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주도민과 제주방문 도보여행객의 제주올레에 대한 만족도와 친환경 행동 비교 = A Comparative Study of Satisfaction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on the Jeju Olle among Jeju Residents and Visi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591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제주올레는 2007년 제1코스 개장을 시작으로 2017년 2월 현재 총26개 코스가 제주전역에 퍼져있으며 매년 1백 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제주 올레를 걷기 위해 제주를 방문하고 있다. 제주올레는 ...

      제주올레는 2007년 제1코스 개장을 시작으로 2017년 2월 현재 총26개 코스가 제주전역에 퍼져있으며 매년 1백 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제주 올레를 걷기 위해 제주를 방문하고 있다. 제주올레는 환경문제가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는 현 시점에서 도보 여행으로서 제주의 자연과 생태계를 지킬 수 있는 대표적인 친환경 여행 형태라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지금까지 제주올레에 대한 연구는 제주방문 관광객 위주로 진행되어 제주올레의 또 하나의 주인이라고 할 수 있는 제주도민의 제주 올레 여행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 방문 올레 도보여행자들과 제주도민을 함께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제주올레에 대한 여행 행태와 여행 만족도, 친환경 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2016년 12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수집한 총 290부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제주도민은 제주방문 올레 도보 여행자에 비해 평균 동반 인원수가 더 많은 반면 제주올레 여행 만족도와 친환경 행동 점수는 제주방문 올레 도보 여행자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주도민이 제주방문 올레도보 여행자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친환경 행동을 보인 본 연구 결과는 제주전체의 환경문제와 연관되는 것으로 친환경 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주도민 대상의 지속적인 환경 교육 프로그램과 홍보가 필요한 때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Jeju Olle Trail Route No. 1 has opened in 2007, and over one million visitors per year trek total of 26 Olle trails throughout the island of Jeju as of 2017. The Olle trekking is one of eco-friendly tourism activities in the era of social issues w...

      The Jeju Olle Trail Route No. 1 has opened in 2007, and over one million visitors per year trek total of 26 Olle trails throughout the island of Jeju as of 2017. The Olle trekking is one of eco-friendly tourism activities in the era of social issues with environmental collapse and threats. Up until now, studies on the Jeju Olle trail are focused on the visitors while the studies on residents who are the other major pillar of Jeju Olle trail have been limited. The study aims to compare the visit types, satisfaction level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s between the visitors and residents on Jeju Olle trails. Total of 290 survey was collected in three month period from December, 2016 to February, 2017. The survey result indicates the Jeju residents trek the Jeju Olle in a larger group than the Jeju Olle visiting trekkers and show lower level in the visit satisfaction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s. The noticeable lower level in the pro-environmental behaviors of residents can directly connect to the issue of Jeju environment as a whole, and the continuing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and promotion for residents to improve the pro-environmental behavior level is essentia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협, "환경친화적 가정자원 관리행동과 환경의식, 환경지식, 환경교육" 한국가정관리학회 21 (21): 91-102, 2003

      2 강성일, "제주올레관광자와 대중관광객의 특성 비교 - 방문동기, 환경친화적 여행태도, 웰빙인식을 중심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23-40, 2011

      3 성영애, "인천지역 성인소비자의 환경의식과 환경의식적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35-51, 2005

      4 노경국, "도보여행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 연구 - 제주올레 여행객을 중심으로 -" 동북아관광학회 7 (7): 131-146, 2011

      5 The Halla Ilbo, "‘Eco-friend life’ lead by public institutions and enterprises"

      6 "http://www.jejuolle.org"

      7 Kaiser, F. G., "The proposition of a general vers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Predicting ecological behavior”" 33 (33): 586-603, 2003

      8 The Halla Ilbo, "The Global Environment Hub by 2020‘May not be possible to achieve’ worrisome islanders"

      9 Yoon Dong-gu, "Development of the Tourist Satisfaction Structure Model" Kyonggi University 2001

      10 Yonhap News, "Dear visitors, Please heal yourself in Jeju with a little less trash!"

      1 이상협, "환경친화적 가정자원 관리행동과 환경의식, 환경지식, 환경교육" 한국가정관리학회 21 (21): 91-102, 2003

      2 강성일, "제주올레관광자와 대중관광객의 특성 비교 - 방문동기, 환경친화적 여행태도, 웰빙인식을 중심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23-40, 2011

      3 성영애, "인천지역 성인소비자의 환경의식과 환경의식적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35-51, 2005

      4 노경국, "도보여행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 연구 - 제주올레 여행객을 중심으로 -" 동북아관광학회 7 (7): 131-146, 2011

      5 The Halla Ilbo, "‘Eco-friend life’ lead by public institutions and enterprises"

      6 "http://www.jejuolle.org"

      7 Kaiser, F. G., "The proposition of a general vers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Predicting ecological behavior”" 33 (33): 586-603, 2003

      8 The Halla Ilbo, "The Global Environment Hub by 2020‘May not be possible to achieve’ worrisome islanders"

      9 Yoon Dong-gu, "Development of the Tourist Satisfaction Structure Model" Kyonggi University 2001

      10 Yonhap News, "Dear visitors, Please heal yourself in Jeju with a little less trash!"

      11 Kim Wan-suk, "Criterion-related validities of indirect mesurements of consumer satisfaction" 9 (9): 63-81, 1998

      12 The Halla Ilbo, "Clean Jeju, How!: Disastrous Trash Issue, First"

      13 Kim Sung-bo, "Basic research evaluating the impact of the opening of Jeju Olle trails on the local villagers, and suggesting ideas for improvement.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2 : 139-142, 2012

      14 Kim Kye-su, "Analyzation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Hannarae Academy 2010

      15 Jun Hyung-kyu,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 of Characteristics in Tourism Site, Tourists'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Keimyung University 2008

      16 Hee-Jun Son, "A Value Evaluation Research of the Old-growth and Giant Tree - Focus on Gyeongju Gyerim's Zelkova Serrata -"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4 (34): 51-56, 2016

      17 Kim Jung-jun., "A Study of Tourism Motivation, Satisfaction and Tourism Attractiveness per Tourism Destination Type" Kyonggi University 2010

      18 Oliver, R. L.,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37 : 460-469,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원학회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원학회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5 0.584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