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형사보상에 있어서 구상권 도입의 필요성 = Necessity of Adopting Right of Indemnity to Criminal Compensation A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238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like state compensation act, criminal compensation act does not ensure right of indemnity. Consequently, state cannot be guaranteed the right of indemnity if one fails to make a state compensation claim even when he/she receives criminal compensatio...

      Unlike state compensation act, criminal compensation act does not ensure right of indemnity. Consequently, state cannot be guaranteed the right of indemnity if one fails to make a state compensation claim even when he/she receives criminal compensation. Such institutional shortcoming not only has the problem of having unequal standard between crimination compensation act and state compensation act regarding their right of indemnity, but also could lead to indiscriminate and imprudent custody resulting in unjust consequences and extra tax money spending on associated compensa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adopt right of indemnity in criminal compensation act especially considering criminal compensation’s similar standard to that of state compensation standard in case of a crime committed and reflecting from principle of liability with fault. Moreover, countries like France and Taiwan have rights of indemnity for criminal compensation. Thus, unlike the state compensation act, there is little reason to not allow rights of indemnity in criminal compensation act

      As with state compensation, the advantages of adopting rights of indemnity under criminal compensation act are as follows. First, it induces criminal justice agencies to pay more attention when enacting custody, thereby reducing unjust victims of wrongful custody and strengthening principle of non-restraint. Second, it could reduce the number of custody-related compensations that could reduce tax money spending. Third, social justice could be better achieved by not requiring state compensation act in making claim for indemnity when a civil servant has made gross negligence or intentional wrongdoing. Third, even when criminal compensation is made and state compensation is not claimed, state can exercise rights of indemnity if there is a deliberate or grave error by a civil servant, thereby achieving social justi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형사보상제도는 국가배상제도와 다르게 구상권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형사보상을 받고 국가배상청구를 하지 않으면 형사사법기관 공무원의 귀책이 있는 경우에도 구상권을 행사할...

      형사보상제도는 국가배상제도와 다르게 구상권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형사보상을 받고 국가배상청구를 하지 않으면 형사사법기관 공무원의 귀책이 있는 경우에도 구상권을 행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 형사보상제도에 구상권을 도입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실제로 국회에서 형사보상제도의 구상권 도입과 관련하여 여러 차례 논의가 있었으나, 입법으로 연결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이제는 형사보상제도의 구상권도입에 대해서 다시 고민해야 하는 시점에 이르렀다고 판단된다. 2007년 불과 22억 원에 불과했던 형사보상금 지급은 2009년 처음 100억 원을 넘은 이래로 최근에는 1년에 5,000건, 300억 원 이상이 집행되고 있다. 이는 국회에서 논의가 이루어지던 2010년 이전과 비교하였을 때 형사보상제도가 크게 확대된 것을 의미한다. 형사보상제도가 이렇게 확대됨에 따라 국가배상제도와 달리 형사보상제도에 구상권을 두지 않은 불균형이 초래할 수 있는 문제는 앞으로 더욱 심화될 수 있다. 이러한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 방법은 형사보상에 구상권을 도입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형사사법기관의 구금이나 재판이 불법행위를 구성하는 경우의 형사보상에는 국가배상의 성격이 내재하며, 이러한 경우 귀책이 있는 공무원이 궁극적으로 책임을 지는 것이 과실책임의 원칙과 형평의 원칙이라는 구상권의 본질에 비추어 보았을 때도 타당하다. 나아가 해외의 제도를 살펴보더라도 프랑스와 대만과 같이 형사보상제도에서 구상권을 인정하는 경우를 찾아볼 수 있었다. 국가배상과 마찬가지로 형사보상에도 구상권이 도입될 경우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형사사법기관이 구금에 대하여 보다 많은 주의를 기울이도록 하는 유인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잘못된 구금으로 인한 억울한 피해자를 줄이고 불구속 수사의 원칙을 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로, 형사사법기관의 구금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여 형사보상의 대상이 되는 사건의 발생을 줄이고, 형사사법기관의 공무원에게 귀책이 있는 경우 구상권을 행사하여 형사보상제도의 재정적 부담을 완화할 수 있다. 셋째로, 형사보상이 이루어지고 국가배상청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공무원의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이 있다면 구상을 할 수 있게 하여 사회정의를 실현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환, "형사보상의 역사와 본질"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18 (18): 55-83, 2010

      2 김정환, "형사보상에 있어서 보상대상의 확대 - 압수에 대한 형사보상의 도입 -" 한국형사법학회 27 (27): 81-107, 2015

      3 김용우, "형사보상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48) : 2003

      4 김정환, "형사보상법 제정의 과정과 논의" 연세법학회 33 : 39-72, 2019

      5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소결정해설집 2010년"

      6 김영기, "프랑스의 구속제도와 그 시사점" (19) : 2009

      7 법무부, "프랑스 형사소송법" 2011

      8 대만 사법원, "중화민국 107년 2018 사법통계연보"

      9 임동혁, "성과감사에대한 기본적 연구 – 성과감사의 개념, 주제, 판단기준, 방법에 대하여" (8) : 2003

      10 김정환, "북한 형사보상제도의 존부 확인을 통한 북한 형사소송제도의 이해" 한국형사법학회 31 (31): 211-239, 2019

      1 김정환, "형사보상의 역사와 본질"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18 (18): 55-83, 2010

      2 김정환, "형사보상에 있어서 보상대상의 확대 - 압수에 대한 형사보상의 도입 -" 한국형사법학회 27 (27): 81-107, 2015

      3 김용우, "형사보상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48) : 2003

      4 김정환, "형사보상법 제정의 과정과 논의" 연세법학회 33 : 39-72, 2019

      5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소결정해설집 2010년"

      6 김영기, "프랑스의 구속제도와 그 시사점" (19) : 2009

      7 법무부, "프랑스 형사소송법" 2011

      8 대만 사법원, "중화민국 107년 2018 사법통계연보"

      9 임동혁, "성과감사에대한 기본적 연구 – 성과감사의 개념, 주제, 판단기준, 방법에 대하여" (8) : 2003

      10 김정환, "북한 형사보상제도의 존부 확인을 통한 북한 형사소송제도의 이해" 한국형사법학회 31 (31): 211-239, 2019

      11 박미랑, "무죄와 무고를 구분하는 이원적 형사보상제도운영의 필요성" 한국공안행정학회 25 (25): 77-106, 2016

      12 서봉석, "구상권과 3자관계의 권리조정" 한국민사법학회 (42) : 459-492, 2008

      13 강인옥, "공무원의 불법행위책임과 책임중복이론에 관한 연구" 12 (12): 1997

      14 대만 법무부, "國家賠償法第13條釋憲案法務部研析意見"

      15 曾建元, "中國史硏究第80卷" 2012

      16 Steven Shavell, "Strict liability versusnegligence" 9 (9): 1980

      17 Ephraim Unell, "A Right Not to Be Framed: Preserving Civil Liability of Prosecutors in the Face of Absolute Immunity" 23 : 2010

      18 법원행정처, "2018 사법연감" 2018

      19 법무부, "2018 법무연감" 2018

      20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2016 한국 인권 보고서"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1 0.749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