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일자리사업에 관한 인식 유형화 연구: Q 방법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ubjective Perception Pattern of the Senior Employment Program: by Using Q Method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57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at are subjective perceptions of the Senior Employment Program?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various patterns on the Senior Employment Program by using Q methodology which explores subjectivities of human beings. The researchers selected 47 Q samples among 478 Q populations from news articles, literatures an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the reliability was .779. Thirty people, who were general people, professionals and participants in the Senior Employment Program, sorted Q statements and the obtained data was analysed by the QUANL program. The perception patterns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and the eigen value was .3873.
      Four types were different in perceptions on specific target, goal, definition, main problems of the Senior Employment Program, interventions to activate the program and perspectives on seniors and job for seniors. The perception patterns on the Senior employment program are following; a social participation program to get spending money which is similar to volunteering(type 1), a job program to secure income for the poor(type 2), a job program for the elderly in the open labour market(type 3) and workfare program for seniors who want to work(type 4).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researchers offered some significant implications to activate the Senior Employment Program and suggested several following studies.
      번역하기

      What are subjective perceptions of the Senior Employment Program?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various patterns on the Senior Employment Program by using Q methodology which explores subjectivities of human beings. The researchers selected...

      What are subjective perceptions of the Senior Employment Program?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various patterns on the Senior Employment Program by using Q methodology which explores subjectivities of human beings. The researchers selected 47 Q samples among 478 Q populations from news articles, literatures an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the reliability was .779. Thirty people, who were general people, professionals and participants in the Senior Employment Program, sorted Q statements and the obtained data was analysed by the QUANL program. The perception patterns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and the eigen value was .3873.
      Four types were different in perceptions on specific target, goal, definition, main problems of the Senior Employment Program, interventions to activate the program and perspectives on seniors and job for seniors. The perception patterns on the Senior employment program are following; a social participation program to get spending money which is similar to volunteering(type 1), a job program to secure income for the poor(type 2), a job program for the elderly in the open labour market(type 3) and workfare program for seniors who want to work(type 4).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researchers offered some significant implications to activate the Senior Employment Program and suggested several following stud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해 이해당사자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본 연구는 인간의 주관성을 연구하는 Q 방법론을 활용하여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여러 인식들을 유형화하였다. 신문기사 및 문헌자료, 심층면접을통해 478개의 Q 모집단에서 47개의 Q 표본을 선정하였는데, 신뢰도는 r=.779로 나타났다. 총 30명의 일반인,전문가, 사업참여자를 대상으로 Q 분류를 진행하였고 QUANL 프로그램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4개의 유형으로 분석되었고 38.73%의 설명력을 보였다. 4개의 유형은 사업대상, 사업목적, 사업성격, 주요문제 및개선방안, 노인과 노인의 일에 대한 관점에서 서로 상이한 인식을 보였다. 그 세부 내용을 바탕으로 ‘자원봉사수준의 용돈벌이를 위한 사회참여프로그램(1유형)’, ‘빈곤층의 소득보장을 위한 일자리 프로그램(2유형)’, ‘개방된 노동시장에서의 일자리 제공 프로그램(3유형)’, ‘일자리를 원하는 노인을 위한 정부 주도의 복지프로그램(4유형)’으로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인식유형화가 이루어졌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일자리사업에 관한함의와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해 이해당사자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본 연구는 인간의 주관성을 연구하는 Q 방법론을 활용하여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여러 인식들을 유형화하였다. 신문기사 ...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해 이해당사자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본 연구는 인간의 주관성을 연구하는 Q 방법론을 활용하여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여러 인식들을 유형화하였다. 신문기사 및 문헌자료, 심층면접을통해 478개의 Q 모집단에서 47개의 Q 표본을 선정하였는데, 신뢰도는 r=.779로 나타났다. 총 30명의 일반인,전문가, 사업참여자를 대상으로 Q 분류를 진행하였고 QUANL 프로그램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4개의 유형으로 분석되었고 38.73%의 설명력을 보였다. 4개의 유형은 사업대상, 사업목적, 사업성격, 주요문제 및개선방안, 노인과 노인의 일에 대한 관점에서 서로 상이한 인식을 보였다. 그 세부 내용을 바탕으로 ‘자원봉사수준의 용돈벌이를 위한 사회참여프로그램(1유형)’, ‘빈곤층의 소득보장을 위한 일자리 프로그램(2유형)’, ‘개방된 노동시장에서의 일자리 제공 프로그램(3유형)’, ‘일자리를 원하는 노인을 위한 정부 주도의 복지프로그램(4유형)’으로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인식유형화가 이루어졌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일자리사업에 관한함의와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원, "현장에서 읽는 노동연계복지 : 자활사업에서 사회적기업까지" 아르케 2012

      2 남기철, "한국 노인일자리사업의 현황과 쟁점" 148 : 12-19, 2011

      3 황상민, "주관성에 대한 심리학적 탐색: 인간의 마음을 객관화 하는 연구법"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1) : 5-18, 2010

