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美的 態度로서의 ‘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084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圖畵見聞誌}⋅{林泉高致}⋅{畵眼}}⋅{苦瓜和尙畫語錄}에서 보이는 ‘유’의 용례를 고찰하였다. 고찰의 결과 첫째, ‘유’에서 생성한 미적가치를 유형화하면, 송대의 {도화견문지}의 경우 심이 생성한 정사 → {임천고치}의 경우 심이 생성한 의사 → 명대 {화안}의 경우 고은지사 → 청대 {고과화상화어록}의 경우 일획의 법이다. 둘째, ‘유’의 주요 방법, 즉 미적가치를 얻는 방법은 {도화견문지}의 경우는 찰 → {임천고치}의 경우는 간 → {화안}의 경우는 간득숙 → {화어록}의 경우는 수와 식이다. 셋째, ‘유’는 창작주체의 심이 찰, 간, 간득숙, 수와 식의 방법으로 미적가치를 생성하는 과정이었으며, 이때 미적가치는 사물의 진으로서 신을 추구하였다. 그리고 {도화견문지}의 ‘유’가 생성한 미적가치인 정사는 사물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것 → {임천고치}의 ‘유’가 생성한 미적가치인 의사는 사물의 객관적 표현과 주관적 표현 → {화안}의 ‘유’가 생성한 미적가치인 고은지사는 사물의 생기를 표현하는 것 → {화어록}의 ‘유’가 생성한 미적가치인 일획의 법은 사물의 리와 태를 창작주체의 화법으로 표현하는 것이라는 창작론을 구성하였다. 전신을 목적으로 하는 전통회화에서 ‘유’는 다양한 미적가치를 생성하는 경험을 이끌지만 그에 선행하여 사물의 진으로서의 신을 추구한다는 속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미적 태도로서 규명하였다.
      번역하기

      이 글은 {圖畵見聞誌}⋅{林泉高致}⋅{畵眼}}⋅{苦瓜和尙畫語錄}에서 보이는 ‘유’의 용례를 고찰하였다. 고찰의 결과 첫째, ‘유’에서 생성한 미적가치를 유형화하면, 송대의 {도화견문지}...

