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국어 문법 교육 분야의 연구로, 구어 문법(口語文法)에 기반한 부정 표현의 교육을 위하여 구어에서 부정 표현이 실현되는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 교육 내용 및 구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국어 문법 교육 분야의 연구로, 구어 문법(口語文法)에 기반한 부정 표현의 교육을 위하여 구어에서 부정 표현이 실현되는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 교육 내용 및 구현...
이 연구는 국어 문법 교육 분야의 연구로, 구어 문법(口語文法)에 기반한 부정 표현의 교육을 위하여 구어에서 부정 표현이 실현되는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 교육 내용 및 구현의 실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문법 교육 내용을 언어사용의 관점에서 유의미하게 개신(改新)할 수 있는 구어 문법의 교육 내용을 마련하는 실증적 근거를 확보하기 위하여 구어의 말뭉치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바, 이를 통해 실제로 구어 부정 표현이 실현되는 양상과 구어 사용의 문법적 규칙을 분석하는 데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진행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며 이는 교육의 담론 마련과 실천에 이르는 체계적 절차를 반영한 것이다. 첫째, 구어 문법 교육을 개념화하고 그 교육적 가치를 알아본다. 둘째, 구어의 부정 표현의 사용 양상을 계량적 측면, 문법적(형태통사, 의미, 화용) 측면에서 분석한다. 셋째, 구어 문법에 기반한 부정 표현 교육의 구현에 대하여 실천적 논의를 진행한다.
먼저 구어 문법이란 구어의 사용 양상을 기반으로 한 문법 교육 내용이며, 구어의 사용 양상을 기반으로 그 존립 근거를 찾을 수 있다. 구어 문법은 기존의 문어 중심의 문법 기술에 더해 구어 사용에 동원되는 다양한 문법적 규칙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존의 문법이 다루는 범위보다 포괄적으로 설정되는 개념이다. 이러한 교육 내용은 균형적으로 구성된 구어 말뭉치를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문법 교육의 학습자가 흥미 있게 탐구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 내용을 마련할 수 있다.
제2장에서는 부정 표현에 대한 구어 문법을 논의하기 위한 이론적 문제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구어의 매체적 본질을 살피고, 구어의 사용 실상에서 나타나는 구어 문법을 확인하고, 구어 문법의 개념과 기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구어 문법의 성립 조건은 언어 자료 면에서 실제 사용된 구어 말뭉치를 사용하여야 하며, 모든 언어 층위의 통합적 접근이 가능하다. 그리고 언어 단위는 구어에서 의미량을 지니는 언어적, 준언어적 단위를 기술에 사용할 수 있으며, 구어 문법의 규칙에는 기존의 문법에 더하여 구어 사용에 나타나는 선호적, 용인적 규칙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구어 문법에 기반한 교육의 요구 및 가치를 확인한 바, 구어 문법 기반의 문법 교육 내용은 교육 문법의 본질, 언어 사용 능력 신장 가능성, 구어 능력과 문식성의 관련성에서 확고한 가치를 지니고 있었다.
제3장에서는 구어의 부정 표현에 대해 계량적으로 접근하였다. 구어 말뭉치와 문어 말뭉치를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구어 부정 표현이 실현되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문법 교육 내용을 마련하고자 한 것이다. 우선 구어 말뭉치에서는 안 부정이 가장 선호되고 있었고 이는 그 의미 기능에 따른 것이다. 또한 구어의 담화 갈래에 따라 부정 표현의 사용 형태에서 뚜렷한 선호성이 나타나는데, 이는 각 담화 갈래가 지닌 구어성의 정도에 비례하여 나타나고 있었다. 그리고 구어의 부정 표현 사용 양상은 해당 표현이 지닌 인지성, 수행성, 매체성의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제4장에서는 구어 말뭉치에 나타나는 부정 표현 사용 양상에 대하여 형태통사, 의미, 담화의 층위에서 문어 사용과 대비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문법적 규칙을 분석하였다. 먼저 형태통사적으로는 구어의 부정 표현이 실현되는 양상에서 구어의 부정 표현 사용에 따른 문법적 구성 형성, 문법화 등의 측면에서 다룬 뒤, 구어에서 용인되는 부정 표현의 문법적 사용 원리와 기능 등을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의미적으로는 구어의 부정 표현의 의미적 강도와 수사적 의미를 살폈다. 그리고 구어의 장형 부정에 격조사 형태와 보조사 형태가 결합하고 있는 실현 양상을 알아본 뒤, 그 사용 의미 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부정 표현의 다양한 사용 유형에 따라 구어의 부정 표현이 지닌 담화상의 기능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기능은 화자가 지닌 전제를 중심으로 하여 다양하게 실현되고 있었다.
제5장에서는 구어 문법에 기반한 문법 교육을 실천하기 위하여, 부정 표현을 중심으로 그 교육의 실제를 다루었다. 이는 구체적으로 교육의 목표와 의의, 교육 내용 요소, 교육 내용의 조직 원리, 활동 및 문법 설명 내용 등이 포함된다. 구어 문법 교육의 세부 목표는 언어사용 관점의 문법 개념 이해, 구어의 사용에 대한 탐구, 구어의 용법에 따른 사용, 구어의 탐구 및 사용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로 나뉠 수 있다. 그리고 구어 문법에 기반한 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단계로는 크게 세 단계로 구분된다. 이는 ‘자료 분석하기, 문법 탐구하기, 문법 사용하기’의 단계로, 각 단계는 다시 세 가지의 교수·학습 단계로 세분화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는 학습자의 관점에서 사고의 촉진과 원활한 언어적 탐구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구어를 중심으로 한 교육 내용을 의미 있게 탐구하고, 실제 언어 사용에 도움이 되는 문법을 교육할 수 있게 한다.
