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2월 11일 공기업 발전회사의 석탄화력발전소에서 상주 협력업체 직원이 컨베이어벨트에 끼여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였고, 2020년 9월 10일 외부로 옮기려던 대형 스크루에 깔려 하청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396455
용인 :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2022
한국어
650 판사항(20)
경기도
Research on Risk Factor Management of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Work for Thermal Power Plant : Focusing on Risk Assessment
vii, 55 p. : 천연색삽화, 도표 ; 26 cm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원서경
참고문헌: p. 45-46
I804:11006-20000063586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18년 12월 11일 공기업 발전회사의 석탄화력발전소에서 상주 협력업체 직원이 컨베이어벨트에 끼여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였고, 2020년 9월 10일 외부로 옮기려던 대형 스크루에 깔려 하청업...
2018년 12월 11일 공기업 발전회사의 석탄화력발전소에서 상주 협력업체 직원이 컨베이어벨트에 끼여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였고, 2020년 9월 10일 외부로 옮기려던 대형 스크루에 깔려 하청업체 60대 화물차 기사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화력발전소의 중대재해 빈도가 높지는 않지만 다른 업종에 비해 사회적으로 크게 이슈가 되었고 산업안전보건법의 전면개정과 중대재해처벌법의 수립 및 시행까지 큰 영향을 주었다.
“산업안전보건법”과 최근 안전관련 강화된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하 중대재해처벌법)”에는 공통적으로 위험성평가에 관해 유해·위험 요인파악 및 위험성 감소를 위해 수립·시행하는 내용이 명시되어 있다.
국내의 위험성평가 제도는 2010년∼2012년 위험성평가 본격 시행을 위한 유해·위험요인 자기관리 시범사업으로 실시된 후, 고용노동부에서 2012년 9월 26일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을 고용노동부 고시 제2012-104로 제정 및 공포하고 2013년 1월 1일부터 시행하였으며, 2013년 6월 12부터 산업안전보건법을 통해 제도적으로 관리하여 오늘까지 여러 업종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국내 화력발전소 현장에서도 공기업 및 민간 발전소 모두 위험성평가 제도를 시행하여 업종별, 공정에 적합한 위험성평가 기법을 채택하여 활용하고 있다.
대용량 화력발전소의 경우 1개 호기가 화재, 또는 안전사고로 인해 정지되거나 정비기간이 길어지게 되면 경제적 손실
도 크며, 국내 전력공급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화력발전소 설비를 위해 연간 유지보수하는 경상정비 및 간헐적인 계획예방정비공사는 무척 중요하고, 해당 정비공사 시의 안전관리 역시 그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험성평가 제도에 관한 선행 논문과 화력발전소 계획예방정비공사 현장을 조사하였고, 화력발전소 내 정비 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및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산업재해 예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화력발전소 계획예방정비공사 시, 안전관리 현장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시행중인 위험성평가를 중심으로 개선방안을 제안하여 산업재해 감소를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