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로나 19 팬데믹 시대 속의 불안한 사람들을 위한 목회적 돌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254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20년 초반부에 시작된 코로나 19 팬데믹은 현재 2021년이 지난 오늘까지 해결이 되지 않은 중장기 사회적 재난이 되었다. 마스크 없이 살아가는 일상을 꿈꾸며, 나도 언젠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어떻게 할까 하는 불안이 일상화된 사회를 살아가고 있 다. 따라서 목회자는 생의 진단자이며 요람에서 무덤까지 성도들의 삶을 보살피는 것 이 소명이라고 할 때, 과연 목회적 돌봄 제공자들은 이렇게 불안한 시대를 살아가는 기독교인들을 위한 목회적 돌봄을 어떻게 제공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논문이다. 실제로 불안한 일상이 장기화되면서 더 이상 불안이 특정한 누군가의 문제가 아닌 모두 의 문제가 되어버렸기 때문이다. 이런 사회적 재난과 불안의 일상화 속에서 어떻게 기독교인들이 신앙적 삶의 중심을 지키며 자신들의 삶을 온전하게 살아낼 수 있을지 를 도울 수 있는 목회신학적 성찰과 목회적 돌봄에 대한 성찰이 시급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소렌 키에르케고르(Søren Kierkegaard), 메다드 보스(Medard Boss)의 불안에 대한 이론을 성찰해 볼 것이다. 프로이트가 주 장하는 정신분석학적 관점, 키에르케고르가 주장하는 실존주의적 관점, 그리고 그의 확장으로의 현존재 분석 철학의 보스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불안의 원인을 통해서 오 늘날 불안한 사람들을 위한 목회적 돌봄을 위한 이론적 성찰들을 시도할 것이다. 이 렇게 다양한 이론가들의 불안에 대한 성찰을 근거로 코로나 19 팬데믹 사회를 살아가 는 사람들을 위한 목회적 돌봄으로 첫째로, 불안이 일상이 된 사람들을 위한 목회적 돌봄의 재구성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한스 우르스 폰 발타자르(Hans Urs von Balthasar)의 성 토요일의 영성의 필요성, 둘째로, 앤 율라노프(Ann Ulanov)와 베리 율라노프(Barry Ulanov)가 주장하는 원초적 언어로서의 기도의 필요성, 셋째로, 영적 자원을 활용한 목회 상담의 사례를 소개하면서 불안한 성도들과 내담자들을 위한 목 회적 돌봄의 자원으로써 영적 자원의 활용의 가능성에 대해서 주장하며 논문의 결론 을 내려고 한다.
      번역하기

      2020년 초반부에 시작된 코로나 19 팬데믹은 현재 2021년이 지난 오늘까지 해결이 되지 않은 중장기 사회적 재난이 되었다. 마스크 없이 살아가는 일상을 꿈꾸며, 나도 언젠가 바이러스에 감염...

      2020년 초반부에 시작된 코로나 19 팬데믹은 현재 2021년이 지난 오늘까지 해결이 되지 않은 중장기 사회적 재난이 되었다. 마스크 없이 살아가는 일상을 꿈꾸며, 나도 언젠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어떻게 할까 하는 불안이 일상화된 사회를 살아가고 있 다. 따라서 목회자는 생의 진단자이며 요람에서 무덤까지 성도들의 삶을 보살피는 것 이 소명이라고 할 때, 과연 목회적 돌봄 제공자들은 이렇게 불안한 시대를 살아가는 기독교인들을 위한 목회적 돌봄을 어떻게 제공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논문이다. 실제로 불안한 일상이 장기화되면서 더 이상 불안이 특정한 누군가의 문제가 아닌 모두 의 문제가 되어버렸기 때문이다. 이런 사회적 재난과 불안의 일상화 속에서 어떻게 기독교인들이 신앙적 삶의 중심을 지키며 자신들의 삶을 온전하게 살아낼 수 있을지 를 도울 수 있는 목회신학적 성찰과 목회적 돌봄에 대한 성찰이 시급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소렌 키에르케고르(Søren Kierkegaard), 메다드 보스(Medard Boss)의 불안에 대한 이론을 성찰해 볼 것이다. 프로이트가 주 장하는 정신분석학적 관점, 키에르케고르가 주장하는 실존주의적 관점, 그리고 그의 확장으로의 현존재 분석 철학의 보스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불안의 원인을 통해서 오 늘날 불안한 사람들을 위한 목회적 돌봄을 위한 이론적 성찰들을 시도할 것이다. 이 렇게 다양한 이론가들의 불안에 대한 성찰을 근거로 코로나 19 팬데믹 사회를 살아가 는 사람들을 위한 목회적 돌봄으로 첫째로, 불안이 일상이 된 사람들을 위한 목회적 돌봄의 재구성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한스 우르스 폰 발타자르(Hans Urs von Balthasar)의 성 토요일의 영성의 필요성, 둘째로, 앤 율라노프(Ann Ulanov)와 베리 율라노프(Barry Ulanov)가 주장하는 원초적 언어로서의 기도의 필요성, 셋째로, 영적 자원을 활용한 목회 상담의 사례를 소개하면서 불안한 성도들과 내담자들을 위한 목 회적 돌봄의 자원으로써 영적 자원의 활용의 가능성에 대해서 주장하며 논문의 결론 을 내려고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om the beginning of 2020 to our current lives, the Covid-19 pandemic is a biosocial disaster that has completely reshaped our society. While we earnestly wait for a mask-free life post the virus, we are still living in fear of becoming infected at any moment. In fact, as our initial anxieties became cemented into our everyday routines, anxiety has become a problem for everyone. As pastors who are called to take care of Christians from life till death, we must grapple with how to provide pastoral care amidst a society filled with unprecedented anxiety. Therefore, in this paper, we will reflect on the theory of anxiety from Sigmund Freud, Søren Kierkegaard, and Medard Boss to propose theoretical reflections on pastoral care for anxious people in our current world. Through Freud's psychoanalytic perspective, Kierkegaard's existentialist perspective, and Boss’s philosophy regarding the causes of anxiety, we will attempt to find integrative theoretical reflections on how to reconstruct the narrative about pastoral care for anxious people during the pandemic. Firstly, there is a need to recognize that anxiety has become commonplace and the importance of spirituality on St. Saturday as championed by Hans Urs von Balthasar. Secondly, it is essential to see prayer as the original language as proposed by Ann and Barry Ulanov. Thirdly, a case study about spiritual resources will be utilized as a possible solution to providing spiritual support for anxious clients.
      번역하기