1 서정수, "국어문법", 한양대학교 출판원, 한세본, 2006
2 박갑수, "국어문체론", 대한교과서, 대한교과서, 1994
3 홍윤표, "국어정보학", 태학사, 태학사, 2012
4 이관규, "학교문법론", 월인, 월인, 2002
5 윤평현, "국어 의미론", 역락, 역락, 2008
6 김민수, "?국어의미론?", 일조각, 일조각, 1981
7 권재일, "한국어문법론", 태학사, 태학사, 2012
8 홍순성, "대립어와 부정",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한국학논집 17,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85-98, 1990
9 이성하, "문법화의 이해", 한국문화사, 1998
10 김광섭, 장영준, 이정민, 윤항진, 박갑용, 김영화, "부정과 부정어", 한국문화사, 2006
1 서정수, "국어문법", 한양대학교 출판원, 한세본, 2006
2 박갑수, "국어문체론", 대한교과서, 대한교과서, 1994
3 홍윤표, "국어정보학", 태학사, 태학사, 2012
4 이관규, "학교문법론", 월인, 월인, 2002
5 윤평현, "국어 의미론", 역락, 역락, 2008
6 김민수, "?국어의미론?", 일조각, 일조각, 1981
7 권재일, "한국어문법론", 태학사, 태학사, 2012
8 홍순성, "대립어와 부정",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한국학논집 17,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85-98, 1990
9 이성하, "문법화의 이해", 한국문화사, 1998
10 김광섭, 장영준, 이정민, 윤항진, 박갑용, 김영화, "부정과 부정어", 한국문화사, 2006
11 염선도, "부정문의 의미", 한국어문학회, 한국어문학회, 119-136, 어문학 44-45, 1984
12 김진해, "국어 연어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0
13 이정민, "《언어학사전》", 박영사, 박영사, 2000
14 김광해, "국어지식교육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15 고영근, "국어형태론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1
16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 탑출판사, 1993
17 임홍빈, "“부정의 양상”", 서울대학교 교양과정부, 논문집 5, 서울대학교 교양과정부, 115-140, 1973
18 김진우, "『언어와 수사』", 한국문화사, 2010
19 이익섭, "『한국어 문법』",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20 서정수, "국어구문론 연구", 탑, 탑출판사, 1983
21 김광해, "문법과 탐구학습",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선청어문 20/1,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81-101, 1992
22 이종승, "연구논문 작성법", 교육과학사, 교육과학사, 2004
23 남기심, "<현대 국어 통사론>", 태학사, 태학사, 2001
24 이상태, "“입말에 대하여”", 배달말교육학회, 배달말교육 1, 배달말교육학회, 21-41, 1983
25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집문당, 2008
26 최형용, "『한국어 형태론』", 역락, 역락, 2016
27 이창덕, "화용론과 국어교육",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한국초등국어교육 1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167-197, 1994
28 이익섭, 채완, "<<국어문법론 강의>>", 학연사, 2000
29 김동식, "“부정 아닌 부정”", 한국언어학회(언어), 언어 6/2, 한국언어학회, 99-116, 1981
30 김영욱, "국어 부정문의 유형",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선청어문 14,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162-177, 1986
31 서상규, 구현정, "한국어 구어 연구(1)", 한국문화사, 2002
32 서상규, 구현정, "한국어 구어 연구(2)", 한국문화사, 2005
33 김미숙, "“부정명령문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54, 한국국어교육학회, 323-342, 1997
34 신창순, "“국어부정법 연구”", 한국언어학회, 언어학 7, 한국언어학회, 241-255, 1982
35 임동훈, "“보조사의 의미론”", 국어학 73, 국어학회, 335-373, 2004
36 구종남, "“국어 부정문 연구”",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1992
37 장경희, "“국어의 대화 구조”", 한국언어문화학회, 한국언어문화 16, 한국언어문화학회, 211-236, 1998
38 임근석, "“한국어 연어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39 전영옥, "「구어와 담화 연구」", 한국어학회, 한국어학 45, 한국어학회, 45-93, 2009
40 이성영, "교육문법의 체제 연구",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8/1, 국어교육학회, 199-243, 1998
41 유동준, "국어 부정문의 화용론",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연세어문학 14-15,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1-202, 1982
42 허재영, "부정문의 통시적 연구", 역락, 역락, 2002
43 이상억, "서울말 진경 구어 연구", 박이정, 2006
44 송석중, "한국어 문법의 새 조명", 지식산업사, 1993
45 장소원, "“문법연구와 문어체”", 일지사, 한국학보 12/2, 일지사, 191-212, 1986
46 엄홍준, 이재영, "「부정극어와 부정어」", 한국언어학회, 언어학 29, 한국언어학회, 107-120, 2004
47 이세영, "“‘말다’ 구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1
48 여찬영, "“중세어 부정법 소고”",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연세어문학 6,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67-177, 1975
49 박형우, "「부정문의 유형 분류」", 청람어문교육학회, 청람어문교육 26, 청람어문교육학회, 375-405, 2003
50 채 완, "「조사 ‘는’의 의미」", 국어학회, 93-113, 국어학 4, 1975
51 우형식, "『국어 타동구문 연구』", 박이정, 박이정, 1996
52 고영근, "『국어의 통사 의미론』", 탑, 탑출판사, 1983
53 강상호, "『조선어 입말체 연구』", 사회과학, 사회과학출판사, 1989
54 이경화(Lee Kyeong Hwa), "교수학적 변환론의 이해", 대한수학교육학회, 수학교육학연구 6/1, 대한수학교육학회, 203-213, 1996
55 박철우, "부정의 작용역에 대하여", 한국어학회, 한국어학 61, 한국어학회, 145-171, 2013
56 학여회, "학여와 함께하는 국어학", 태학사, 2009
57 시정곤, "현대국어 통사론의 탐구", 월인, 2006
58 전영옥, "구어의 단위와 구조 연구", 한말연구학회, 한말연구학회 학회발표집 24, 한말연구학회, 7-21, 2006
59 박형우, "국어 부정문의 변천 연구", 한국문화사, 2006
60 김시정, 이삼형, "독서 문법의 가능성 탐색", 한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 145, 한국어교육학회, 95-124, 2014
61 한영옥, "문법 교육의 현실과 지향",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학연구 85,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87-221, 2011
62 장경희, "진술에 대한 긍정과 부정", 한국어의미학회, 한국어의미학 5, 한국어의미학회, 311-332, 1999
63 서상규, "한국어 구어 말뭉치 연구", 한국문화사, 한국문화사, 2013
64 이상복, "「동사 '말다'에 대하여」",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연세어문학 12,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3-39, 1979
65 구현정 ( Hyun Jung Koo ), "구어와 담화: 연구와 활용", 우리말학회, 우리말연구 28, 우리말학회, 25-56, 2011
66 양태식, "말하기·듣기 지도의 얼안", 서울교육대학교, 논문집 27, 서울교육대학교, 25-53, 1994
67 정희자, "?담화와 문법 그리고 의미?", 한국문화사, 한국문화사, 2009
68 구종남, "“국어 부정극어의 유형”", 국어문학회, 국어문학 38, 국어국문학회, 5-27, 2003
69 박숙희, "“방송언어의 운율 유형”", 한글학회, 한글 296, 한글학회, 41-79, 2012
70 이춘숙, "“우리말 도움토씨 연구”", 동의공업전문대학 산업개발연구소,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1993
71 홍사만, "『국어 특수조사 신연구』", 역락, 역락, 2002
72 노대규, "『한국어의 입말과 글말』", 국학자료원, 국학자료원, 1996
73 박철우, "보조사의 기능과 정보구조", 국어학회, 국어학 73, 국어학회, 269-307, 2015
74 최웅환, "부정어 {안}의 문법적 지위", 언어과학회, 언어과학연구 48, 언어과학회, 41-61, 2009
75 김정렬, "코퍼스 언어학과 영어교육", 한국문화사, 한국문화사, 2012
76 민현식, "“개화기 국어 문체 연구”",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111, 국어국문학회, 37∼61, 1994
