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국 여대생의 이미지 선호도 분석을 토대로 한 메이크업디자인 창작 = The creation of makeup design based on the analysis of image preference in Chinese college wo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137572

      • 저자
      • 발행사항

        금산군 : 중부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중부대학교 대학원 , 뷰티디자인학과 , 2019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93 판사항(6)

      • DDC

        646.72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형태사항

        v, 88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박정신
        권말부록: 설문지
        참고문헌: p. 61-65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중부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의 여대생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이미지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중국의 여대생에 설문조사를 한 후, 분석결과 가장 높게 나타난 이미지의 메이크업 디자인을 창작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연구와 양적연구를 기반으로 한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이론적 연구에서는 메이크업과 표현요소의 상호관계에 따른 이미지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메이크업의 개념과 표현요소, 그리고 이미지메이크업을 나누어 고찰하였다. 즉, 메이크업이 현대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에 대한 개념과 메이크업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사용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살펴 본 다음, 이미지메이크업의 종류를 선행연구를 토대로 분류하여 그 특성을 고찰하였다.
      먼저 메이크업의 개념은 메이크업은 인간의 탄생과 함께 발생하여 자기보호와 장식적 의미가 부여되는 것으로 인간의 미적 본능과 끊임없는 욕망에서 일어나는 자기표현의 중요한 수단 중 하나이다. 현대에 이르러 주제에 따라 다양한 기법으로 재료 등에 구속받지 않고 인간의 신체에 새로움을 추구하여 인체를 디자인 하는데, 그 방법이 다양하여 눈, 코, 입의 형태뿐만 아니라 새로운 시점에서 내적 정신과 외적 감각으로 창조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1978년 개혁 개방 이후 물질생활의 풍요와 문화생활에 대한 수준도 점점 높아지고 여성들의 사회생활 참여도가 높아지면서 외모에 관한 관심도 높아졌고 메이크업도 점진적으로 다양하게 변화되어지고 있다.
      메이크업을 표현하는 요소에서 ‘점’은 기하학적 의미에서 크기는 없고, 위치만을 갖게 되는데, 디자인적 측면에서는 면적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그러하기에 메이크업에서는 크기에 따른 아주 미세한 변화에 의해서 의도되고 있는 다양성과 복잡성을 갖고 메이크업을 표현하는데 영향을 주며 포인트로 사용한다. 종종 컨셉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점’을 이용하여 스테이지 메이크업이나 아트메이크업에서 장식효과를 거두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를 갖으며 그 크기에 따라서 의미를 ‘점’과 ‘면’의 차이를 갖게도 하고, 아티스트가 어떠한 의도로 표현했느냐에 따라 ‘점’의 크기와 상관없이 의미 전달이 다르게 인식된다. ‘점’은 군집과 배열에 의해 율동감을 느끼거나 특정형태로 시각적 착시를 만들어 낸다. ‘선’의 요소는 기하학에서의 ‘선’의 개념 ‘점’의 이동에 의한 괘적이거나 두 ‘점’ 사이를 이어주는 것으로 굵기나 폭은 존재하지 않고 길이와 방형만을 갖는다고 정의하지만 디자인적 측면에서는 굵기나 폭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선’의 요소는 기하학적으로 길이만 있을 뿐 폭은 없는 것이나 디자인적으로는 폭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에 얼굴에 사용되는 ‘선’은 아름답게 보이기 위한 기교로서 미묘한 곡선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좌우대칭, 비례, 균형, 유기적 통일감을 고려한다. 따라서 메이크업에서의 ‘선’은 눈썹, 아이라인, 입술라인 등에 사용되고 있는데, ‘선’의 굵기나 두께에 따라 표현되는 이미지는 달라진다. ‘면’의 요소는 형태를 이루는 최초의 단계로 크기나 왜곡에 의해 입체적인 면의 표현도 가능하다. 