      From the beginning of 2020 to our current lives, the Covid-19 pandemic is a biosocial disaster that has completely reshaped our society. While we earnestly wait for a mask-free life post the virus, we are still living in fear of becoming infected at a...

      From the beginning of 2020 to our current lives, the Covid-19 pandemic is a biosocial disaster that has completely reshaped our society. While we earnestly wait for a mask-free life post the virus, we are still living in fear of becoming infected at any moment. In fact, as our initial anxieties became cemented into our everyday routines, anxiety has become a problem for everyone. As pastors who are called to take care of Christians from life till death, we must grapple with how to provide pastoral care amidst a society filled with unprecedented anxiety. Therefore, in this paper, we will reflect on the theory of anxiety from Sigmund Freud, Søren Kierkegaard, and Medard Boss to propose theoretical reflections on pastoral care for anxious people in our current world. Through Freud's psychoanalytic perspective, Kierkegaard's existentialist perspective, and Boss’s philosophy regarding the causes of anxiety, we will attempt to find integrative theoretical reflections on how to reconstruct the narrative about pastoral care for anxious people during the pandemic. Firstly, there is a need to recognize that anxiety has become commonplace and the importance of spirituality on St. Saturday as championed by Hans Urs von Balthasar. Secondly, it is essential to see prayer as the original language as proposed by Ann and Barry Ulanov. Thirdly, a case study about spiritual resources will be utilized as a possible solution to providing spiritual support for anxious cli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불안에 관한 다양한 이론적 성찰을 통한 목회적 돌봄과의 연관성
      • III. 코로나 19 팬데믹 시대의 불안한 사람들을 위한 목회적 돌봄
      • 1. 불안한 사람들을 위한 성 토요일의 영성
      • 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불안에 관한 다양한 이론적 성찰을 통한 목회적 돌봄과의 연관성
      • III. 코로나 19 팬데믹 시대의 불안한 사람들을 위한 목회적 돌봄
      • 1. 불안한 사람들을 위한 성 토요일의 영성
      • 2. 불안한 사람들을 위한 원초적 언어로서의 기도
      • 3. 불안한 내담자들을 위한 영적 자원을 활용한 목회 상담의 가능성
      • IV.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희선, "한국사회의 불안과 분노와 기독(목회)상담가의 역할" 한국실천신학회 (59) : 407-437, 2018

      2 Freud, Sigmund, "한 권으로 읽는 프로이트" 열린책들 2020

      3 김태형, "하나님의 현존 경험의 가능성을 돕는 영성적 관점의 목회상담 - 위니캇의 중간 대상과 홀로 있음의 개념을 중심으로 -" 한국실천신학회 (59) : 351-376, 2018

      4 김재철, "키에르케고어의 불안 개념에 대한 임상적 해석" 철학연구소 37 : 117-148, 2014

      5 이동훈,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감염에 대한 일반대중의 두려움과 심리, 사회적 경험이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32 (32): 2119-2156, 2020

