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본 연구는 유대인 부모들이 자녀를 교육하는 방법의 모범적 사례들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기독교 가정 안에서 적용하도록 연구한 현용수의 가정신학을 토대로 우리나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370377
서울 :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학위논문(석사) --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 2014. 2
2014
한국어
서울
; 26 cm
지도교수: 강은주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본 연구는 유대인 부모들이 자녀를 교육하는 방법의 모범적 사례들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기독교 가정 안에서 적용하도록 연구한 현용수의 가정신학을 토대로 우리나라 ...
<국문초록>
본 연구는 유대인 부모들이 자녀를 교육하는 방법의 모범적 사례들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기독교 가정 안에서 적용하도록 연구한 현용수의 가정신학을 토대로 우리나라 기독교 신앙 가정들 특히 3대 이상의 기독교 신앙 전수 가정을 중심으로 기독교 가정에 대한 인식과 부모의 역할 인식, 기독교 신앙 전수를 위한 신앙교육의 내용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설문 결과를 토대로 기독교 신앙 전수 가정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기초자료를 만드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우리나라 기독교 전수 가정 안에서 기독교 가정의 성경적 기원과 기능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우리나라 기독교 전수 가정 안에서 기독교 가정의 부모의 역할에 대한 인식 은 어떠한가?
3. 우리나라 기독교 전수 가정 안에서 이루어지는 신앙교육 실천과제의 실천 수 준은 어떠한가?
4. 우리나라 기독교 전수 가정 안에서 기독교 가정의 기원 과 부모에 대한 인식 과 실천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밝히기 위해 현용수의 「신앙 명가 이렇게 세워라.」의 내용과 신앙교육 내용의 실천목록을 근거로 안면 타당도와 신뢰도를 구한 설문 도구를 서울 경기 지역의 중대형 교회 5곳에 300부의 설문을 배포하여 기독교 전수 가정 (자녀를 포함하여 3대 이상 전수가정의 학부모 대상) 대상자들로부터 받은 응답 201부를 수거하여 기독교 신앙 전수 가정 안에서 이루어지는 인식과 신앙교육의 내용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자료는 양적 통계 분석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기독교 가정 안에서의 가정에 대한 기능, 부모의 역할, 신앙교육내용의 실천수준 등 가정의 신앙에 대한 인식과 신앙교육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연구대상 주요 일반적 특성에 따라 기독교 가정 안에서의 가정에 대한 기능, 부모의 역할, 신앙교육 실천과제의 실천수준 등 가정의 신앙에 대한 인식과 신앙교육 실천과제의 실천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t test와 일원 변량 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규명을 위해 Duncan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전수 가정 안의 신앙 이루어지는 기독교 가정에 대한 기원과 기능에 대한 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4.51로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독교 전수가정에서의 아버지와 어머니의 역할에 대한 인식 부분에서 아버지가 아버지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평균 4.13 어머니가 어머니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평균 4.12로 높게 나타났으나 아버지가 어머니의 역할을 인식하는 것은 3.70으로 어머니의 인식과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현용수가 제시한 실천적 신앙교육 실천과제가 우리나라 기독교 전수가정 안에서 이루어지는 실천 수준은 3.43으로 크게 높지 않으며 세부내용 중 ‘가정에서 평일에도 가정 예배를 드리고 성경공부를 시킨다.’ 자녀들에게 쉐마 말씀 등 성경 말씀을 외우게 하고 현관문에 붙여 놓아 나가고 들어오고 할 때마다 읽게 한다.’ ‘자녀들에게 안식일이나 절기에 대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교육하고 실시한다.’등은 실천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우리나라 기독교 전수 가정의 기정의 기원과 기능, 부모의 역할에 대한 인식과 신앙교육 실천과제의 실천수준의 차이는 가정의 기원과 기능에 대한 인식은 평균 4.51로 높은 편이며 아버지의 역할은 4.13 어머니의 역할은 3.98로 역할 인식도 높은 편이나 실천의 수준은 평균 3.43으로 크게 높지 않았다. 배경 변인에 따른 실천의 차이를 살펴보면 아버지는 3.29, 어머니는 3.47로 어머니가 실천 세부 항목 모두 잘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원 졸업은 3.45 대학 졸업은 3.43 고등학교 졸업은 3.41로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5대 4.02, 4대 3.33, 3대 3.44로 3,4대 신앙 전수 가정보다 5대 신앙 전수가정의 실천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태 신앙자 3.30, 비 모태 신앙자 3.54로 모태 신앙자의 경우가 실천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우리나라 기독교 전수가정 안에서 기독교 가정의 기원과 기능, 부모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높았으나 그에 따른 신앙교육내용의 실천 수준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식과 실천의 차이는 아는 만큼 행동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녀들은 부모들의 삶을 통해 배우게 된다. 기독교 가정의 부모들은 유대인의 삶을 통한 교육, 반복적인 교육 등을 통해 자녀들에게 자자손손 말씀을 전수하며 모범을 보인 것처럼 삶을 통한 교육, 말씀을 가르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모색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Jaeyim Shi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hongsh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know the awareness and their educational content...
