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서울 강북지역 부군당을 통해 본 부군당 신앙의 의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147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서울 강북지역에 소재한 부군당의 모습을 살핀 후 다른 지역의 부군당과 연계하여 부군당 신앙의 의미를 다시 조명한 글이다. 그동안 서울의 부군당은 한강변에 주로 위치해있으며 부군을 신령으로 받드는 신앙으로 알려졌지만, 강북 지역 부군당은 그렇지 않다. 강북 지역 부군당은 한강변이 아닌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산신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어 서울 한강변 부군당과는 다르다. 서울을 제외한 다른 여러 지역에 위치한 부군당의 모습을 살핀 결과 한강변 부군당과는 역시 다르다. 전라, 경상, 충청 지역에도 부군당이 있었고 현재는 강화군 교동도에 부군당이 남아있다. 아울러 20세기 초반까지 남한강변인 양근에서 관청 중심으로 부군당 의례가 거행되었음이 보인다. 그동안 서울 한강 중심에서 부군당의 연원을 바라보았는데 이제는 좀 더 다양한 시각을 가질 필요가 있다. 조선시대에 여러 지역에 부군당이 있었고, 20세기 초반까지 양근에서 부군당굿을 연행했음을 고려하면 부군당이 관아와 관련이 있으면서도 일반 백성들이 참가할 수 있는 의례였음에 주목해야 한다. 특히 부군당 신앙에 관심을 가진 무속학자들은 과거의 다양한 기록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강북지역 부군당은 그동안 부군당을 바라보는 관점에 변화가 있어야 함을 알려준다. 한강변 부군당과는 성격이 사뭇 다른 부군당이 존재하고 있음은, 부군당 신앙의 연원 및 변화를 단선적으로 바라보아서는 안된다는 의미이다. 여기에 다른 지역에 존재하고 있는 부군당에 대한 자세한 내용 탐구가 이루어진다면 부군당 신앙 전체를 새로운 각도에서 바라볼 수 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서울 강북지역에 소재한 부군당의 모습을 살핀 후 다른 지역의 부군당과 연계하여 부군당 신앙의 의미를 다시 조명한 글이다. 그동안 서울의 부군당은 한강변에 주로 위치해있으...

      이 논문은 서울 강북지역에 소재한 부군당의 모습을 살핀 후 다른 지역의 부군당과 연계하여 부군당 신앙의 의미를 다시 조명한 글이다. 그동안 서울의 부군당은 한강변에 주로 위치해있으며 부군을 신령으로 받드는 신앙으로 알려졌지만, 강북 지역 부군당은 그렇지 않다. 강북 지역 부군당은 한강변이 아닌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산신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어 서울 한강변 부군당과는 다르다. 서울을 제외한 다른 여러 지역에 위치한 부군당의 모습을 살핀 결과 한강변 부군당과는 역시 다르다. 전라, 경상, 충청 지역에도 부군당이 있었고 현재는 강화군 교동도에 부군당이 남아있다. 아울러 20세기 초반까지 남한강변인 양근에서 관청 중심으로 부군당 의례가 거행되었음이 보인다. 그동안 서울 한강 중심에서 부군당의 연원을 바라보았는데 이제는 좀 더 다양한 시각을 가질 필요가 있다. 조선시대에 여러 지역에 부군당이 있었고, 20세기 초반까지 양근에서 부군당굿을 연행했음을 고려하면 부군당이 관아와 관련이 있으면서도 일반 백성들이 참가할 수 있는 의례였음에 주목해야 한다. 특히 부군당 신앙에 관심을 가진 무속학자들은 과거의 다양한 기록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강북지역 부군당은 그동안 부군당을 바라보는 관점에 변화가 있어야 함을 알려준다. 한강변 부군당과는 성격이 사뭇 다른 부군당이 존재하고 있음은, 부군당 신앙의 연원 및 변화를 단선적으로 바라보아서는 안된다는 의미이다. 여기에 다른 지역에 존재하고 있는 부군당에 대한 자세한 내용 탐구가 이루어진다면 부군당 신앙 전체를 새로운 각도에서 바라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Bugundang located in Seoul’s Gangbuk area and then figure out the meaning of Bugundang beliefs again in connection to Bugundang in different regions. So far, Seoul’s Bugundang has been known as beliefs to worship Bugun as a god mostly located around the Han River; however, Bugundang in Gangbuk area is not like that. Bugundang in Gangbuk’s area is not located near the Han River and closely related to mountainous gods, so it is differently characterized from Bugundang near the Han River in Seou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aspects of Bugundang located in other areas than Seoul, they are not like Bugundang located around the Han River, either. There are Bugundang in Jeolla, Gyeongsang, and Chungcheong, too, and presently, Gyodong-do of Ganghwa-gun also has Bugundang. Furthermore, we can find that up to the early 20th century, the ritual of Bugundang was held around the government offices in Yanggeun, the area near the Namhan River. So far, we have studied the origin of Bugundang around the Han River in Seoul but should broaden our horizons to it from now on. Considering the fact that Bugundang was found in many regions during the Chosun dynasty and Bugundang-gut