77 신지연, "“국어 구어의 부사 연구”", 목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 11, 목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09-128, 2002
78 구현정, "“말뭉치 바탕 구어 연구”", 언어과학회, 언어과학연구 32, 언어과학회, 1-20, 2005
79 박일송, "“영어 부정의 의미 분석”",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대학원, 1996
80 임홍빈, "국어 부정문의 통사와 의미", 국어연구소, 국어생활 10, 국어연구소, 72-99, 1987
81 張京姬, "국어 의문법의 긍정과 부정", 국어학회, 국어학 11, 국어학회, 89-115, 1982
82 임홍빈, "부정법 논의와 국어의 현실", 국어학회, 국어학 6, 국어학회, 185-206, 1978
83 이성범(Lee Sungbom), 홍승진(Hong Seungjin), "생략적 발화의 화용적 기능", 담화·인지언어학회, 담화와 인지 16/1, 담화인지언어학회, 63-82, 2009
84 지현숙, "한국어 구어 문법과 평가Ⅰ", 하우, 2006
85 홍종선, "후기 근대국어 통사의 연구", 역락, 역락, 2006
86 허웅, "『언어학(그 대상과 방법)』", 샘 문화사, 샘문화사, 1981
87 이광호, "국어 격조사 ‘을/를’ 연구", 탑출판사, 1988
88 이충우 ( Choong Woo Lee ), "국어 문법 교육의 개선 방안", 이중언어학회, 이중언어학 26, 이중언어학회, 271-290, 2004
89 이병규, "국어 문법 교육의 원리 탐구",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90, 한국국어교육학회, 29-56, 2012
90 안윤미, "“'같다'의 사용 양상 연구”", 한국어의미학 41, 한국어의미학회, 79-110, 2013
91 이남순, "“격표지의 비실현과 생략”", 국어학 31, 국어학회, 339-360, 1998
92 김영서, "“구어능력 평가의 타당도”", 덕성여자대학교, 덕성여대논문집 24, 덕성여자대학교, 17-35, 1995
93 박정규, "“국어 부정문의 의미해석”", 국제어문학회, 국제어문 12, 국제어문학회, 117-147, 1991
94 김미숙, "“부정문의 간접화행 연구”",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1998
95 문금현, "「구어적 관용표현의 특징」", 한국언어학회, 언어 25, 한국언어학회, 51-71, 2000
96 金錫得, "「한국어 부정법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53, 국어국문학회, 47-58, 1971
97 장경희, "“구어 연구의 현황과 전망”", 한국어학회, 한국어학 45, 한국어학회, 1-26, 2009
98 임성규, "“글말과 입말의 문체 분석”",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102, 국어국문학회, 313-333, 1989
99 장경희, "“대화 텍스트의 결속 구조”", 한국언어문화학회, 한국언어문화 15, 한국언어문화학회, 283-300, 1997
100 노은희, "“대화의 특성과 지도 방법”", 텍스트언어학 7,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55-286, 1999
101 백봉자, "“한국어의 부정과 그 범주”",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연세어문학 6,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31-50, 1975
102 이선웅,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어 연구", 월인, 월인, 2012
103 노성화, "한국어 준구어 형태론적 연구", 박이정, 박이정, 2014
104 최기용, "“장형 부정 구문의 격 교체”", 한국언어학회, 언어 31, 한국언어학회, 441-461, 2006
105 고춘화, "교육 문법의 목적과 성격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84, 한국국어교육학회, 5-28, 2010
106 목정수, "구어 한국어를 위한 문법 모형", 한국어학회, 한국어학 46, 한국어학회, 81-122, 2010
107 이익환, "“국어 외부부정의 의미해석”",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동방학지 64,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67-187, 1989
108 시정곤, "“국어의 부정극어 허가조건”", 한국언어학회(언어), 언어 22, 한국언어학회, 471-497, 1997
109 장경기, "“국어의 부정의문문과 전제”",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어학연구 22,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19-40, 1986
110 장경기, "“국어의 부정의문문과 화행”", 울산대학교, 연구논문집 20, 울산대학교, 49-63, 1989
111 김준기, "“부정문의 중의성에 대하여”",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64, 한국국어교육학회, 147-170, 2002
112 구종남, "“부정문의 통사구조와 의미”", 한국언어문학회, 한국언어문학 28, 한국언어문학회, 403-423, 1990
113 임지룡,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한국문화사, 한국문화사, 2008
114 박동근, "“구어 흉내말의 계량적 연구”", 한말연구학회, 한말연구 15, 한말연구학회, 167-186, 2004
115 김지현, "“구어에서의 첨가 현상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0
116 민현식, "“구어적 통용과 문어적 오용”", 한국문법교육학회, 문법교육 6, 한국문법교육학회, 53-113, 2007
117 황인순, "“국어 부정법의 통시적 고찰”", 한국어문학회, 어문학 40, 한국어문학회, 119-138, 1980
118 이현진, "“대화 함축의 화용론적 분석”",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119 정원수, "“부정형태 '잖(찮)'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회, 283-294, 국어국문학 100, 1988
120 박형우, "“한국어 부정문의 변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3
121 김민국, "“한국어 주어의 격표지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122 시정곤, "「국어의 부정어와 어휘 분해」", 한국어학회, 한국어학 7, 한국어학회, 193-225, 1998
123 백봉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사전", 하우, 2007
124 이차숙, "초기읽기의 지도의 개념적 모형", 유아교육연구 20/1, 한국유아교육학회, 5-26, 2000
125 임칠성, "“교육 문법의 교육 방향 연구”",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36, 국어교육학회, 493-517, 2009
126 이필영, "“인용 구문의 의미 특성 연구”", 한국언어학회, 언어 30/3, 한국언어학회, 479-493, 2005
127 이인섭, "“한국 아동의 언어 발달 연구”",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1986
128 이소영, "“현대 국어의 구어 문형 연구”",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129 권재일, "구어 한국어의 의향법 실현 방법",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130 윤석빈, "입말과 글말 그리고 인간의 실존", 충북대학교 출판부, 충북대학교 출판부, 2012
131 민현식, "통합적 문법 교육의 의의와 방향", 한국문법교육학회, 문법교육 12/1, 한국문법교육학회, 1-37, 2010
132 김미형, "한국어 구어와 문어의 특징 연구", 한말연구학회, 한말연구 15, 한말연구학회, 23-73, 2004
133 주세형, "“문법교육학의 본질과 독자성”",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선청어문 40,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81-300, 2012
134 송창선, "“현대국어 '말다'의 의미 분석”", 국어교육연구 52, 국어교육학회, 263-284, 2013
135 홍재성, "“견디다 구문의 기술을 위하여”", 한글학회, 한글 208, 한글학회, 35-64, 1990
136 윤선영, "“문법의 종류와 범위에 대하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0,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76-285, 2010
137 노명희, "“접미사 부류의 역문법화 양상”", 반교어문연구 35, 반교어문학회, 129-164, 2013
138 신현숙, "「21세기 담화 의미 연구의 방향」", 한국어의미학회, 한국어의미학 1, 한국어의미학회, 59-84, 1997
139 임규홍, "「‘담화 문법 교육’에 대하여」", 한국문법교육학회, 문법교육 4, 한국문법교육학회, 161-184, 2006
140 서상규, "「국어 부정문의 의미 해석원리」",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9,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41-79, 1984
141 유혜원, "“구어에 나타난 주격 조사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한국어의미학 28, 한국어의미학회, 147-169, 2009
142 민현식, "“국어 지식의 위계화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 108, 한국어교육학회, 71∼129, 2002
143 이필영, "“국어의 응답 표현에 대한 연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텍스트언어학 6, 한국텍스트언어학회, 71-105, 1999
