 4개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9

      7 임선빈, "폐교 위기의 학교 사례 연구. 학교 역할에 관한 구성원의 인식연구" 서울대학교 2015

      8 서울시, "초등학교 학교텃밭 조성․관리 지침" 플러스인쇄 2018

      9 정남식, "청소년 문제행동 완화를 위한 도시농업 체험활동의 효과 분석" 한국농촌지도학회 23 (23): 271-283, 2016

      10 윤현숙, "중학생들의 원예활동 인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11 이영선, "중학교에서의 동아리 활동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2 이상미, "중학교 자유학기제 주제선택 활동으로서의 학교텃밭프로그램 모델(안)개발" 22 (22): 118-, 2019

      13 대전광역시 교육청, "중학교 자유학기제 자유학기 활동 운영 매뉴얼" 대전광역시 교육청 2015

      14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계획" 교육부 2015

      15 손기철, "전문적 원예치료의 실제" 쿠북 2006

      16 강동호, "자유학기제 학교텃밭 프로젝트 학습이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성취도 및 직업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2016

      17 조성경, "자유학기제 운영 학교의 특성에 따른 정책의 효과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41-68, 2018

      18 김미진,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교육과정 특성 분석: 2013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215-241, 2014

      19 이민정, "원예활동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인간식물환경학회 15 (15): 93-98, 2012

      20 김달효, "사례연구를 통해 본 자유학기제의 가능성과 한계" 교육연구소 21 (21): 179-202, 2015

      21 서울특별시, "도시농업실태조사보고서" 서울특별시 2018

      22 이상미, "대상자별 원예치료의 효과와 수익접근법적 경제가치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6

      23 국립농업과학원, "농가가 운영하는 농생명산업 진로체험 프로그램" 국립농업과학원 2018

      24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교사를 위한 스쿨가드닝 매뉴얼 A to Z" 국립원예특작과학원 2014

      25 교육부, "2018 년 자유학년 및 연계학기 운영 가이드" 교육부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1.03 1.387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