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고려 최씨 정권기 私兵의 운영과 家奴 = The Management of Private Army and Domestic Slaves During the Choe Military Regime in Goryeo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633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management of private army(私兵) during the Choe military regime in Goryeo period and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its members. This study also intends to reveal the limitations of the regime’s running of private army....

      This study explores the management of private army(私兵) during the Choe military regime in Goryeo period and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its members. This study also intends to reveal the limitations of the regime’s running of private army. There are precedent studies that have analyzed the Choe regime’s management of private army, but they have not dealt with its members’ propensity. Therefore, the reason for the fundamental change in the attitudeofsoldiershasnotbeenproperly considered.
      The Choe military regime’s private army was largely composed of Dobang(都房) and House army(家兵). All members of Dobang were connected to the central bureaucracy, but the House army was not. Dobang had a bond with the Choe military regime in exchange for public offices, and could turn its back on the Choe military regime depending on the political situation. In preparation for such a situation, Choe military regime bestowed an office on domestic slaves(家奴), the conductor of the House army. However, these domestic slaves, newly involved with the bureaucracy, broke away from the Choe military regime and caused the fall of the regime.
      The limitation of the private army management was that Choe’s military regime used the centralized royal bureaucracy for its own benefit, but could not possess i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려 최씨 정권기 사병의 운영과 그 구성원의 성격 변화를 추적하여 최씨 정권의 사병 운영 한계점을 밝혔다. 기존 연구에서도 사병의 운영을 분석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기는 했지...

      본 연구는 고려 최씨 정권기 사병의 운영과 그 구성원의 성격 변화를 추적하여 최씨 정권의 사병 운영 한계점을 밝혔다. 기존 연구에서도 사병의 운영을 분석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기는 했지만, 구성원의 성격과 함께 분석되는 작업이 별로 행해지지 않아 그들의 행동 변화가 근본적으로 왜 일어났는지에 대한 고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최씨 정권의 사병은 크게 도방과 가병이 있었다. 도방의 구성원은 모두 중앙의 관료제와 관련되었으나, 가병은 그렇지 못했다. 도방은 관직을 반대급부로 하여 최씨 정권과 결합관계를 맺었는데, 정치적 상황에 따라 최씨 정권을 이탈할 수 있었다. 이를 대비하여 최씨 정권은 가병의 지휘자인 가노에게 관직을 주었는데, 새롭게 관료제와 연결된 가노가 최씨 정권을 이탈하면서 최씨 정권은 무너지게 되었다.
      사병 운영 한계는 최씨 정권이 국왕 중심적 성격의 관료제를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활용했지만 소유할 수 없는 점에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민병하, "한국사 7" 국사편찬위원회 1984

      2 김의규, "한국사 18" 국사편찬위원회 1993

      3 임윤경, "최충헌정권의 성립과 그 성격" 이화여자대학교 사학회 20 : 1983

      4 Kim Dae-Jung, "최충헌정권의 군사적 기반 -경군·도방·별초군을 중심으로-"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47) : 209-238, 2002

      5 김효섭, "최충헌 정권의 전개 과정에서 나타난 무신집권기 정치세력의 특징" 한국학연구소 55 : 1-34, 2021

      6 유창규, "최씨무인정권하의 도방 설치와 그 향방" 동아연구소 6 : 1985

      7 한영우, "여말 선초 한량과 그 지위" 한국사연구회 4 : 1969

      8 김효섭, "무신집권기 최충헌 가계의 통혼과 그 정치적․사회적 기능" 진단학회 (134) : 85-122, 2020

      9 김상기, "동방문화교류사논고" 을유문화사 1948

      10 김창현, "고려후기 정방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1998

      1 민병하, "한국사 7" 국사편찬위원회 1984

      2 김의규, "한국사 18" 국사편찬위원회 1993

      3 임윤경, "최충헌정권의 성립과 그 성격" 이화여자대학교 사학회 20 : 1983

      4 Kim Dae-Jung, "최충헌정권의 군사적 기반 -경군·도방·별초군을 중심으로-"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47) : 209-238, 2002

      5 김효섭, "최충헌 정권의 전개 과정에서 나타난 무신집권기 정치세력의 특징" 한국학연구소 55 : 1-34, 2021

      6 유창규, "최씨무인정권하의 도방 설치와 그 향방" 동아연구소 6 : 1985

      7 한영우, "여말 선초 한량과 그 지위" 한국사연구회 4 : 1969

      8 김효섭, "무신집권기 최충헌 가계의 통혼과 그 정치적․사회적 기능" 진단학회 (134) : 85-122, 2020

      9 김상기, "동방문화교류사논고" 을유문화사 1948

      10 김창현, "고려후기 정방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1998

      11 박재우, "고려전기 宰樞의 출신과 국정회의에서의 위상" 국학연구원 (172) : 33-65, 2015

      12 김당택, "고려의 무인정권" 국학자료원 1999

      13 김당택, "고려의 무인정권" 국학자료원 1999

      14 홍승기, "고려시대의 양인 - 사서제·양천제의 시행과 관련하여 -" 일조각 2001

      15 김재명, "고려시대의 경창" 청계사학회 4 : 1987

      16 박종진, "고려시기 재정운영과 조세제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17 이기백, "고려병제사연구" 일조각 1968

      18 전경숙, "고려 최씨집권기의 도방"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7 : 1997

      19 박재우, "고려 최씨정권의 권력행사와 왕권의 위상" 한국중세사학회 (46) : 137-185, 2016

      20 박재우, "고려 최씨정권의 政房 운영과 성격" 한국중세사학회 (40) : 247-298, 2014

      21 이경혜, "고려 최씨무인정권기의 도방 : 최씨가·도방·가병의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2

      22 홍승기, "고려 최씨무인정권과 최씨가의 가노" 진단학회 53-54 : 1982

      23 이정민, "고려 최씨 정권기 私兵의 운영과 家奴" 성균관대학교 2022

      24 이재범, "고려 무인정권기의 노비 신분변화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1981

      25 정두희, "고려 무신집권기의 무사집단" 일지사 8 : 1977

      26 한인희, "고려 노예 면천에 대한 연구" 12 : 1980

      27 "高麗史節要"

      28 "高麗史"

      29 "東國李相國集"

      30 강재광, "崔氏家 家奴출신 政治人의 役割과 戊午政變의 性格" 한국사연구회 (127) : 1-33, 2004

      31 김대중, "崔忠獻의 執權과 京軍"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65) : 139-170,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