      6 권진숙, "코로나 19시대를 위한 목회적 돌봄이 무엇인가?" 감리교신학대학교 206-213, 2020

      7 Kierkegaard, Søren, "죽음에 이르는 병" 다산글방 2007

      8 정연득, "종교중독에 대한 목회신학적 대응 - 정신분석학과 몸의 신학의 관점에서" 한국실천신학회 (26) : 45-78, 2011

      9 Heidegger, Martin, "존재와 시간: 인간은 죽음을 향한 존재" 살림 1989

      10 Boss, Medard, "정신분석과 현존재 분석" 하나의학사 2003

      1 김희선, "한국사회의 불안과 분노와 기독(목회)상담가의 역할" 한국실천신학회 (59) : 407-437, 2018

      2 Freud, Sigmund, "한 권으로 읽는 프로이트" 열린책들 2020

      3 김태형, "하나님의 현존 경험의 가능성을 돕는 영성적 관점의 목회상담 - 위니캇의 중간 대상과 홀로 있음의 개념을 중심으로 -" 한국실천신학회 (59) : 351-376, 2018

      4 김재철, "키에르케고어의 불안 개념에 대한 임상적 해석" 철학연구소 37 : 117-148, 2014

      5 이동훈,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감염에 대한 일반대중의 두려움과 심리, 사회적 경험이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32 (32): 2119-2156, 2020

      6 권진숙, "코로나 19시대를 위한 목회적 돌봄이 무엇인가?" 감리교신학대학교 206-213, 2020

      7 Kierkegaard, Søren, "죽음에 이르는 병" 다산글방 2007

      8 정연득, "종교중독에 대한 목회신학적 대응 - 정신분석학과 몸의 신학의 관점에서" 한국실천신학회 (26) : 45-78, 2011

      9 Heidegger, Martin, "존재와 시간: 인간은 죽음을 향한 존재" 살림 1989

      10 Boss, Medard, "정신분석과 현존재 분석" 하나의학사 2003

      11 Mutter, John C, "재난 불평등: 재난은 왜 약자에게 더 가혹한가" 동녘 2020

      12 권진숙, "위기의 중년 기독교 여성을 위한 여성주의 목회 상담: 세 명의 내담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실천신학회 (59) : 439-478, 2018

      13 Ulanov, Ann, "영성과 심리치료"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5

      14 반신환, "실존주의 기독교상담의 부활 - 현대 인지행동주의 기법을 활용하는 실존주의 상담 -" 한국실천신학회 (32) : 457-475, 2012

      15 Rambo, Shelly, "성령과 트라우마" 한국기독교연구소 2019

      16 Pruyser, Paul W, "생의 진단자로서의 목회자" 동서남북 1997

      17 안석, "상담심리치료의 영성적 차원에 관한 고찰 - D. Benner를 중심으로 -" 한국실천신학회 (34) : 167-190, 2013

      18 유범희, "불안의 정신분석적 이해" 10 : 15-19, 2001

      19 임기영, "불안의 생태학적 이해" 10 : 20-22, 2001

      20 Kierkegaard, Søren, "불안의 개념" 다산글방 2007

      21 김재철, "불안에 대한 임상철학적 이해-하이데거와 보스를 중심으로" 철학연구소 (50) : 229-265, 2014

      22 Freud, Sigmund, "불안과 억압" 열린책들 2020

      23 Freud, Sigmund, "불안과 억압" 열린책들 2020

      24 홍준기, "불안과 그 대상에 관한 연구: 프로이트, 라깡 정신분석학과 키에르케고르의 비교를 중심으로" 17 : 236-237, 2001

      25 전요섭, "범불안장애 극복을 위한 경건 묵상(임마누엘 묵상)"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5 (25): 211-239, 2017

      26 Patton, John, "목회적 돌봄과 상황" 은성 2004

      27 현상규, "마음챙김에 대한 기독교적 고찰과 목회상담적 제안들" 한국목회상담학회 29 : 294-333, 2017

      28 이상억, "뉴노멀(New Normal) 시대의 불안정서 돌봄을 위한 제언" 한국목회상담학회 35 : 108-135, 2020

      29 KIMJIYEON, "기독교적 관점에서 보는 수용전념치료(ACT)"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3 (23): 87-114, 2012

      30 Ulanov, Ann, "기도의 심리학" 은성 2002

      31 Elder, Jr. Gordern H, "Time, Human Agency, and Social Change: Perspectives on the Life Course" 57 : 4-15, 1994

      32 Swain, Emily, "The Significance of the Serenity Prayer in 12 Steps Recovery"

      33 Sifton, Elisabeth, "The Serenity Prayer: Faith and Politics in Times of Peace and War" W.W. Norton & Company 2003

      34 Winnicott, Donald, "The Maturational Processes and The Facilitating Environment" Karnac 2007

      35 Freud, Sigmund, "The Freud Reader" Norton & Company 628-658, 1989

      36 Gabbard, Glen O, "Psychodynamic Psychiatry in Clinical Practice" American Psychiatric Press 1990

      37 Eifert, George H,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Anxiety Disorders" New Harbinger Publications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1 1.81 1.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3 1.4 0.653 0.6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