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CEFR 의사소통 언어활동 및 전략에 기반한 초등 영어 의사소통 기능 분석 = An Analysis of Communication Language Function based on CEFR Basic English Communicative Language Activities and Strateg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930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의사소통 기능 항목을 국제적으로 공인된 언어능숙도 척도인 CEFR(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의사소통 언어활동과 전략 틀로 비교·분석하였다. 연...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의사소통 기능 항목을 국제적으로 공인된 언어능숙도 척도인 CEFR(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의사소통 언어활동과 전략 틀로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CEFR Basic User 단계인 Pre-A1, A1, A2의 can-do 진술문을 참고하여 초등 교육과정 의사소통 기능 항목과의 비교표를 만들어 상호간의 합치도 여부를 표기하고 각 항목별 유사도를 분석하였다. 합치도 여부를 기술하였을 때, 2015 개정교육과정 의사소통 기능 항목은 모두 CEFR Basic User 단계 항목으로 분류가 가능하였다. CEFR은 4가지 이해, 표현, 교류, 중재의 4가지 카테고리로 의사소통 언어활동 및 전략 항목이 대, 중, 소분류로 구성되었으나 2015 개정교육과정은 대, 소분류로 분류 체계가 달랐다. CEFR 중에서는 표현과 교류에서 합치도가 높았으며 이해와 중재에서는 합치되는 부분이 없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교육과정 의사소통 기능 항목에서 기능적인 측면을 단계별, 세부적으로 기술하고 보완하기 위해서 CEFR의 의사소통 언어활동과 전략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aison d etre for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mmunication function item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rough CEFR(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communication language activities and strategies, which are inte...

      The raison d etre for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mmunication function item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rough CEFR(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communication language activities and strategies, which are internationally recognized language proficiency scales. To this end, a comparative table is formulated to compare and contract between CEFR achievement criteria and those of 2015 national curriculum for the common existence, existence on single side or non-existence of specific communicative functions. The CEFR Basic User level can-do statements and the communicative functions of 2015 national curriculum were investigated for the three way existence using above mentioned comparative table. communication function items. The communication function item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ll matched with the CEFR Basic User level,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table prepared by the researcher. Among the four categories, the consistency was high in Production and Interaction, instead there was no consistency in Reception and Medi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flect CEFR s communication language activities and strategies in order to describe and supplement the functional aspects in the curriculum in stages and detai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소영, "초등영어 평가도구 분석을 통한 능력기준표 제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 손중선, "초등영어 교수·학습에서의 의사소통 기능과 언어형식"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9 (9): 95-112, 2010

      3 박경서, "제 7차 초등학교 영어교과서 분석 : 의사소통기능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김세희란, "영어교과서 소재를 통한 의사소통 기능 연구 :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분석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 교육부, "영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2015

      6 이문복, "국내외 영어교과서 분석을 통한 영어과 교육과정의 능숙도 목표 수준 설정에 대한 고찰"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12 (12): 101-126, 2019

      7 Van Ek, J. A., "Threshold level English" Pergamon Press 1980

      8 Canale, M., "Theoretical bases of communicative approaches to secon language teaching and testing" 1 (1): 1-47, 1980

      9 Finocchiaro, M., "The functional-notional approach : From theory to practice" Oxford University Press 1983

      10 Hedge, T.,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language classroom" OUP 49-, 2000

      1 구소영, "초등영어 평가도구 분석을 통한 능력기준표 제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 손중선, "초등영어 교수·학습에서의 의사소통 기능과 언어형식"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9 (9): 95-112, 2010

      3 박경서, "제 7차 초등학교 영어교과서 분석 : 의사소통기능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김세희란, "영어교과서 소재를 통한 의사소통 기능 연구 :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분석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 교육부, "영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2015

      6 이문복, "국내외 영어교과서 분석을 통한 영어과 교육과정의 능숙도 목표 수준 설정에 대한 고찰"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12 (12): 101-126, 2019

      7 Van Ek, J. A., "Threshold level English" Pergamon Press 1980

      8 Canale, M., "Theoretical bases of communicative approaches to secon language teaching and testing" 1 (1): 1-47, 1980

      9 Finocchiaro, M., "The functional-notional approach : From theory to practice" Oxford University Press 1983

      10 Hedge, T.,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language classroom" OUP 49-, 2000

      11 Brown, H. D.,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Prentice-Hall 2007

      12 Cambridge English Language Assessment, "Introductory guide to the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CEFR) for English language teachers"

      13 Negishi, M. ., "Exploring language frameworks: Proceedings of the ALTE Kraków confer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5-163, 2013

      14 Council of Europe,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 Learning, teaching, assessment. companion volume with new descriptors"

      15 Leech, G., "A communicative grammar of English" Longman 2002

      16 전지혜,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과 CEFR Basic User 단계의 언어능력 기준안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65-87, 2018

      17 이현우,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의사소통 기능과 예시문"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6 (6): 122-148, 2013

      18 유지애,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 4학년 영어교재의 의사소통 기능과 소재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