144 이성범, "“대격 조사 생략의 화용적 분석”", 담화·인지 언어학회, 담화와 인지 13/3, 담화인지언어학회, 69-89, 2006
145 장경희, "“판정 질문에 대한 긍정과 부정”", 한국어의미학회, 한국어의미학 7, 한국어의미학회, 149-174, 2000
146 정명숙, "“한국어 구어 문법 평가의 방향”", 한국문법교육학회, 문법교육 15, 한국문법교육학회, 73-95, 2011
147 양영하, "「구어 담화에 나타난 쉼의 기능」", 담화·인지 언어학회, 담화와 인지 9, 담화인지언어학회, 79-100, 2002
148 신명선, 구본관, "원리 중심의 문법교육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61-293, 국어교육연구 27, 2011
149 이현희(Lee Hyun-hee), "구어성 언어 단위의 설정과 그 유형", 한글학회, 한글 303, 한글학회, 41-76, 2014
150 김현지(Hyunji Kim), "한국어 구어 문법의 교육 내용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교육 26/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749-772, 2015
151 선효숙, "“구어와 문어의 연속성과 단절성”", 불어불문학연구 94, 한국불어불문학회, 303-323, 2013
152 장경기, "“국어 부정의문문의 통사적 연구”", 한국언어학회(언어), 언어 26, 한국언어학회, 185-208, 2001
153 김종록, "“국어 접속문 구성에서의 부정법”", 한국어문학회, 어문학 53, 한국어문학회, 157-186, 1992
154 최영환, "“국어교육에서 문법 지도의 위상”",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1, 국어교육학회, 43-70, 1992
155 이성하, "“문법화 연구에서의 구어의 의의”", 언어과학회, 언어과학연구 47, 언어과학회, 209-235, 2008
156 이호승, "“분리성 통사원자의 유형별 검토”",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비교문화연구 38,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433-459, 2015
157 이승복, "“어린이 언어에서 부정문의 이해”",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7
158 송석중, "「‘부정의 양상’의 부정적 양상」", 국어학회, 국어학 5, 국어학회, 45-100, 1977
159 신희성 ( Heeseong Shin ), "문법 교과서 내 구어 자료 양상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문법교육 24, 한국문법교육학회, 57-85, 2015
160 하연실, "실제 언어 생활 중심 문법 탐구 학습",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49/1,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9-47, 2010
161 이은희, "언어 지식 영역 교수 학습 방법 연구", 한국국어교육연구회, 국어교육 87, 한국어교육학회, 143-161, 1995
162 박정규, "“국어 부정문의 의미와 통사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6
163 박정규, "“국어 부정문의 의미와 통사 연구”",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5
164 이도영, "“문법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한국국어교육학회 논문집 54, 한국어교육학회, 25-55, 1995
165 심영택, "“문법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21, 국어교육학회, 355-390, 2004
166 류성기, "“문장쓰기 실태와 지도 방법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한국초등국어교육 19,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7-69, 2001
167 최윤, "“부정극어 '절대(로)'의 의미 고찰”", 우리말교육현장학회, 우리말교육현장연구 7,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55-280, 2013
168 서상규, "“한국어교육과 구어, 그리고 문법”",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1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3
169 김영선, "고등학교 문법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동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국어국문학 20, 동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11-230, 2001
170 임홍빈(Im Hong-Pin), "한국어 무조사 명사구의 통사와 의미", 국어학회, 국어학 49, 국어학회 49, 69-106, 2007
171 이기갑, "“국어 입말 담화의 의문 제기 형식”", 담화·인지 언어학회, 담화와인지 9, 담화 인지언어학회, 121-145, 2002
172 서상규, 김형정, "「구어 말뭉치 설계의 몇 가지 조건」",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언어사실과 관점 14,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5-29, 2005
173 김지숙(Kim, Ji-suk), "아동의 부정문 습득에 관한 종단 연구", 중앙어문학회, 어문론집 59, 중앙어문학회, 7-40, 2014
174 임동훈, "한국어 조사의 하위 부류와 결합 유형", 국어학회, 국어학 43, 국어학회, 119-154, 2004
175 김성화, "“‘-{지/다가/고} 말-’의 의미 기능”", 국어국문학 102, 국어국문학회, 147-174, 1989
176 신지연, "“구어에서의 지시어 용법에 대하여”", 어학연구 29,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363-381, 1993
177 박종갑, "“국어 부정문의 중의성에 대하여(1)”", 한민족어문학회, 한민족어문학 38, 한민족어문학회, 163-183, 2001
178 이선웅, 이은섭, "“이론문법의 관점에서 본 학교문법”",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163, 국어국문학회, 249-277, 2013
179 임규홍, "“국어 담화분석 연구의 현황과 전망”", 우리말학회, 우리말연구 20, 우리말학회, 111-145, 2007
180 김태엽, "“국어 부정문의 유형 명칭에 대하여”", 우리말글학회, 우리말글 27, 우리말글학회, 33-52, 2003
181 양경미, "“말뭉치 언어학과 중국어 구어 연구”", 중국어교육과연구 5, 한국중국어교육학회, 13-24, 2007
182 서상규, "“부사의 통사적 기능과 부정의 해석”", 한글학회, 한글 186, 한글학회, 73-114, 1984
183 남길임, "“아니다의 사용 패턴과 부정의 의미”", 한국어의미학회, 한국어의미학 33, 한국어의미학회, 45-72, 2010
184 민현식, "「국어 문법과 한국어 문법의 상관성」",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교육 14/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07-141, 2003
185 심영택, "「국어적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 108, 한국어교육학회, 155-179, 2002
186 강범모, "『한국어의 텍스트 장르와 언어 특성』", 고려대학교 출판부,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9
187 강소영, "구어와 문어 자료의 실제적 연구방법론", 한국문화사, 한국문화사, 2007
188 마성식, "문법 교육상의문제점과 해결 방법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60, 한국국어교육학회, 135-156, 2000
189 김규훈, 이준영, 김혜숙, "“연어의 어휘 교육적 활용 방안 탐색”", 새국어교육 95, 한국국어교육학회, 521-555, 2013
190 권순희, "“한국어 교육 방법과 수업 활동 유형”", 한국초등국어교육 31, 한국초등국어교육, 5-40, 2006
191 이호승, "격조사 없는 명사구의 격 문제에 대하여", 한국어문학회, 어문학 93, 한국어문학회, 139-159, 2006
192 문금현, "구어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교육 1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61, 2000
193 임성규, "국어지식의 교수 학습 방법과 적용 원리", 국어교과교육연구 4, 국어교과교육학회, 179-219, 2002
194 장경기, "“국어 부정의문문의 구조와 의미해석”", 현대영미어문학회, 현대영미어문학 10, 현대영미어문학회, 173-203, 1993
195 김창섭, "“문어와 구어에서의 조사 '의'의 문법”", 진단학회, 진단학보 106. 진단학회, 79-115, 2008
196 안의정, "“말뭉치를 어휘의 구어성 측정과 활용”", 어문논집 57, 민족어문학회, 93-119, 2008
197 박선희, "“부정에 대한 연구: '아니'를 중심으로”", 목원어문학 3, 목원대학교 국어교육과, 47-66, 1982
198 이진희, "“언어의 구어성과 문어성에 관한 연구”", 한국독어독문학회, 독일문학 85, 한국독어독문학회, 528-542, 2003
199 구종남, "“장형 부정문에서 '-지'의 통사적 기능”",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115, 국어국문학회, 1-25, 1995
200 권재일, 전종호, 문양수, 남승호, 김윤한, "“통사구조와 운율 구조의 상관성 연구”", 한국언어학회, 언어학 20, 한국언어학회, 59-112, 1997