메이크업에 있어서 ‘면’은 ‘선’과 색채로써 표현하며, 얼굴 이목구비(耳目口鼻)의 골격을 이용한 조형표현으로 골격의 곡선에 의해 부드러운 ‘면’을 갖춤으로써 미를 표현하곤 하는데, ‘면’의 군집과 밀집, 혹은 점의 군집으로 조형되는데, 얼굴에 있어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메이크업에서는 형과 색을 갖는 아이섀도나 블러셔, 립에서 볼 수 있다. 아이섀도나 블러셔의 가시적인 면은 다양한 컬러와 함께 입체감을 주며, 수정의 효과와 함께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하고, 립의 면은 색채의 힘으로 메이크업 구성으로서의 영향력을 갖는다. ‘색채’는 무한한 변화와 양형에 민감한 사람들은 가장 강력하고 아름다운 시각적 요소이다. 메이크업에서 중요한 ‘색채’ 효과는 ‘색’을 나타내는 ‘색채’ 언어와 이론들을 이해함으로써 나타나는 ‘색채’ 감각을 필요로 한다. 메이크업에서 표현된 차가운 ‘색’과 따뜻한 ‘색’은 우선적으로 지각되는 시각적 디자인의 요소이며, 개인의 기호, 심리상태를 표현하여 이미지를 나타내는 수단이 될 뿐 아니라 전달하고자 하는 메이크업의 이미지를 형상하는데 적절한 효과를 준다. ‘질감’의 요소는 시각적으로 어떤 물체가 가지고 있는 표면적인 성질로써, 말한다, 부드럽다, 거칠다 하는 등의 지적인 느낌을 말하는데, 이것은 빛의 흡수나 반사에서 직접적인 영항을 받는다. ‘질감’은 형태, ‘색채’와 더불어 디자인의 필수 요소로서, 물체의 조성 성질을 말하며, 이는 우리의 감각을 통해 형태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는 물체의 표면질(Surface quality)이라고 할 수 있다. 메이크업에서 표현되는 질감으로는 건조한 ‘질감’(Matte), 윤기 나는 ‘질감’(Glossy), 반짝이는 ‘질감’(Pearl & Glliter) 등이 있으며, 광택의 유무, 광태의 종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질감’은 뷰티산업에 따른 색조제품 색상의 혁신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다양해졌으며, 현대 여성들의 메이크업 디자인 표현에도 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양적 연구는 메이크업 디자인 창작의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조사하였으며, 조사대상자는 중국의 여대생으로 하였고, 메이크업 선호도와 이미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메이크업 인식의 각 차원을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여 메이크업의 인식에 따른 메이크업 선호도와 이미지 선호도의 각 변인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결과는 연령 18-19세가 가장 많았으며, 교육수준은 전문대(휴학생포함)가 가정 높게 조사되었고, 학년은 1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공은 예술계열의 응답가가 가장 많았으며, 월 평균 용돈으로는 1200위안 이상-1800위안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메이크업 선호도와 이미지 선호도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는 Matt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톤은 밝은 중간 톤이 가장 많았고, 횟수는 주 5회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미지 선호도는 내추럴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메이크업 인식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 네 가지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적극성’, ‘표현성’, ‘기호성’, ‘자주성’로 명명하였다.
      메이크업 인식에 따른 메이크업 선호도에 대한 분산분석 한 결과 질감의 차이는 ‘표현성’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톤의 차이는 ‘적극성’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횟수의 차이는 ‘적극성’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메이크업 인식에 따른 이미지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산분석한 결과, ‘기호성’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의 범위는 선행연구에 나타난 각 이미지의 빈도수로써 정하였는데, 모던, 로맨틱, 엘레강스, 내추럴이 각 6회로 가장 많았고, 매니시와 클래식 그리고 아방가르드가 각 5회로 다음 순이었으며, 에스닉이 4회, 액티브가 3회로 나타났고, 그 외의 이미지는 각 1회씩 언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분석대상 이미지를 5회 이상 언급된 이미지 중 메이크업 분야에 적절치 않다고 보는 아방가르드를 제외한 매니시, 모던, 로맨틱, 엘레강스, 내추럴을 대표 이미지로 선정하였고, 설문결과 가장 많은 선호도를 보인 로맨틱, 엘레강스, 내추럴을 메이크업 창작의 이미지로 정하였다.
