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교양과정으로서의 통섭형 인재를 위한 글쓰기 교육 = Writing education for the consilience type of talent in a general education course in 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369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21st century, a joint research about different field of studies are rising. That’s, because it’s a shortcut to amplify the imagination and creativity of the knowledg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knowledge of the major comes up to a...

      In the 21st century, a joint research about different field of studies are rising. That’s, because it’s a shortcut to amplify the imagination and creativity of the knowledg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knowledge of the major comes up to a limit. And needs a change in the source. Thus ‘consilience type’ of talent is needed in our society. So writing education of university to switch the direction of the new content, as well as seeking strategic type of education is needed. Also be placed, and a new cultural paradigm than the creative thinking of switching induced yet, teaching content with themselves and others. It should contain precious human values communication witht others, groups and society.<br/>
      In this paper, we will deal with the perspective of consilience education as academic linkage greatly divided into pan-liberal integration, jointed education of knowledge, common sense and human nature education of communication and coexistence, education of the multiple roles and examined the educational content.<br/>
      ‘Writing’ promotes and develop thinking skills.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writing about a piece of writing related to the topic of the specific content information, as well as knowledge of the subject has been combined with a variety of tl1inking activities. Therefore, education should be made in the direction of the commw1ication between the universal values that sustain the society and different groups ‘writing’. Therefore in the sense that the university of ‘writing’ education constitutes the knowledge, it has taken integrated character.<br/>
      In this paper, linked academic contents as a part of integrated education are divided into four types. And I look forward to contributing the invigoration of new writing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글쓰기의 이론적 요소와 내용
      • 3. 통섭형 인재를 위한 교육 내용
      • 4. 결론
      • 참고문헌
      • 1. 서론
      • 2. 글쓰기의 이론적 요소와 내용
      • 3. 통섭형 인재를 위한 교육 내용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혜승, "좋은 國語 敎科書의 요건과 單元 構成의 방향"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379-400, 2006

      2 송숙희, "돈이 되는 글쓰기" 이펍코리아 2011

      3 나은미, "대학에서의 글쓰기 교육 현황 분석 -과목 개설 현황 및 교재를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32) : 7-34, 2008

      4 전은주, "대학 작문 교재의 동향과 개선 방향" 한국국어교육학회 (71) : 311-334, 2005

      5 이주섭, "대학 작문 교재 구성의 양상" 한국어문교육연구소 (9) : 247-268, 2000

      6 곽경숙, "대학 글쓰기 교재의 비교 분석" 한국언어문학회 (68) : 111-135, 2009

      7 정희모, "대학 글쓰기 교재의 분석 및 평가 준거 연구" 국어국문학회 0 (0): 243-277, 2008

      8 황성근, "대학 글쓰기 교육의 효과적 지도 방안" 한국작문학회 (1) : 137-164, 2005

      9 정희모, "대학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방향" 한국작문학회 (1) : 111-136, 2005

      10 이정옥, "대학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 한국작문학회 (1) : 165-192, 2005

      1 정혜승, "좋은 國語 敎科書의 요건과 單元 構成의 방향"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379-400, 2006

      2 송숙희, "돈이 되는 글쓰기" 이펍코리아 2011

      3 나은미, "대학에서의 글쓰기 교육 현황 분석 -과목 개설 현황 및 교재를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32) : 7-34, 2008

      4 전은주, "대학 작문 교재의 동향과 개선 방향" 한국국어교육학회 (71) : 311-334, 2005

      5 이주섭, "대학 작문 교재 구성의 양상" 한국어문교육연구소 (9) : 247-268, 2000

      6 곽경숙, "대학 글쓰기 교재의 비교 분석" 한국언어문학회 (68) : 111-135, 2009

      7 정희모, "대학 글쓰기 교재의 분석 및 평가 준거 연구" 국어국문학회 0 (0): 243-277, 2008

      8 황성근, "대학 글쓰기 교육의 효과적 지도 방안" 한국작문학회 (1) : 137-164, 2005

      9 정희모, "대학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방향" 한국작문학회 (1) : 111-136, 2005

      10 이정옥, "대학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 한국작문학회 (1) : 165-192, 2005

      11 구자황, "대학 글쓰기 교육을 위한 예비적 고찰" 어문연구학회 53 : 279-298, 2007

      12 이주행, "대학 교양국어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국어교육연구회 (91) : 129-172, 1996

      13 김창진, "대학 교양교육과정에서 공통필수 현황과 개선방향 ; 21세기 대학에서교양국어의 방향(2)" 1 (1): 62-, 2007

      14 김남두, "대학 개혁의 과제와 방향" 민음사 1996

      15 이명실, "대학 '읽기-쓰기' 강좌에 대한 학생 요구도 조사" 한국독서학회 (19) : 279-306, 2008

      16 이재성, "글쓰기의 전략" 들녘 2005

      17 원진숙, "글쓰기의 문제해결 전략" 집문당 1998

      18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방안" 한국연구학회 (17) : 181-204, 2001

      19 허재영, "국어과 교육의 이해와 탐색" 박이정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6 1.17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