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1년 스위스의 M. Grätzel교수가 발표한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차세대 태양전지로 기존의 실리콘 태양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에너지원으로서 상당한 관심을 끌고 있다. 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1991년 스위스의 M. Grätzel교수가 발표한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차세대 태양전지로 기존의 실리콘 태양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에너지원으로서 상당한 관심을 끌고 있다. 본 ...
1991년 스위스의 M. Grätzel교수가 발표한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차세대 태양전지로 기존의 실리콘 태양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에너지원으로서 상당한 관심을 끌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들어가는 여러 가지 소재 분야 중에서 빛을 흡수하여 전자가 생성되는 가장 핵심적인 소재인 유기염료합성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전자밀도가 풍부해 electron doner로써 널리 사용하고 있는 Tripenylamine을 이용한 electron brige, electron acctepter를 적절히 배치 함으로서 효율을 극대화 하는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외에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사용되는 전해질 부분에서 Iodine을 이용한 액체전해질과, polymer를 이용한 준 고체 전해질을 이용하여 특성평가를 진행 하였다.
그 외에 높은 구동 전압을 위해 구조적인 hybrid형 p-,n- 염료감응태양전지를 제작하기 위해 p-형 염료감응형 태양전지가 필요로 하다. 그래서 p-형 반도체인 NiO를 이용하여 전극을 형성하였고 구조에 적절한 염료를 합성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n-형 염료감응태양전지 에서는 Triphenylamine을 이용하고, 액체 및 준 고체 전해질을 적용한 연구에서는 안정성과 효율을 확보하는 연구를 진행 할 수 있게 되었고,p-형 염료감응태양전지는 높은 구동전압을 형성 할 수 있는 전극과 염료를 확보 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