      위와 같은 분석을 바탕으로 이미지별 메이크업을 창작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참고로 이미지를 선정하였고, 총 다섯 종류의 이미지메이크업을 작업지시서로 제시하였다. 그 중에서 세 종류의 이미지만을 실제 중국 여대생의 얼굴에 시술하였다. 작업지시서의 일러스트레이션은 Adobe Photoshop CS6과 Adobe Illustrator CS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선호도에 따른 메이크업 디자인을 창작한 결과,
      로맨틱한 이미지의 메이크업은 실키한 질감의 베이스에 브라운 컬러의 아이브로우와 핑크컬러 계열의 섀도우로 톤 인 톤 배색으로써 부드러운 눈매를 표현한 후, 핑크컬러의 크리미한 질감의 블러셔와 함께 핑크컬러의 크리미한 립으로써 로맨틱한 이미지의 사랑스러운 느낌을 강조해주었다.
      엘레강스한 이미지의 메이크업은 밝은 톤의 베이스를 하고, 자연스럽고 연한 색조의 부드러운 곡선형 아이브로우, 브라운의 색조로써 아이섀도우, 핑크색으로 블러셔를 터치한 후, 체리핑크색 립으로 하여금 성숙한 여성의 완숙함과 풍부한 느낌을 강조해주었다.
      내추럴한 이미지의 메이크업은 자연스러운 톤의 베이스에 눈썹 결을 살리는 아이브로우, 유사색의 아아섀도우를 한 후, 원래의 형태와 색조에 가장 가깝도록 립 표현을 하여 메이크업을 전혀 하지 않은 듯 한 모습으로 연출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따른 기대효과로는 중국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선호도가 가장 높은 이미지의 메이크업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데일리 메이크업을 디자인하는데 합리적인 도움을 줄 것이라는 판단이다. 그리고 실제 중국의 여대생을 모델로 창작을 시도한 것은 연출에 따른 효과를 중국 현대 여대생들의 실생활에 활용하는 하나의 방법론으로 작용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메이크업을 하는데 있어서 이미지를 적용하는데 대한 인식의 필요성과 메이크업을 하는데 있어서 선과 면의 표현요소 못지않게 질감의 요소도 필요하다는 필요성에 따라 향후에는 질감 중심의 메이크업에 대한 연구의 확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의 여대생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이미지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중국의 여대생에 설문조사를 한 후, 분석결과 가장 높게 나타난 이미지의 메이크업 디자인...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의 여대생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이미지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중국의 여대생에 설문조사를 한 후, 분석결과 가장 높게 나타난 이미지의 메이크업 디자인을 창작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연구와 양적연구를 기반으로 한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이론적 연구에서는 메이크업과 표현요소의 상호관계에 따른 이미지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메이크업의 개념과 표현요소, 그리고 이미지메이크업을 나누어 고찰하였다. 즉, 메이크업이 현대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에 대한 개념과 메이크업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사용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살펴 본 다음, 이미지메이크업의 종류를 선행연구를 토대로 분류하여 그 특성을 고찰하였다.
      먼저 메이크업의 개념은 메이크업은 인간의 탄생과 함께 발생하여 자기보호와 장식적 의미가 부여되는 것으로 인간의 미적 본능과 끊임없는 욕망에서 일어나는 자기표현의 중요한 수단 중 하나이다. 현대에 이르러 주제에 따라 다양한 기법으로 재료 등에 구속받지 않고 인간의 신체에 새로움을 추구하여 인체를 디자인 하는데, 그 방법이 다양하여 눈, 코, 입의 형태뿐만 아니라 새로운 시점에서 내적 정신과 외적 감각으로 창조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1978년 개혁 개방 이후 물질생활의 풍요와 문화생활에 대한 수준도 점점 높아지고 여성들의 사회생활 참여도가 높아지면서 외모에 관한 관심도 높아졌고 메이크업도 점진적으로 다양하게 변화되어지고 있다.