      4 강종수, "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8) : 279-298, 2010

      5 이인재, "시장형 노인일자리사업 활성화 방안" 2 : 77-104, 2011

      6 김현정, "세대간 지원교환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47) : 265-288, 2010

      7 김종일, "서구의 근로연계복지: 이론과 현실(아산재단 연구총서 제193집)" 집문당 2006

      8 보건복지부, "보건복지통계연보"

      9 김용하, "베이비붐 세대의 규모, 노동시장 충격, 세대간 이전에 대한 고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36-59, 2011

      10 정경희, "베이비부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1 김정원, "현장에서 읽는 노동연계복지 : 자활사업에서 사회적기업까지" 아르케 2012

      2 남기철, "한국 노인일자리사업의 현황과 쟁점" 148 : 12-19, 2011

      3 황상민, "주관성에 대한 심리학적 탐색: 인간의 마음을 객관화 하는 연구법"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1) : 5-18, 2010

      4 강종수, "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8) : 279-298, 2010

      5 이인재, "시장형 노인일자리사업 활성화 방안" 2 : 77-104, 2011

      6 김현정, "세대간 지원교환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47) : 265-288, 2010

      7 김종일, "서구의 근로연계복지: 이론과 현실(아산재단 연구총서 제193집)" 집문당 2006

      8 보건복지부, "보건복지통계연보"

      9 김용하, "베이비붐 세대의 규모, 노동시장 충격, 세대간 이전에 대한 고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36-59, 2011

      10 정경희, "베이비부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11 윤석명, "베이비부머 은퇴 대비 정책개발 연구- 인적자원관리와 관련산업 활성화를 중심으로-"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2011

      12 박경하, "민간분야 노인일자리 사업의 잠재적 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09

      13 이환범, "노인적합형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부지원 기능 재설계" 한국조직학회 6 (6): 41-66, 2009

      14 원영희, "노인일자리사업의 이해" 한국학술정보(주) 2006

      15 임재영, "노인일자리사업의 의료비 절감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14 (14): 75-102, 2008

      16 이석원, "노인일자리사업의 연차별 의료비 절감효과" 한국행정학회 41 (41): 421-424, 2007

      17 김영선, "노인일자리사업의 건강 효과성 분석 - 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회 25 (25): 419-435, 2011

      18 고재욱,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삶의 만족도와 정책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31 (31): 1209-1228, 2011

      19 장유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사회적 자본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3 (63): 261-289, 2011

      20 보건복지부, "노인일자리사업 종합안내"

      21 보건복지부, "노인일자리사업 종합안내"

      22 이소정, "노인일자리사업 정책효과 평가" 한국노인인력개발원·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23 양윤정, "노인일자리사업 정책결정․집행과정에서의 ‘이용자 참여’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31 (31): 885-903, 2011

      24 보건복지부, "노인일자리사업 기본계획" 2004

      25 권구영, "노인일자리 참여경험과 삶의 질 간의 관계-전라남도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38) : 51-78, 2007

      26 송부용, "노인일자리 사업의 실효성 증대방안" 경남발전연구원 2012

      27 김준환, "노인일자리 사업의 만족도와 효과성에 관한 연구-노인일자리 유형별 분석을 중심으로" 20 : 147-194, 2010

      28 보건복지부,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29 보건복지부,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30 보건복지부,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31 보건복지부,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32 보건복지부,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33 보건복지부,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34 보건복지부,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35 보건복지부,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36 보건복지부,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37 황미구, "노인 일자리 사업이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감,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및 노인의 개인적인 특성이 삶.직무.사회참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21 (21): 137-156, 2008

      38 이현미, "노인 및 노인의 근로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09

      39 김원식, "고령화시대와 연금: 미래를 위한 디자인" 1 (1): 1-35, 2011

      40 김동배, "고령자 취업 적합 직종 발굴 및 수요처 개발 방안-노인일자리 창출과 사회적 일자리 창출" 6-45, 2004

      41 권용식, "고령자 고용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한-미간 비교연구 -미국의 SCSEP과 한국의 노인일자리사업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46) : 383-408, 2009

      42 Aday, R. H., "Working in Old Age: Benefits of Participation in the Senior Community Service Employment Program" 23 (23): 125-145, 2008

      43 김흥규, "Q 방법론 :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세이션북스(주) 2008

      44 김헌수, "Q 방법론" 교육과학사 2000

      45 Clark, R. L., "Human Resource Policies andOlder Workers in Japan" 36 (36): 627-636, 1996

      46 Béland, D. B., "Aging in France: Population Trends, Policy Issues, and Research Institutions" 53 (53): 191-197, 2012

      47 Christel, G., "Active aging and pension reform: The gender implications in France" 23 (23): 65-89, 2006

      48 정경희,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 심층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49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0 해외(일본) 사례조사 결과보고서" 2010

      50 "2010 한국의 사회지표 보도자료"

      51 이석원, "2010 노인일자리사업 정책평가"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1

      52 남기철, "100세 시대 고령자 사회참여와 자원봉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