was performed in Yanggeun of Gyeonggi-do up to the early 20th century, we should take note of the point that Bugundang was related to the government offices and was ritual ordinary people could also participate in. Particularly, scholars of shamanism interested in Bugundang beliefs should pay attention to many diffident records left from the past. Bugundang in Gangbuk area tells us that we should change the viewpoint we have had about Bugundang. There are Bugundang differently characterized by those near the Han River. It implies that we should not look at the origin and change of Bugundang beliefs unidirectionally. If we explore Bugundang located in different regions in detail, we will be able to see the entire aspects of Bugundang beliefs in a new perspectiv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Bugundang located in Seoul’s Gangbuk area and then figure out the meaning of Bugundang beliefs again in connection to Bugundang in different regions. So far, Seoul’s Bugundang has been known 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Bugundang located in Seoul’s Gangbuk area and then figure out the meaning of Bugundang beliefs again in connection to Bugundang in different regions. So far, Seoul’s Bugundang has been known as beliefs to worship Bugun as a god mostly located around the Han River; however, Bugundang in Gangbuk area is not like that. Bugundang in Gangbuk’s area is not located near the Han River and closely related to mountainous gods, so it is differently characterized from Bugundang near the Han River in Seou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aspects of Bugundang located in other areas than Seoul, they are not like Bugundang located around the Han River, either. There are Bugundang in Jeolla, Gyeongsang, and Chungcheong, too, and presently, Gyodong-do of Ganghwa-gun also has Bugundang. Furthermore, we can find that up to the early 20th century, the ritual of Bugundang was held around the government offices in Yanggeun, the area near the Namhan River. So far, we have studied the origin of Bugundang around the Han River in Seoul but should broaden our horizons to it from now on. Considering the fact that Bugundang was found in many regions during the Chosun dynasty and Bugundang-gut was performed in Yanggeun of Gyeonggi-do up to the early 20th century, we should take note of the point that Bugundang was related to the government offices and was ritual ordinary people could also participate in. Particularly, scholars of shamanism interested in Bugundang beliefs should pay attention to many diffident records left from the past. Bugundang in Gangbuk area tells us that we should change the viewpoint we have had about Bugundang. There are Bugundang differently characterized by those near the Han River. It implies that we should not look at the origin and change of Bugundang beliefs unidirectionally. If we explore Bugundang located in different regions in detail, we will be able to see the entire aspects of Bugundang beliefs in a new perspectiv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강북지역 부군당 및 봉안 무신도 실태
      • 3. 강북지역 부군당의 성격
      • 4. 서울 이외지역 부군당의 존재 양상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강북지역 부군당 및 봉안 무신도 실태
      • 3. 강북지역 부군당의 성격
      • 4. 서울 이외지역 부군당의 존재 양상
      • 5. 맺음말: 부군당 신앙을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