      메이크업을 표현하는 요소에서 ‘점’은 기하학적 의미에서 크기는 없고, 위치만을 갖게 되는데, 디자인적 측면에서는 면적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그러하기에 메이크업에서는 크기에 따른 아주 미세한 변화에 의해서 의도되고 있는 다양성과 복잡성을 갖고 메이크업을 표현하는데 영향을 주며 포인트로 사용한다. 종종 컨셉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점’을 이용하여 스테이지 메이크업이나 아트메이크업에서 장식효과를 거두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를 갖으며 그 크기에 따라서 의미를 ‘점’과 ‘면’의 차이를 갖게도 하고, 아티스트가 어떠한 의도로 표현했느냐에 따라 ‘점’의 크기와 상관없이 의미 전달이 다르게 인식된다. ‘점’은 군집과 배열에 의해 율동감을 느끼거나 특정형태로 시각적 착시를 만들어 낸다. ‘선’의 요소는 기하학에서의 ‘선’의 개념 ‘점’의 이동에 의한 괘적이거나 두 ‘점’ 사이를 이어주는 것으로 굵기나 폭은 존재하지 않고 길이와 방형만을 갖는다고 정의하지만 디자인적 측면에서는 굵기나 폭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선’의 요소는 기하학적으로 길이만 있을 뿐 폭은 없는 것이나 디자인적으로는 폭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에 얼굴에 사용되는 ‘선’은 아름답게 보이기 위한 기교로서 미묘한 곡선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좌우대칭, 비례, 균형, 유기적 통일감을 고려한다. 따라서 메이크업에서의 ‘선’은 눈썹, 아이라인, 입술라인 등에 사용되고 있는데, ‘선’의 굵기나 두께에 따라 표현되는 이미지는 달라진다. ‘면’의 요소는 형태를 이루는 최초의 단계로 크기나 왜곡에 의해 입체적인 면의 표현도 가능하다. 메이크업에 있어서 ‘면’은 ‘선’과 색채로써 표현하며, 얼굴 이목구비(耳目口鼻)의 골격을 이용한 조형표현으로 골격의 곡선에 의해 부드러운 ‘면’을 갖춤으로써 미를 표현하곤 하는데, ‘면’의 군집과 밀집, 혹은 점의 군집으로 조형되는데, 얼굴에 있어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메이크업에서는 형과 색을 갖는 아이섀도나 블러셔, 립에서 볼 수 있다. 아이섀도나 블러셔의 가시적인 면은 다양한 컬러와 함께 입체감을 주며, 수정의 효과와 함께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하고, 립의 면은 색채의 힘으로 메이크업 구성으로서의 영향력을 갖는다. ‘색채’는 무한한 변화와 양형에 민감한 사람들은 가장 강력하고 아름다운 시각적 요소이다. 메이크업에서 중요한 ‘색채’ 효과는 ‘색’을 나타내는 ‘색채’ 언어와 이론들을 이해함으로써 나타나는 ‘색채’ 감각을 필요로 한다. 메이크업에서 표현된 차가운 ‘색’과 따뜻한 ‘색’은 우선적으로 지각되는 시각적 디자인의 요소이며, 개인의 기호, 심리상태를 표현하여 이미지를 나타내는 수단이 될 뿐 아니라 전달하고자 하는 메이크업의 이미지를 형상하는데 적절한 효과를 준다. ‘질감’의 요소는 시각적으로 어떤 물체가 가지고 있는 표면적인 성질로써, 말한다, 부드럽다, 거칠다 하는 등의 지적인 느낌을 말하는데, 이것은 빛의 흡수나 반사에서 직접적인 영항을 받는다. ‘질감’은 형태, ‘색채’와 더불어 디자인의 필수 요소로서, 물체의 조성 성질을 말하며, 이는 우리의 감각을 통해 형태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는 물체의 표면질(Surface quality)이라고 할 수 있다. 메이크업에서 표현되는 질감으로는 건조한 ‘질감’(Matte), 윤기 나는 ‘질감’(Glossy), 반짝이는 ‘질감’(Pearl & Glliter) 등이 있으며, 광택의 유무, 광태의 종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질감’은 뷰티산업에 따른 색조제품 색상의 혁신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다양해졌으며, 현대 여성들의 메이크업 디자인 표현에도 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양적 연구는 메이크업 디자인 창작의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조사하였으며, 조사대상자는 중국의 여대생으로 하였고, 메이크업 선호도와 이미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메이크업 인식의 각 차원을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여 메이크업의 인식에 따른 메이크업 선호도와 이미지 선호도의 각 변인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결과는 연령 18-19세가 가장 많았으며, 교육수준은 전문대(휴학생포함)가 가정 높게 조사되었고, 학년은 1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공은 예술계열의 응답가가 가장 많았으며, 월 평균 용돈으로는 1200위안 이상-1800위안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메이크업 선호도와 이미지 선호도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는 Matt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톤은 밝은 중간 톤이 가장 많았고, 횟수는 주 5회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미지 선호도는 내추럴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메이크업 인식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 네 가지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적극성’, ‘표현성’, ‘기호성’, ‘자주성’로 명명하였다.