201 이은교, "「현대국어 보조사 ‘를’에 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8
202 남길임, "“구어 비유창성 현상의 주석 체계 연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텍스트언어학 30, 한국텍스트언어학회, 45-72, 2011
203 노석기, "“국어의 담화와 문장에 대한 특성 비교”", 한글학회, 한글 184, 한글학회, 173-193, 1984
204 김미희, "“부정 의문문의 확인 용법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205 조두상, "“한영 구어와 문어의 차이점 비교 연구”", 부산대학교 어학연구소, 언어연구 7, 부산대학교 어학연구소, 53-71, 1984
206 민현식, "「국어 능력 실태와 문법 교육의 문제점」", 국어교육학회(since1969), 국어교육연구 44, 국어교육학회, 1-56, 2009
207 권구천, "교육 현장에서의 문법 교육 실태와 문제점", 목원대학교, 목원어문학 17, 목원대학교, 101-125, 1999
208 주세형, "문법 교육론과 국어학적 지식의 지평 확장", 역락, 역락, 2006
209 김은성, "“국어 문법 교육의 태도 교육 내용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210 박재연, 황선엽, 이선웅, 이진호,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 1: 개관, 음운, 형태, 통사", 집문당, 집문당, 2015
211 강소영, "“구어 담화에서의‘그래 가지고'의 의미”", 한국어의미학회, 한국어의미학 16, 한국어의미학회, 1-21, 2005
212 안의정, "“기존 국어사전에서의 구어 어휘의 기술”", 한국사전학회, 한국사전학 5, 한국사전학회, 139-159, 2005
213 김선영, "“부정 구성 '-지 말-'의 통합 양상과 의미”", 국어학 46, 국어학회, 331-353, 2005
214 문현수, "“점토석독구결 용언 부정사의 의미 기능”", 국어사학회, 국어사연구 14, 국어사학회, 133-165, 2012
215 남길임, "“한국어 부정극어의 유형과 그 허가조건”", 한국언어학회, 언어학 22, 한국언어학회, 41-55, 1998
216 강현화, "“[체언+용언] 꼴의 연어 구성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사전편찬학 연구 8/1,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191-224, 1997
217 강범모, 김혜영, "“구어 속 강조적 정도부사의 사용과 의미”", 한국어학회, 한국어학 48, 한국어학회, 101-129, 2010
218 이지영, "“국어의 용언 부정문에 관한 역사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219 이휘자, "“담화에 나타난 구어적 특성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논총 7, 아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401-412, 1997
220 이광호, "“대립어의 정도성 연구: 대립성과 부정성”", 우리말글학회, 우리말글 42, 우리말글학회, 115-134, 2008
221 최석재, "“말뭉치를 이용한 조사의 결합 양상 연구”", 돈암어문학회, 돈암어문학 26, 돈암어문학회, 303-334, 2013
222 권순희, 김선겸, "“부정 의문문에 나타난 화자의 태도 분석”",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 24, 국어교육학회, 161-187, 2005
223 박정규, "“부정법 논의와 관련한 국어사적 몇 문제”", 시학과 언어학회, 시학과 언어학 2, 시학과 언어학회, 307-328, 2001
224 박용한, "“입말/글말 텍스트의 스타일 연속체 연구”", 한민족어문학회, 한민족어문학 45, 한민족어문학회, 145-164, 2004
225 윤회철, "“한국어 부정 구문에 대한 부정소구 분석”", 기전어문학 8-9, 수원대학교 국어국문학회, 249-269, 1994
226 박형우, "“한국어 부정소의 의미 분화에 대한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청람어문교육 42, 청람어문교육학회, 523-551, 2010
227 양영희, "“현대 국어 문법화와 역문법화 비교 고찰”", 국어문학 62, 국어문학회, 5-28, 2016
228 이관규, "「교육 문법에서 조사의 담화 문법적 탐색」", 한국문법교육학회, 문법교육 20, 한국문법교육학회, 199-216, 2014
229 남길임, 서은아, 서상규,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조각문 유형 연구」", 한글학회, 한글 264, 한글학회, 123-151, 2004
230 목정수, "한국어 격조사와 특수조사의 지위와 그 의미", 한국언어학회, 언어학 23, 한국언어학회, 47-78, 1998
231 백해파, "한국어 구어의 동사구문의 실현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232 장경기, "현대 생성문법과 영어와 국어의 부정법 연구", 울산대학교 출판부, 2010
233 조미희, "“‘아니' 계열 부정소의 지위에 대한 고찰”", 언어학연구 19, 한국언어연구학회, 137-159, 2014
234 우형식, "“규칙으로서의 문법과 사용으로서의 문법”",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34,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227-256, 2009
235 장윤희, "“문법 내용의 국어 교과서 구현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 120, 한국어교육학회, 325-356, 2006
236 정명숙, "「구어 연구를 위한 음성학, 음운론의 과제」", 한국어학회, 한국어학 45, 한국어학회, 95-112, 2009
237 엄홍준, "「장형 부정 구문의 격 교체에 대한 재고찰」", 한국언어학회, 언어 33/1, 한국언어학회, 55-77, 2008
238 문금현, "구어 중심의 한국어 교재 편찬 방안에 대하여", 한국국어교육연구회, 국어교육 105, 한국국어교육연구회, 233-262, 2001
239 강지수(Ji-su Kang), "구어체 담화와 문어체 담화의 문법 현상 비교", 어문연구학회, 語文硏究 47, 어문연구학회, 63-82, 2005
240 정용한, "Scalarity and Semantic-Pragmatic Constraints on NPI Licensing",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241 송상헌,송지영, 송지영, 송상헌, "세종 구어 말뭉치 기반 격표지 중출 자료 구축",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언어정보 19,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57-90, 2014
242 서은아, "“구어와 문어의 문형 연구-단문을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한국어학 24, 한국어학회, 99-129, 2004
243 안주호, "“국어 문법 교육에서의 구어자료 활용 방안”", 현대문법학회, 현대문법연구 33, 현대문법학회, 149-171, 2003
244 박재희, "“부정소 '안'의 문법 단위 설정에 대한 소고”", 한민족어문학 68, 한민족어문학회, 153-184, 2014
245 이기영, "“구어 교육적 관점에서의 '-지 않아요?' 연구”", 시학과언어학 28, 시학과 언어학회, 31-57, 2014
246 윤석빈, "“글말과 인간 존재 방식의 관계에 대한 고찰”", 새한철학회, 철학논총 60, 세한철학회, 239-262, 2010
247 이상태, "“입말 텍스트의 말본새 기술을 위한 틀 연구”", 언어과학회, 언어과학연구 47, 언어과학회, 57-73, 2008
248 이필영, "“조사 ‘이/가’와 ‘을/를’의 통사와 의미”", 한국어학 49, 한국어학회, 345-368, 2010
249 이재현, "「부정부사와 이른바 ‘부정극어’에 대하여」",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연세어문학 29, 연세대학교, 213-240, 1997
250 최정순, "의사소통적 한국어 구어 능력 개발을 위한 제언",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18,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91-121, 2006
251 Jespersen, O., "The philosophy of grammar. 전상범 역(2014), 문법의 철학", 한국문화사, 1924
252 신서인, "“‘이/가, 을/를’의 비전형적인 분포와 기능”", 국어학 69, 국어학회, 69-103, 2014
253 이정훈,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리고'에 대한 고찰”", 우리말글학회, 우리말글 36, 우리말글학회, 73-105, 2006
254 신호철, "“맥락 중심의 문법 교육 내용 기술 방안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43, 국어교육학회, 323-348, 2012
255 하성욱, "“문법 탐구 학습의 학습 동기 증진 효과 연구”",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한어문교육 33,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39-58, 2015
256 장요한, "“중세국어 접속문에서의 부정 범위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146, 국어국문학회, 385-410, 2007
257 오현정, "한국어 부정 표현 연구: 의미와 기능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6
258 전병쾌, "한국어 부정구조의 분석: 변형 생성 문법적 고찰", 한신문화사, 한신문화사, 1984
259 박형우, "“부정문의 중의성과 동의성 양상에 대한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청람어문교육 35, 청람어문교육학회,129-153, 2007
