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지구적으로 기후변화 문제를 겪고 있으며, 이에 탄소중립 달성하기 위해 전략이 수립되고 있지만 물 분야 탄소중립 전략수립은 활발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빗물 및 하수재이용수를 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314991
2024
-
530
KCI등재
학술저널
1-8(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전 지구적으로 기후변화 문제를 겪고 있으며, 이에 탄소중립 달성하기 위해 전략이 수립되고 있지만 물 분야 탄소중립 전략수립은 활발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빗물 및 하수재이용수를 통...
전 지구적으로 기후변화 문제를 겪고 있으며, 이에 탄소중립 달성하기 위해 전략이 수립되고 있지만 물 분야 탄소중립 전략수립은 활발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빗물 및 하수재이용수를 통한 농업용수 실증 시험할 수 있도록 계획 중인 Test-Bed를 대상지로 선정하였으며, 투수성 포장 적용 및 빗물 저류조의 빗물 사용량을 고려하여 우수유출 저감 및 빗물 재이용 특성을 분석하였다. Test-Bed 내 우수유출 저감을 분석하기 위해 SWMM을 이용하였으며, 빗물 재이용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저류방정식을 이용하였다. Test-Bed 내 농업 작물 생육에 필요한 용수량을 고려하여 빗물 저류조 규모별 빗물 사용량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용수 생산 시 요구되는 전력 사용량을 통해 탄소 배출량을 산정하게 되며, 이를 통해 빗물 저류지 규모에 따라 빗물을 사용함으로써 절약되는 전력 사용량을 통해 탄소배출 저감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lobal community is facing challenges owing to climate change, and strategies are being developed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However, the formulation of carbon neutrality strategies in the water sector has not been active. In this study, a test...
The global community is facing challenges owing to climate change, and strategies are being developed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However, the formulation of carbon neutrality strategies in the water sector has not been active. In this study, a testbed plan for conducting practical trials of agricultural water supplies using rainwater and reclaimed wastewater was selected as the study site. The analysis considered the application of permeable pavement and rainwater storage tanks to assess stormwater runoff reduction and rainwater reuse characteristics. The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was utilized to analyze the stormwater runoff reduction within the test bed, and storage equations were applied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rainwater reuse. The amount of rainwater used for rainwater storage tanks of different sizes was analyzed, considering the water requirements for the growth of agricultural crops within the test bed. Carbon emissions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amount of electricity required for water produc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carbon emission reduction were analyzed by assessing the amount of electricity saved through the use of rainwater,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rainwater reservoir.
목차 (Table of Contents)
운전조건을 고려한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수치해석적 분석
머신러닝 기반 물 분배 시스템 성능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Fuzzy TOPSIS 기법을 적용한 산업재해 예방요소 평가항목 우선순위 결정
초고성능 콘크리트 잉여 실리카흄의 포졸란 반응 촉진을 위한 수산화칼슘 혼입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