      메이크업 인식에 따른 메이크업 선호도에 대한 분산분석 한 결과 질감의 차이는 ‘표현성’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톤의 차이는 ‘적극성’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횟수의 차이는 ‘적극성’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메이크업 인식에 따른 이미지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산분석한 결과, ‘기호성’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의 범위는 선행연구에 나타난 각 이미지의 빈도수로써 정하였는데, 모던, 로맨틱, 엘레강스, 내추럴이 각 6회로 가장 많았고, 매니시와 클래식 그리고 아방가르드가 각 5회로 다음 순이었으며, 에스닉이 4회, 액티브가 3회로 나타났고, 그 외의 이미지는 각 1회씩 언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분석대상 이미지를 5회 이상 언급된 이미지 중 메이크업 분야에 적절치 않다고 보는 아방가르드를 제외한 매니시, 모던, 로맨틱, 엘레강스, 내추럴을 대표 이미지로 선정하였고, 설문결과 가장 많은 선호도를 보인 로맨틱, 엘레강스, 내추럴을 메이크업 창작의 이미지로 정하였다.
      위와 같은 분석을 바탕으로 이미지별 메이크업을 창작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참고로 이미지를 선정하였고, 총 다섯 종류의 이미지메이크업을 작업지시서로 제시하였다. 그 중에서 세 종류의 이미지만을 실제 중국 여대생의 얼굴에 시술하였다. 작업지시서의 일러스트레이션은 Adobe Photoshop CS6과 Adobe Illustrator CS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선호도에 따른 메이크업 디자인을 창작한 결과,
      로맨틱한 이미지의 메이크업은 실키한 질감의 베이스에 브라운 컬러의 아이브로우와 핑크컬러 계열의 섀도우로 톤 인 톤 배색으로써 부드러운 눈매를 표현한 후, 핑크컬러의 크리미한 질감의 블러셔와 함께 핑크컬러의 크리미한 립으로써 로맨틱한 이미지의 사랑스러운 느낌을 강조해주었다.
      엘레강스한 이미지의 메이크업은 밝은 톤의 베이스를 하고, 자연스럽고 연한 색조의 부드러운 곡선형 아이브로우, 브라운의 색조로써 아이섀도우, 핑크색으로 블러셔를 터치한 후, 체리핑크색 립으로 하여금 성숙한 여성의 완숙함과 풍부한 느낌을 강조해주었다.
      내추럴한 이미지의 메이크업은 자연스러운 톤의 베이스에 눈썹 결을 살리는 아이브로우, 유사색의 아아섀도우를 한 후, 원래의 형태와 색조에 가장 가깝도록 립 표현을 하여 메이크업을 전혀 하지 않은 듯 한 모습으로 연출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따른 기대효과로는 중국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선호도가 가장 높은 이미지의 메이크업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데일리 메이크업을 디자인하는데 합리적인 도움을 줄 것이라는 판단이다. 그리고 실제 중국의 여대생을 모델로 창작을 시도한 것은 연출에 따른 효과를 중국 현대 여대생들의 실생활에 활용하는 하나의 방법론으로 작용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메이크업을 하는데 있어서 이미지를 적용하는데 대한 인식의 필요성과 메이크업을 하는데 있어서 선과 면의 표현요소 못지않게 질감의 요소도 필요하다는 필요성에 따라 향후에는 질감 중심의 메이크업에 대한 연구의 확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sent college women’s preference for makeup image and create the makeup design of the highest imag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with Chinese college women.
      The methodology included theoretical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based on quantitative research. The theoretical research reviewed the concept of makeup, expression elements, and image makeup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an image associated with interrelationship between makeup and expression elements. In other words, it was reviewed that what makeup meant at the present day and what elements were used to express makeup. Then, the kinds of image makeup were classifi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For the concept of makeup, makeup occurred with the birth of human beings and self-protection and decorative meaning was given. It is one of important means of self-expression which develops from human being’s aesthetic instinct and continuous desire. In the present day, it is defined to be created as internal mind and external sense from a Dot of view as well as the shape of eyes, nose, and mouth in various ways and technique to pursue newness to and design the human body according to theme without limitation of materials. In particular, since the reformation and opening in 1978, China has enjoyed abundant material life and reached a higher level of cultural life. With women’s higher participation in society, their concern for appearances has become higher and makeup has been gradually changed.
