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까지 금척리 고분군의 발굴 자료만을 근거로 하면, 금척리 집단은 3세기 말부터 성장하다가 5세기 후반 급부상했으며, 금척리 고총군은 마립간릉의 배총으로 묻혔던 인물들 중 모량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까지 금척리 고분군의 발굴 자료만을 근거로 하면, 금척리 집단은 3세기 말부터 성장하다가 5세기 후반 급부상했으며, 금척리 고총군은 마립간릉의 배총으로 묻혔던 인물들 중 모량부 ...
현재까지 금척리 고분군의 발굴 자료만을 근거로 하면, 금척리 집단은 3세기 말부터 성장하다가 5세기 후반 급부상했으며, 금척리 고총군은 마립간릉의 배총으로 묻혔던 인물들 중 모량부 출신이 그들의 전통적인 묘지로 다시 돌아와 조영한 것이다. 그들이 선조들의 묘지로 다시 돌아온 이유는 모량부 출신이라는 계보를 강조할 필요성이 대두되었기 때문이다. 방내리 고분군의 조영은 곽묘에서 실묘로의 변화라는 매장시설의 전환에 따른 묘역의 이동이라는 계기도 있겠지만 금척리 고총군을 조영한 유력집단에서 왕비를 배출하면서 성장한 유력가문이 그들의 지위를 과시하고 현창하기 위해 공동체적 성격이 강한 금척리 고분군을 탈거해 다른 묘지를 조영한 결과이다. 또 이 시기는 신라 6부의 성격이 단위정치체에서 행정구역으로 변화하는 때이고, 이와 함께 수취 단위가 공동체에서 가족이나 가호 단위로 재편되고 있었는데, 석실은 그러한 사회적 변화와 함께 도입되었기 때문에 제도적인 차원에서 실묘가 도입되었다는 것을 알려준다. 결론적으로 금척리 고분군이 단위공동체인 모량부를 표상하는 묘지라면, 방내리 고분군은 유력가문을 현창하는 묘지이며, 행정구역화된 모량부의 성격이 반영된 묘지로 이해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til now, based only on the excavation data of Geumcheok-ri Tombs, the Geumcheok-ri (金尺里) Group grew from the end of the 3rd century and rapidly emerged in the late 5th century, and among the figures buried as the associated mound of Maripgan (...
Until now, based only on the excavation data of Geumcheok-ri Tombs, the Geumcheok-ri (金尺里) Group grew from the end of the 3rd century and rapidly emerged in the late 5th century, and among the figures buried as the associated mound of Maripgan (麻立干) Tomb, Moryang-bu (牟梁部) returned to their traditional site and built it. The reason why they returned to the graves of their predecessors is that there is a need to emphasize the genealogy of being from Moryang-bu (牟梁部). The construction of the Bangnae-ri (芳內里) tomb group also had an opportunity to move the grave area due to the change in burial facilities, which was changed from a wooden tomb to a stone chamber tomb, but it was seen as the result of the removal of the Geumcheok-ri (金尺里) tomb group, which has a strong community character. In addition, during this period, the character of the Silla's Six Bu (6部) changed from a political body to an administrative district, and along with this, the tax collection position was reorganized from community to a family position. Since stone chamber was introduced with such social changes, it shows that chamber tombs were introduced from an institutional level. In conclusion, if Geumcheok-ri (金尺里) Tombs represent Moryang-bu (牟梁部), a common body, the Bangnae-ri (芳內里) Tombs are graves that honor influential families, reflecting the nature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신라 <수구즉득다라니>의 金剛神像, 그리고 <금동방형경합>
신라 능묘에 보이는 국제교류 - 獸頭人身 武將形 十二支像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