260 강우순, "“온라인 채팅에 나타난 구어적 특성과 차이점”", 경희대학교 언어연구소, 언어연구 22, 경희대학교 언어연구소, 1-22, 2005
261 임홍빈, "≪국어 문법의 심층3: 어휘 범주의 통사와 의미≫", 태학사, 1998
262 남기심, "국어 문법의 탐구 Ⅰ: 국어 통사론의 문제와 전망", 태학사, 1996
263 남기심, "국어 문법의 탐구 Ⅱ: 국어 통사론의 문제와 전망", 태학사, 1996
264 남기심, "국어 문법의 탐구 Ⅲ: 국어 통사론의 문제와 전망", 태학사, 1996
26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21세기 국어 정보화와 국어 연구", 월인, 2001
266 전혜영, "“구어 담화에 나타나는 '-는 것이'의 화용 의미”", 국어학 46, 국어학회, 255-276, 387-388, 2005
267 안의정, "“구어 말뭉치를 이용한 감탄사 목록 보완 방안”", 한국사전학 10, 한국사전학회, 185-196, 2007
268 박동근, "“구어 음운 전사 말뭉치 구축의 필요성과 방법”", 겨레어문학회, 겨레어문학 35, 겨레어문학회, 63-93, 2005
269 김충효, "“국어 의문 체언과 부정사의 실현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한국언어문화 15, 한국언어문화학회, 43-65, 1997
270 서민정, "“긍정의 시킴, 꾀임으로 해석되는 부정-물음월”", 釜山大學校 人文大學 國語國文學科, 국어국문학지 31, 문창어문학회, 319-343, 1994
271 Jieun Kiaer, 신지영, "“목적격 조사의 생략 현상에 대한 운율적 해석”", 한국어학회, 331-355, 한국어학 57, 2012
272 장경현, "“문어/문어체 구어/구어체 재정립을 위한 시론”", 한국어의미학회, 한국어의미학 13, 한국어의미학회, 143-166, 2003
273 박정규, "“부정 부사 '안(아니)'의 접사적 성격에 대하여”", 국제어문학회, 국제어문 17, 국제어문학회, 3-28, 1996
274 최동주, "“‘은/는’과 ‘이/가’의 출현 양상, 인문연구 65",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5-58, 2012
275 이은경, "“구어체 텍스트에서의 한국어 연결어미의 기능”", 국어학회, 국어학 34, 국어학회, 167-198, 1999
276 이기영,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교육을 위한 부정 표현 연구", 박사학위논문,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6
277 김명희, "“구어체 어말어미 '-거든'과 '-더라'의 담화 기능”", 담화와 인지 20, 담화인지언어학회, 27-51, 2013
278 이창덕(Lee, Chang-deok), "현대 국어 부정 의미의 표현 형식과 화용 체계 연구",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연구 55, 국어교육학회, 265-288, 2014
279 이은경, "“구어 텍스트에서의 목적격 조사의 비실현 양상.”", 우리말글학회, 우리말글 64, 우리말글학회, 57-86, 2015
280 구현정, "“아니, 안 하는 게 아니잖아: 부정 표현의 문법화”", 담화·인지 언어학회, 담화와 인지 15/3, 담화인지언어학회, 1-27, 2008
281 신태식, "“한국인 학습자를 위한 스페인어 구어 문법 연구”", 고려대학교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소,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6/2, 고려대학교 스페인 라틴아메리카연구소, 49-68, 2013
282 배진영, 김민국, 손혜옥, "『(말뭉치 기반) 구어 문어 통합 문법 기술의 탐색』", 박이정, 박이정, 2013
283 洪宗善(Hong, Jong-seon), "口語와 文語를 아우르는 사용자 중심의 한국어 문법",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어문연구 42/1, 7-35, 2014
284 이병규, "초등 국어 문법 영역의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원리", 한국초등교육 48,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31-258, 2012
285 최정순, "“구어 문법 기반 한국어 듣기 교재의 지향성 논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30,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343-369, 2012
286 이광호, "“국어 융합형 '-잖다/-찮다'의 단어형성과 그 의미”",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신문화연구 25, 한국학중앙연구원, 199-216, 2002
287 이재현, "“부정 축약형‘-잖/찮-’의 형성과 기능에 대하여”",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한국의 민속과 문화 2,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65-190, 1999
288 지현숙, "“한국어 구어 문법 교육을 위한 과제 기반 교수법”",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47-270, 2007
289 백미현, "“한국어 부정사 ‘안’과 ‘못’연구, 언어연구 20/2", 한국현대언어학회, 63-83, 2004
290 주세형, "학교 문법 다시 쓰기 (3): 인용 표현의 횡적 구조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85, 한국국어교육학회, 269-289, 2010
291 채 완, "「국어의 격과 조사: 최근의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우리말글학회, 1-25, 우리말글 37, 2006
292 전혜영, "“구어 담화에 나타나는 'X는 X다' 표현의 화용 양상”", 국어학 64, 국어학회, 273-299, 2012
293 권재일, "“조사의 성격과 그 생략 현상에 대한 한 기술 방법”",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어학연구 25/1,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129-139, 1989
294 강범모, 허명희, 김흥규, "통계적 방법에 의한 한국어 텍스트 유형 및 문체 분석", 한국언어학회, 언어학 22, 한국언어학회. 3-57, 1998
295 김경주, "“구어적 텍스트의 문체적 특성과 쓰기 교육적 의의”",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 11, 국어교육학회, 73-105, 2000
296 안의정, "“국어사전에서의 구어 어휘 선정과 기술 방안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297 고석주, "「한국어 조사의 연구: ‘가’와 ‘를’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298 이삼형, 전은진, 이필영, 김태경, 김정선, 장경희,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 유행어, 은어 사용 실태", 한국언어문학 77, 한국언어문학회, 285-324, 2011
299 권재일, 김건희, "“구어 조사의 특성-문법 표준화를 위한 계량적 분석”", 한말연구 15, 한말연구학회, 1-22, 2004
300 박재희, 박정규, "“단형 부정문을 형성하는 '안'의 문법범주에 관하여”", 우리말학회, 우리말연구 31, 우리말학회, 111-142, 2012
301 김혜정, "“독서, 작문 교육에 대한 교육과정사적 성찰과 전망”", 국어교육연구 60, 국어교육학회, 1-38, 2016
302 전영옥, "“구어 어휘의 사전 기술 방법: 담화 표지를 중심으로”", 한국사전학 8, 한국사전학회, 101-143, 2006
303 변정민, "“언어 변화의 의미적 특성: '아니'와 '못'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한국언어문화학 3,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67-82, 2006
304 이광호, "“일치이론에 입각한 한국어 부정구문의 격표시 설명”", 현대문법학회, 현대문법연구 29, 현대문법학회, 67-79, 2002
305 채숙희, "“현대 한국어 인용 구문 연구: 구어 자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306 한송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법 교육 방법론」", 한국문법교육학회, 문법교육 10, 한국문법교육학회, 369-395, 2009
307 오재혁 ( Jea Hyuk Oh ), "구어 자료에 나타난 부사의 공기 관계 및 네트워크 양상",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48, 우리어문학회, 157-185, 2014
308 홍종선, "“구어와 문어를 아우르는 사용자 중심의 한국어 문법”", 어문연구 4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7-35, 2013
309 김종국, "“대학수학능력 시험 담화에서 구어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외국어교육연구 22,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133-153, 2008
310 강현화, "“최신 문법 교수 이론의 경향과 한국어교육에의 적용”", 한국문법교육학회, 문법교육 11, 한국문법교육학회, 1-27, 2009
311 이한규, "“한국어 담화 표지어 ‘아니’의 의미, 현대문법연구 67", 현대문법학회, 145-171, 2012
312 구종남, "“국어 부정의문문에 대한 응답 방식연구: 통계적 접근”", 국어국문학회, 국어문학 136, 국어국문학회, 193-229, 2004
313 김혜숙, "“대학생 구어 활동의 모습과 언어학적 분석 방법 시안”", 동국대학교 국어교육과, 동국어문학 14, 동국어문학회, 5-28, 2002
314 안주호, 임소영, "“대학생의 외래어 사용 양상: 구어 말뭉치를 중심으로”", 한글 263, 한글학회, 125-156, 2004