Abstract
Jaeyim Shi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hongsh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know the awareness and their educational contents of Christian mothers with three generations of Christian backgrounds. A questionaire with 44 items based on Family theology of Yongsoo Hyun were distributed to over 300 mothers and collected for data analysis.
To achieve the purposes,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asked.
1. What is the status of awareness toward the biblical origins and functions of the Christian family within families transmitting Christianity in Korea?
2. What is the status of awareness regarding the roles of father and mother in the Christian family within families transmitting Christianity in Korea?
3. How is the status of applying the practical tasks suggested by doctor Hyun Yong-soo to families transmitting Christianity in Korea?
4.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awareness and practice concerning the origin and parents of the Christian family within families transmitting Christianity in Korea?
To reveal such research problems, survey tools written together with an expert based on a practice list and the contents of 「Establish a great family of faith in a way like this」by Doctor Hyun Yong-soo were distributed in the form of 300 surveys in 5 mid-to large churches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 and 201 answers were collected from subject families transmitting Christianity(school parents in families transmitting
Christianity for over three generations including the children to inquire into the content of their awareness and faith education, and the survey data collected was analyzed as follows using the Quantitative statistics SPSS program.
First,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inquire in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Second,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inquire into awareness and the status of faith education involving the faith of the family which includes the function of family in the Christian family, the roles of father and mother, and the level of practice for the practice tasks.
Third, a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see if there were differences in awareness regarding the family faith and the level of practicing faith tasks, which include the function of family in the Christian family, the roles of father and mother, and the level of practice for the practice tasks following the maj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Duncan's follow-up test was conducted to clarify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major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wareness regarding the origin and function of the Christian family was on the high side with an average of 4.51.
Second, concerning awareness for father and mother roles in families transmitting Christianity, both appeared high with awareness regarding the father's role at an average of 4.13, and the mother's role at an average of 3.93.
Third, the practice level of the practice tasks suggested by Doctor Hyung Yong-soo being carried out in Christian families in Korea was not very high with an average of 3.45, and particulars like 'We give family worship during weekdays in the home and tell the children to study the bible.', 'We make the children memorize scripture including the Shema and attach Scripture to the front door so that they can read when the come and go.', We make a program regarding the sabbath and the feasts for the children to educate them.' appeared to have a low level of practice.
Fourth, the difference in awareness and practice for the role of parents was high with an average of 4.51, while for the origin and function of the family for families transmitting Christianity, the role of the father was 4.13 and that of the mother was 3.98, but the practice level was not that high with an average of 3.43. When the difference of practice following background variables was looked into, the mother appeared to better practice all practice particulars than the father, and when the level of education of the parents was higher and the period of faith transmission was longer, the practice level of the detailed practice list was also higher, while people born as a Christian had a higher level of practice than those that were not born as Christi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