      이 글은 {圖畵見聞誌}⋅{林泉高致}⋅{畵眼}}⋅{苦瓜和尙畫語錄}에서 보이는 ‘유’의 용례를 고찰하였다. 고찰의 결과 첫째, ‘유’에서 생성한 미적가치를 유형화하면, 송대의 {도화견문지}의 경우 심이 생성한 정사 → {임천고치}의 경우 심이 생성한 의사 → 명대 {화안}의 경우 고은지사 → 청대 {고과화상화어록}의 경우 일획의 법이다. 둘째, ‘유’의 주요 방법, 즉 미적가치를 얻는 방법은 {도화견문지}의 경우는 찰 → {임천고치}의 경우는 간 → {화안}의 경우는 간득숙 → {화어록}의 경우는 수와 식이다. 셋째, ‘유’는 창작주체의 심이 찰, 간, 간득숙, 수와 식의 방법으로 미적가치를 생성하는 과정이었으며, 이때 미적가치는 사물의 진으로서 신을 추구하였다. 그리고 {도화견문지}의 ‘유’가 생성한 미적가치인 정사는 사물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것 → {임천고치}의 ‘유’가 생성한 미적가치인 의사는 사물의 객관적 표현과 주관적 표현 → {화안}의 ‘유’가 생성한 미적가치인 고은지사는 사물의 생기를 표현하는 것 → {화어록}의 ‘유’가 생성한 미적가치인 일획의 법은 사물의 리와 태를 창작주체의 화법으로 표현하는 것이라는 창작론을 구성하였다. 전신을 목적으로 하는 전통회화에서 ‘유’는 다양한 미적가치를 생성하는 경험을 이끌지만 그에 선행하여 사물의 진으로서의 신을 추구한다는 속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미적 태도로서 규명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ncept of “You(游)” as the aesthetic attitude in the Traditional Chinese Painting Theory. Traditional painting has a purpose to spread painting spirits and have consistently pursued “Xin(神, spiritual being)” as the truth of a thing. However, the contents of “spiritual being”, “form” and “qi” that “describe the spiritual being” have been changed. Therefore, although the theory of form and spirit can be a way to explain chinese paintings, there is a limitation to actively explain the changes in description of spiritual being. In order to find out the basis to explain the changes of spiritual being as the truth of a th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 of “You(游)” as the attitude of the artist focusing on "experiences in painting". {Tuhua Jianwenzhi} and {Linquan Gaozhi} in the Song Dynasty adopted the attitude of “You” to explain the painting theory and proceeded exploration on things with the attitude to pursue the “truth” of a thing described in {Eye of Painting} and {KuguahuoshangHuayulu}. The aesthetic values generated in the attitude of “You” refer to “qing si(情思)” and “yi si(意思)” in Song Dynasty; “gao yin zhi si (高隱之思)” in the Meng Dynasty; and the law of “one stroke(一畫)” in Qing Dynasty.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ncept of “You(游)” as the aesthetic attitude in the Traditional Chinese Painting Theory. Traditional painting has a purpose to spread painting spirits and have consistently pursued “Xin(神, spiritual being)”...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ncept of “You(游)” as the aesthetic attitude in the Traditional Chinese Painting Theory. Traditional painting has a purpose to spread painting spirits and have consistently pursued “Xin(神, spiritual being)” as the truth of a thing. However, the contents of “spiritual being”, “form” and “qi” that “describe the spiritual being” have been changed. Therefore, although the theory of form and spirit can be a way to explain chinese paintings, there is a limitation to actively explain the changes in description of spiritual being. In order to find out the basis to explain the changes of spiritual being as the truth of a th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 of “You(游)” as the attitude of the artist focusing on "experiences in painting". {Tuhua Jianwenzhi} and {Linquan Gaozhi} in the Song Dynasty adopted the attitude of “You” to explain the painting theory and proceeded exploration on things with the attitude to pursue the “truth” of a thing described in {Eye of Painting} and {KuguahuoshangHuayulu}. The aesthetic values generated in the attitude of “You” refer to “qing si(情思)” and “yi si(意思)” in Song Dynasty; “gao yin zhi si (高隱之思)” in the Meng Dynasty; and the law of “one stroke(一畫)” in Qing Dynas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들어가는 말 : 창작과 ‘유’
      • Ⅱ. ‘유’와 美的價値의 유형
      • 1. 察과 情思
      • 2. 看과 意思
      • 논문요약
      • Ⅰ. 들어가는 말 : 창작과 ‘유’
      • Ⅱ. ‘유’와 美的價値의 유형
      • 1. 察과 情思
      • 2. 看과 意思
      • 3. 看得熟과 高隱之思
      • 4. 受ㆍ識과 一畫
      • Ⅲ. 나오는 말 : 미적 태도로서 ‘유’의 함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동기창, "화안" 시공사 2003

      2 王世襄, "중국화론연구" 廣西師範大學出版社 2002

      3 장언원, "중국화론선집" 미술문화 2002

      4 마이클 설리반, "중국의 산수화" 문예출판사 1994

      5 葉朗, "중국미학사 대강" 백선문화사 2000

      6 "중국고대명가작품총서 上" 人民美術出版社 2003

      7 박만규, "조선시대 진 추구에 내재된 문예 사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2010

      8 김기주, "시각예술에서 이미지란 무엇인가" 눈빛 2003

      9 석도, "석도화론" 통나무 2002

      10 미학대계간행회, "미학의 역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1 동기창, "화안" 시공사 2003

      2 王世襄, "중국화론연구" 廣西師範大學出版社 2002

      3 장언원, "중국화론선집" 미술문화 2002

      4 마이클 설리반, "중국의 산수화" 문예출판사 1994

      5 葉朗, "중국미학사 대강" 백선문화사 2000

      6 "중국고대명가작품총서 上" 人民美術出版社 2003

      7 박만규, "조선시대 진 추구에 내재된 문예 사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2010

      8 김기주, "시각예술에서 이미지란 무엇인가" 눈빛 2003

      9 석도, "석도화론" 통나무 2002

      10 미학대계간행회, "미학의 역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11 미학대계간행회, "미학의 문제와"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12 곽희, "곽희의 임천고치" 문자향 2003

      13 박은화, "곽약허의 도화견문지" 시공사 2005

      14 안동림, "莊子" 현암사 1993

      15 "文淵閣 四庫全書 전자판"

      16 大漢韓辭典編纂室, "大漢韓辭典" 교학사 1998

      17 김연재, "儒?佛 문화논쟁에서 본 宗炳의 불교세계관 및 藝術觀(1)" 불교문화연구원 (46) : 85-110, 2005

      18 張皓, "中國美學範疇與傳統文化" 湖北敎育出版社 1996

      19 夏學叢書, "中國畵論類編" 河洛圖書出版社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2 1.05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