315 임유종, 이필영, "“부정 표현과 호응하는 부사의 사용 양상과 언어 발달”", 한국어의미학회, 한국어의미학 15, 한국어의미학회, 227-248, 2004
316 김혜림, 김의수,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구어 문장 비교 연구",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42, 우리어문학회, 31-62, 2012
317 배진영, 김민국, 손혜옥, "“구어, 문어 통합 문법기술의 방향과 자료 구축의 문제”", 인문논총 27,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41-200, 2011
318 권재일, "“구어 한국어에서 서술문 실현 방법의 공시태와 통시태”",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언어학 37, 한국언어학회, 25-46, 2003
319 이정희, "인식 조사를 통한 한국어 구어 유창성의 개념 및 요인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교육 2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3-204, 2010
320 박철우, "부정문의 중의성 문제 재고: 작용역과 정보구조의 상호작용", 국어학회, 국어학 68, 국어학회, 135-165, 2013
321 목정수, "한국어, 보편과 특수 사이: 언어유형론, 비교문법, 골격문법", 태학사, 2013
322 원철, "“문자성과 구어성의 통합과 공감각적 서사로서의 텍스트”",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연구 58,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37-358, 2010
323 김형정, "“한국어 입말 담화의 결속성 연구: 생략 현상을 중심으로”",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텍스트언어학 13,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41-265, 2002
324 지현숙, "한국어 인터뷰 시험 담화에서 나타난 구어 문법적 오류 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교육 17,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01-323, 2006
325 박형우, "“단형 부정문의 부정어 '안(아니)'의 접두사 설정에 대하여”",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9,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525-540, 2000
326 목정수, "“형태론과 통사론 사이에: 통사론적 단위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한국어학 37, 한국어학회, 127-147, 2007
327 김지혜, "“구어 담화에서의 한국어 학습자 요청 화행 실현 양상 연구”", 이중언어학 52, 이중언어학회, 45-69, 2013
328 김유미, "“한국어 교육에서 ‘-지 않다’ 표현 문형의 교육내용 연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언어사실과 관점 29,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93-119, 2012
329 안경화, "「구어체 텍스트의 응결 장치 연구: 토론 텍스트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교육 1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37-157, 2001
330 박석준, 윤지영,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담화 문법적 접근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언어와 문화 10/3,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95-117, 2014
331 김규현, "“구어 자료의 전사 관행: 담화 및 대화분석의 예를 중심으로”", 언어사실과 관점 23,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77-100, 2009
332 지은희, "“국어교육에서 '구어, 문어'와 '구어성, 문어성'의 구분 문제”", 한국언어문화학회, 한국언어문화 44, 한국언어문화학회, 427-449, 2011
333 목정수, "한국어 구어 문법의 정립: 구어와 문어의 통합 문법을 지향하며", 우리말학회, 우리말연구 28, 우리말학회, 57-98, 2011
334 송재목, "“16세기 언해자료에 나타난 부정법의 특성: '아니'를 중심으로”", 언어연구 2, 한국현대언어학회, 25-36, 1990
335 윤현애, "“구어 장르 구분을 기반한 한국어 피동 표현의 담화 기능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한국문법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1, 한국문법교육학회, 106-115, 2011
336 지현숙, "인터뷰 시험 담화 분석을 통한 한국어 구어 능력 평가의 구인 연구", 국어교육연구 16,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79-104, 2005
337 서경희, "The Korean Sentence-final Marker cianha in Conversational Discourse, 사회언어학 10/2", 한국사회언어학회, 2002
338 민현식, "“사범대 문법 교육과정의 구성과 문법 교육의 개선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17,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97-201, 2006
339 박소영, "“한국어 장형 부정문의 격 교체와 ‘하다’의 유형론, 한국어학 52", 한국어학회, 83-119, 2011
340 이금희, "“국어 장형부정문에 출현하는 ‘이/가’, ‘을/를’과 담화 의미”", 우리어문연구 52, 우리어문학회, 423-449, 2015
341 지현숙, 정선화, 이정란, 오지혜,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산출 담화에 나타난 기능 실현 양상”",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40,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59-383, 2014
342 박석준, "“한국어 구어 말뭉치의 형태 주석 방법과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언어와 문화 2,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5-37, 2006
343 함계임, "“한국어 부정어의 도상적 연구: ‘안-’,‘지 않다’를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9/3, 353-375, 2013
344 조국현, "텍스트언어학의 탈언어학화: 한국 텍스트언어학의 미래에 대한 단상",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텍스트언어학 19,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65-393, 2005
345 이창용, "“국어 부정문 연구: ‘-지 안-’, ‘-지 못하-’의 쓰임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1990
346 Fitzgerald, J., MacArthur, C., Graham, S., "Handbook of Writing Reserch. 박영민 외 역(2015). 작문 교육 연구의 주제와 방법", 박이정, 2006
347 김보영, "“구어 말뭉치와 한국어교재에서의 담화 표지 '좀'의 기능 비교 연구”", 언어사실과 관점 34,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81-102, 2014
348 이정민, "“두 가지 부정 및 부정극성과 다른 상위 언어적 부정의 부사어 고찰”", 한국언어학회, 언어 35, 한국언어학회, 817-836, 2010
349 김진수, 이숙의, "“문어 텍스트와 구어 텍스트의 담화 표지와 텍스트 구 조 비교 연구”", 어문연구학회, 어문연구 56, 어문연구학회, 61-88, 2008
350 한영균, "“어휘 기술을 위한 연어정보의 추출 및 활용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국어학회, 국어학 39, 국어학회, 137-171, 2002
351 주세형 ( Se Hyung Joo ), "통합적 문법 교육 내용 설계 -"의미를 구성하는 문법 지식"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이중언어학 27, 이중언어학회, 203-226, 2005
352 이은희, "“언어 지식 영역 교재 구안 방식에 관한 연구: 접속 관계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3, 국어교육학회, 107-138, 1993
353 손용주, "“글말과 입말의 언어학적 의미에 대하여: 그 대상과 운용을 중심으로”", 한국어문연구학회, 한국어문연구 7, 한국어문연구학회, 89-108, 1992
354 강현주,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의사소통 전략 연구: 구어 발화를 중심으로”",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69, 민족어문학회, 355-382, 2013
355 이수미, "“한국어 글말 텍스트에 나타난 입말의 양상 연구: 용인성의 관점에서”",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어학연구 48,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97-114, 2012
356 지현숙 ( Hyun Suk Jee ), ""교육 문법"에 있어서 한국어 구어 문법을 어떻게 기술할 것인가에 대하여", 한국어학회, 한국어학 45, 한국어학회, 113-139, 2009
