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der emerged as a social issue in Korea after the occurrence of controversial incidents such as the ‘Gangnam Station murder case in 2016’, the ‘MeToo movement in 2018’, and the ‘N room incident in 2020.’ In particular, the Gangnam Statio...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940432
서울 :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행정언론대학원, 2024
학위논문(석사) --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행정언론대학원 , 문화엔터테인먼트학과 , 2024. 2
2024
한국어
659 판사항(22)
서울
A study on changes in gender equality media reporting due to a gender desk and gender reporter operations : A analysis of gender desk and gender reporter interviews
iv, 90 p. : 삽도 ; 26 cm
한국외국어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지성욱
참고문헌: p. 83-88
I804:11059-20000073357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ender emerged as a social issue in Korea after the occurrence of controversial incidents such as the ‘Gangnam Station murder case in 2016’, the ‘MeToo movement in 2018’, and the ‘N room incident in 2020.’ In particular, the Gangnam Statio...
Gender emerged as a social issue in Korea after the occurrence of controversial incidents such as the ‘Gangnam Station murder case in 2016’,
the ‘MeToo movement in 2018’, and the ‘N room incident in 2020.’ In particular, the Gangnam Station murder incident led to a resurgence of
feminism, especially amo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and gender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in our society. However, one of the factors that led to the spread of gender as a critical social issue is related to the behavior of media reports covering such incidents.
Sexist reporting by the media undermining gender equality reporting, such as provocative reporting and secondary victimization, served as a factor in spreading gender issues. As a result, gender, feminism, and gender equality have emerged as hot topics of debate in Korean societ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media reporting on gender equality.
Accordingly, this paper starts from the position that the media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misperceptions of gender prevalent in Korean society, and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impact of the activities of domestic gender desks and gender reporters on the national media's reporting on gender equality.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gender desks, gender reporters, and reporters interested in gender articles among domestic media companies to explore the status and roles of gender desks and gender reporters, as well as changes in operation and pending issu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operation of the gender desk and the activities of gender report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reporting on
gender equality and improved gender sensitivity’, ‘abolished the comment window through public discussion of the reality of secondary perpetrators’, and ‘increased social interest in the sexual crime victim protection bill’, It was confirmed to have positive effects, such as ‘spreading awareness of the need for individual gender-sensitive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gender equality reporting guidelines’ and ‘forming a climate of news reporting on various topics such as women, sexual minorities, and the disabled’.
However, despite these positive effects, problems such as ‘prejudice toward gender reporters’, and a ‘portal-centered media landscape’still
persist, and ‘instability in the existence of gender desks and gender reporters’ was reveale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 that much
improvement is still needed in the reporting of gender equality in domestic media. In order to improve this gender equality reporting problem in the domestic media landscape, it is essential to provide training and efforts to improve the gender sensitivity of individual reporters and to establish a gender reporting system at media companies. In addition, to improve gender equality reporting,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gender desks and gender reporters at news agencies with high article share and dissemination power.
In order for gender-related topics to be embraced without discrimination in our society and for gender equality to be repor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without prejudice, changes in the domestic media landscape and the creation of a foundation for a healthy gender equality culture must be prioritized.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에서 젠더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것은 ‘2016년 강남역 살인사건’, ‘2018년 미투 운동’, ‘2020년 텔레그램 성 착취 방 사건(N 번방 사건)’ 등 대형 성폭력 사건들이 발생하면서부터이...
한국에서 젠더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것은 ‘2016년 강남역 살인사건’, ‘2018년 미투 운동’, ‘2020년 텔레그램 성 착취 방 사건(N 번방 사건)’ 등 대형 성폭력 사건들이 발생하면서부터이다. 특히 강남역 살인사건을 계기로 2030 여성들을 중심으로 페미니즘이 리부트되고, 젠더가 우리 사회의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었다.
그러나 젠더가 사회적 문제로 확산된 요인 중에는 이러한 사건들이 발생했을 때 언론의 보도 행태와 관련이 있다. 자극적 보도, 피해자 2차 가해 등 성평등 보도를 무너뜨린 언론들의 성차별적 보도가 젠더 문제를 확산시킨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 결과, 한국 사회에서 젠더와 페미니즘, 성평등이 매우 뜨거운 논쟁거리로 떠올라, 미디어의 성평등 보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한국 사회에 만연한 잘못된 젠더 인식에 미디어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입장에서 시작하여, 국내 일부 언론사에서 시행 중인 젠더 데스크와 젠더 담당 기자의 활동이 언론사의 성평등 보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분석했다. 이를 위해 국내 언론사 중 젠더 데스크와 젠더 기자, 그리고 젠더 기사에 관심을 가진 기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젠더 데스크와 젠더 기자의 활동 현황과 역할, 그리고 운영에 따른 변화와 현안 문제들을 탐색했다.
연구 결과, 젠더 데스크 운영과 젠더 기자의 활동이 ‘성평등 보도의 중요성 인식 및 젠더 감수성 향상’, ‘2차 가해 실태의 공론화를 통한 댓글 창 폐지’, ‘성범죄 피해자 보호법안에 대한 사회적 관심 향상’, ‘성평등 보도 가이드라인에 따른 개인별 성인지 감수성 교육의 필요성 인식 확산’, ‘여성, 성소수자, 장애인 등 다양한 주제의 뉴스 보도 기류 형성’ 등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젠더 기자를 향한 편견’, ‘포털 중심의 언론 지형’이 여전하고, ‘젠더 데스크 및 젠더 기자의 존속 불안정성’과 같은 문제점들이 드러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국내 언론사의 성평등 보도에 아직도 많은 개선이 필요한 상태임을 보여준다.
국내 언론 지형에서 성평등 보도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자들 개인의 젠더 감수성 향상을 위한 교육과 노력, 언론사 자체의 젠더 보도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이다. 더불어 성평등 보도의 향상을 위해 기사 점유율과 전파력이 높은 통신사의 젠더 데스크와 젠더 기자 운용 도입이 필요하다. 우리 사회에서 젠더와 관련한 주제가 차별 없이 포용되고, 편견 없는 다양한 관점으로 성평등 보도가 이뤄지기 위해서는 국내 언론의 지형변화와 건강한 성평등 문화의 기반 조성이 선행되어야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