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모량․방내리 도시유적으로 본 모량부 = Morangbu seen Through the Urban Archaeological Sites in Morang and Bangnae-ri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모량부는 신라 중고기 왕실과 네 차례 혼인관계를 맺은 왕비족으로, 정치적 중요성을 지닌 집단이었다. 금척리와 방내리 고분군에서 확인되는 독자적인 묘제는 모량부의 독특한 문화와 사회적 위상을 보여준다. 문헌 기록에 따르면, 모량부는 왕경 서쪽의 관문 역할을 하며, 서교, 북교, 서부로 대표되는 공간이었다. 또한 ‘무산 대수촌’으로도 불렸는데, 무산은 단석산으로 보이며, 실제 주요 유적은 이 산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모량․방내리 도시 유적은 도로망으로 체계적으로 구획되어 경주 왕경의 구조와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도시의 구획은 모량리 사지가 건립된 6세기 말~7세기 초 이후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모량리 사지의 방향과 도로망의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점은 도로조영의 시간차를 반영한다. 또한 이 지역에서는 하천 범람을 방지하기 위한 석축과 성토 작업 등 인위적인 환경 조성이 이루어졌다. 아울러 수변 제사의 흔적도 발견되어 당시의 종교적 행위를 엿볼 수 있다.
      통일신라 후기인 7세기 후반부터 9세기까지 모량부는 중요한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기와 건축물을 통해 도시 경관이 장엄되었다. 이곳에서 출토된 기와는 황룡사, 월성 등 국가의 권위건축물에 공급된 것과 동일한 디자인이다. 한편 화천리와 방내리의 기와가마에서는 대형 기와가 생산되었다. 이러한 대형기와는 남산신성, 부산성, 월정교 남측부지 유적 등 국가의 주요 시설에 공급되었다. 모량부의 기와가마에서 생산된 기와는 국가의 공적 시설에 공급되어 도시 장엄에 크게 기여하였다.
      번역하기

      모량부는 신라 중고기 왕실과 네 차례 혼인관계를 맺은 왕비족으로, 정치적 중요성을 지닌 집단이었다. 금척리와 방내리 고분군에서 확인되는 독자적인 묘제는 모량부의 독특한 문화와 사...

      모량부는 신라 중고기 왕실과 네 차례 혼인관계를 맺은 왕비족으로, 정치적 중요성을 지닌 집단이었다. 금척리와 방내리 고분군에서 확인되는 독자적인 묘제는 모량부의 독특한 문화와 사회적 위상을 보여준다. 문헌 기록에 따르면, 모량부는 왕경 서쪽의 관문 역할을 하며, 서교, 북교, 서부로 대표되는 공간이었다. 또한 ‘무산 대수촌’으로도 불렸는데, 무산은 단석산으로 보이며, 실제 주요 유적은 이 산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모량․방내리 도시 유적은 도로망으로 체계적으로 구획되어 경주 왕경의 구조와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도시의 구획은 모량리 사지가 건립된 6세기 말~7세기 초 이후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모량리 사지의 방향과 도로망의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점은 도로조영의 시간차를 반영한다. 또한 이 지역에서는 하천 범람을 방지하기 위한 석축과 성토 작업 등 인위적인 환경 조성이 이루어졌다. 아울러 수변 제사의 흔적도 발견되어 당시의 종교적 행위를 엿볼 수 있다.
      통일신라 후기인 7세기 후반부터 9세기까지 모량부는 중요한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기와 건축물을 통해 도시 경관이 장엄되었다. 이곳에서 출토된 기와는 황룡사, 월성 등 국가의 권위건축물에 공급된 것과 동일한 디자인이다. 한편 화천리와 방내리의 기와가마에서는 대형 기와가 생산되었다. 이러한 대형기와는 남산신성, 부산성, 월정교 남측부지 유적 등 국가의 주요 시설에 공급되었다. 모량부의 기와가마에서 생산된 기와는 국가의 공적 시설에 공급되어 도시 장엄에 크게 기여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rangbu was a royal consort clan of significant political importance during the Middle and Late Silla periods, maintaining marital ties with the royal family over four generations. The unique burial practices evident in the tomb clusters at Geumcheok-ri and Bangnae-ri reflect the distinctive culture and social status of Morangbu.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Morangbu served as the western gateway to the royal capital, encompassing areas such as Seogyo (西郊), Bukgyo (北郊), and Seobu (西部). It was also known as “Musan Daesu Village,” with Musan presumed to refer to Mount Danseok, around which major archaeological sites were concentrated.
      The urban archaeological sites at Morang and Bangnae-ri exhibited systematically organized road networks, mirroring the structural layout of the royal capital in Gyeongju. Urban development appears to have occurr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Morang-ri temple site in the late 6th to early 7th centuries, as evidenced by the misalignment of the temple's orientation with the road networks, indicating a chronological gap. Additionally, artificial modifications to the environment, such as embankments and landfills to prevent river flooding, were implemented in the area. Traces of riverside rituals further reveal insights into the religious practices of the time.
      From the late 7th century to the 9th century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Morangbu developed into a significant hub. The urban landscape was enhanced by tile-roofed buildings, with tiles excavated from the site sharing designs with those used in major state structures such as Hwangnyongsa (皇龍寺) and Wolseong (月城). Moreover, large-scale kilns in Hwachon-ri and Bangnae-ri produced sizable roof tiles, which were supplied to key national facilities, including Namsan Fortress, Busan Fortress, and Woljeong Bridge's southern site. These tiles, manufactured in Morangbu's kilns,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construction of state infrastructure,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the architectural grandeur of Silla's urban centers.
      번역하기

      Morangbu was a royal consort clan of significant political importance during the Middle and Late Silla periods, maintaining marital ties with the royal family over four generations. The unique burial practices evident in the tomb clusters at Geumcheok...

      Morangbu was a royal consort clan of significant political importance during the Middle and Late Silla periods, maintaining marital ties with the royal family over four generations. The unique burial practices evident in the tomb clusters at Geumcheok-ri and Bangnae-ri reflect the distinctive culture and social status of Morangbu.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Morangbu served as the western gateway to the royal capital, encompassing areas such as Seogyo (西郊), Bukgyo (北郊), and Seobu (西部). It was also known as “Musan Daesu Village,” with Musan presumed to refer to Mount Danseok, around which major archaeological sites were concentrated.
      The urban archaeological sites at Morang and Bangnae-ri exhibited systematically organized road networks, mirroring the structural layout of the royal capital in Gyeongju. Urban development appears to have occurr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Morang-ri temple site in the late 6th to early 7th centuries, as evidenced by the misalignment of the temple's orientation with the road networks, indicating a chronological gap. Additionally, artificial modifications to the environment, such as embankments and landfills to prevent river flooding, were implemented in the area. Traces of riverside rituals further reveal insights into the religious practices of the time.
      From the late 7th century to the 9th century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Morangbu developed into a significant hub. The urban landscape was enhanced by tile-roofed buildings, with tiles excavated from the site sharing designs with those used in major state structures such as Hwangnyongsa (皇龍寺) and Wolseong (月城). Moreover, large-scale kilns in Hwachon-ri and Bangnae-ri produced sizable roof tiles, which were supplied to key national facilities, including Namsan Fortress, Busan Fortress, and Woljeong Bridge's southern site. These tiles, manufactured in Morangbu's kilns,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construction of state infrastructure,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the architectural grandeur of Silla's urban center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