357 박미영, "“부정 보문소 '-지'와 '-를', '-가'의 통합 양상: 통시적 변화를 중심으로”", 형태론, 학술지 12, 박이정, 241-254, 2010
358 배진영, "“구어와 문어 사용역에 따른 정도부사의 분포와 사용 양상에 대한 연구”", 국제어문학회, 국제어문 54, 국제어문학회, 95-140, 2012
359 강현화, "“부정표현의 맥락 문법 연구: '안 -지 않다'와 '-지 못해(요)'를 중심으로”", 문법 교육 20, 한국문법교육학회, 1-24, 2014
360 이광호, "“영어 존재구문의 부정극어 및 결속/통제 현상에 관한 최소주의적 연구”", 한국생성문법학회, 생성문법연구 17, 한국생성문법학회, 69-84, 2007
361 지현숙, "“한국어 구어 문법을 어떻게 기술할 것인가? -기준점의 선정과 그 논의.”", 한국어교육 21/4,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07-332, 2010
362 Olivier, B., "Corpus Oraux: Guide des bonnes pratiques, 손현정 외 역(2012). 구어 말뭉치 실용 안내서", 박이정, 2012
363 제갈덕주, "‘-도’의 문법범주에 관한 연구: ‘Vstem-도 못하다/않다/말다’를 중심으로", 한국언어과학회, 언어과학 21/3, 한국언어과학회, 163-191, 2014
364 신지연, "“구어에서의 지시어 용법에 대하여: ‘그러-, 이러-, 저러-’를 중심으로”", 어학연구 29/3,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363-381, 1999
365 박석준, 남길임, 서상규, "“대학생 구어 텍스트에서의 조사, 어미의 분포와 사용 양상에 대한 연구”", 텍스트언어학 15,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39-167, 2003
366 구종남, "“부정의 영역과 언어 내적 논리: 단형 부정문의 중의적 해석과 관련하여”", 국어국문학 106, 국어국문학회, 171-191, 1991
367 이관규 ( Kwan Kyu Lee ), "학교 문법 교육에 있어서 탐구 학습의 효율성과 한계점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 106, 한국어교육학회, 31-63, 2001
368 서종훈, "“글말과 입말 수행에 대한 사례 연구: '쉽'과 '문장'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41,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505-541, 2011
369 박영욱, "“매체에 대한 인식론적 고찰: 맥루언의 매체 분류와 칸트의 두 가지 판단”",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시대와 철학 14/1,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31-150, 2003
370 최호철, "“현대 국어 부정소 ‘몰(沒), 무(無), 미(未), 불(不), 비(非)’의 의미 분석”",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21세기국어학의 과제 간행위원회. 1033-1078, 2000
371 권재일, "한국어 의문문의 실현 방법과 그 언어유형론적 특성: 구어 자료를 대 상으로", 한글학회, 한글 257, 한글학회, 167-200, 2002
372 신동일, "“A study an negation and its scope in Korean: 한국어와 부정법과 부정 범위에 관하여”",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1979
373 박석문, "“한자어 부정 접두사의 결합 관계에 대하여: 沒, 無, 未, 不, 非를 대상으로”", 반교어문연구 10, 반교어문학회, 3-38, 1999
374 Brown, H. D.,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이흥수 외 역(2011). 외국어 학습 교수의 원리", 피어슨에듀케이션코리아, 2000
375 배진영, "“구어⦁문어 사용역에 따른 어휘 사용 양상 연구 – 접속 부사를 중심으로-”", 한국사전학 23, 한국사전학회, 95-129, 2014
376 이영헌, "“국어 부정법의 통어적 특성: 부정의 범위와 부정소의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외국문화연구 2, 조선대학교 외국문화연구소, 43-59, 1979
377 강현화, "“한국어교육에서의 담화기반 문법 연구: 부정 표현의 맥락 문법을 활용하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Foreign languages education 19, 한국외국어교육학회, 395-414, 2012
378 안의정, "“구어 어휘의 의미 연구 방법론 - 말뭉치 기반 사용역 변이 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어의미학회, 한국어의미학 43, 한국어의미학회, 107-132, 2014
379 McCarthy, M., "Spoken language and applied linguistics. 김지홍 역(2010). 입말, 그리고 담화 중심의 언어교육", 경진, 1998
380 옥종석, "“Developmental Aspects in the Acquisition of Korean Negation: A Study form One Korean Child, 세명논총 2", 세명대학교, 1992
381 정재찬, "“문학 교수학습의 성찰과 전망: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활동 중심의 문학 교육”", 국어교육학연구 47, 국어교육학회, 69-98, 2013
382 목정수, 유현조, "구어 한국어 접속문의 문장 패턴 연구: 접속 어미 의 통사적 제약 현상을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한국어학 35, 한국어학회, 275-303, 2007
383 양명희, "“구어 문법과 표현,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초급 학습자를 위한 구어 문법과 표현",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53-57, 2013
384 최정도, "「구어에서 나타나는 의존 명사 구성에 대한 연구: “이다” 결합형을 중심으로-」", 언어사실과 관점 17,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115-132, 2007
385 박재연, 이선웅, 이진호,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 2: 의미, 화용, 텍스트, 어휘, 규범, 15세기 한국어, 한국어사, 문자", 집문당, 2016
386 이소현, "“구어에 나타나는 한국어 연결어미 '-는데'의 의미 연구: 수사구조 이론을 바탕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교육 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73-297, 2011
387 진강려,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정 의문문 교육 연구: 모어 화자와의 비교를 통하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8,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31-60, 2011
388 신지영, "구어연구와 운율:소리를 담은 의미 통사론, 의미를 담은 음성학 음운론 연구를 위한 제언", 한국어의미학 44, 한국어의미학회, 119-139, 2014
389 김송희, "“한국어의 비전형적인 부정 구성 연구: 상위언어적 부정 및 부정 아닌 부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390 박종갑, "“국어 부정문의 중의성에 대하여(2): 중의적 의미 해석과 관련된 인식적 편향성을 중심으로”", 어문학 74, 한국어문학회, 1-20, 2001
391 신선경, "「언어사용적 측면에서의 문법 기술의 의의와 방향 : 학술 텍스트의 문어체 선호를 중심으로」",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텍스트언어학 33,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85-408, 2012
392 한송화 ( Song Hwa Han ), "구어 언어자료에 나타난 장형부정과 단형부정의 사용과 부정의 담화기능 -단순부정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어문논총 60, 한국문학언어학회, 115-142, 2014
393 Ong, W., "Orality and literacy: The technologizing of the word. London: Methuen. 이기우 임명진 역(1996).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1982
394 구본관, "“한국어 문법 교수 학습 방법의 현황과 개선 방향: 학습자와 교수자의 메타인식 강화를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30,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55-313, 2012
395 서종훈, "“글말과 입말과 사용에 드러난 언어 자각 양상 연구: 국어과 예비 교사들의 말하기와 쓰기를 중심으로”", 우리말교육현장연구 6, 우리말교육현장연구학회, 174-200, 2012
396 홍윤혜, "“학술적 문어담화와 구어담화의 장르 비교 분석 : 연구 논문과 연구 발표의 수사적 행위 요소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397 박은정, "“구어 말뭉치를 통해 살펴 본 '-겠-'의 실현 양상: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겠-'의 의미기능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2,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39-65,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