      In the elements of expressing makeup, a ‘Dot’ has not size but location in the geometric sense and has area in the design aspect. In this regard, a ‘Dot’ influences the expression of makeup with diversity and complexity intended by very minute changes according to size in makeup and is used for Dot makeup.
      It is often to have decorative effects in stage or art makeup by using various forms of ‘Dots’ according to concepts. Also, a Dot has various forms and its size makes some difference between ‘Dot’ and ‘Shape’. Expression by artist’s intention can deliver different meaning irrespective of the size of a ‘Dot’. A ‘Dot’ makes rhythm or a special form of visual illusion by cluster and arrangement. A ‘Line’ element is a trace by the movement of ‘Dots’ which are the concept of a ‘Line’ in geometry or connects two ‘Dots’. It is defined as having length and square without thickness or width but regarded having thickness or width in a design sense. In other words, a ‘Line’ has length and has no width in a geometric sense but is regarded having width in a design sense. In this sense, a ‘Line’ used in a face is art of making beauty and a subtle curve is mostly used. Bilateral symmetry, proportion, balance, and organic unity are considered. Thus, a ‘Line’ in makeup is used for eyebrows, eye Line, and lip Line. Expressed images vary with the thickness of a ‘Line’. A ‘Shape’ element is the first step of a form and it is possible to express a solid Shape by size or distortion. A ‘Shape’ in makeup is expressed by ‘Lines’ and color. It often expresses beauty by having soft ‘Shapes’ by the curve of a skeleton in formative expression using the skeleton of features. A shape is made by a cluster and density of ‘Shapes’ or a cluster of Dots. A ‘Shape’ occupies the most part in a face and is seen in eye shadow, blusher, and lipstick which have a shape and color in makeup. A visible Shape of eye shadow or blusher gives plasticity with various colors and creates various images with the effect of modification. A Shape of lips has an effect as the composition of makeup by the power of color. ‘Color’ is a powerful and beautiful visual element in people sensitive to infinite changes and aspects. The ‘color’ effect important in makeup needs a sense of ‘color’ which can obtain by understanding ‘color’ language and theories which indicate ‘color’. Cold ‘color’ and warm ‘color’ expressed in makeup are the element of visual design perceived first and means to express personal tastes and psychology and show an image and give a proper effect on the shape of a makeup image to be delivered. A ‘texture’ element is the nature of a surface an object visually has and refers to the intellectual feeling of being soft or tough. It has a direct effect by the absorption or reflection of light. ‘Texture’ is an essential element of design with form and ‘color’ and refers to the nature of making up an object. It can be the surface quality of an object which provides the knowledge of a form through our sense. ‘Texture’ expressed in makeup includes mat, glossy, and pearl and glitter and can be classified by the existence and kinds of gloss. ‘Texture’ has become various with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color of color products in the beauty industry and influenced the expression of makeup design in women.
      The quantitative research was done to suggest the theoretical basis of makeup design creation.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Chinese college women.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preference for makeup and image.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makeup perception. Then, variable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 for makeup and imag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makeup perception.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ge of 18-19 was the most common age, junior college graduates(including staying out of school temporarily) were the most common education, and freshmen were the common respondent. Art was the most common major and 1,200-1,800 yuan was the most common monthly spending money.
      The frequency analysis results of the preference for makeup and image were as follows. Mat was the most preferred texture, light mid tone was the most preferred tone, and more than five a week was the highest frequency. Natural was the most preferred image.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f makeup perception, four factors were extracted and named ‘positivity’, ‘expression’, ‘preference’, and ‘independence’.
      The results of ANOVA of the preference for makeup according to makeup perception were as follows. ‘Expression’ was the highest texture difference, ‘positivity’ was the highest tone difference, and ‘positivity’ was the highest frequency difference.
      For the ANOVA of the difference of preference for image according to makeup perception, ‘preference’ was the highest.
      The scope of the study was decided by the frequency of images found in previous researches. Modern, romantic, elegant, and natural were the most common(6 times), followed by mannish, classical, avant-garde(5 times), ethnic(4 times), active(3 times), and others(once). Thus, this researcher selected mannish, modern, romantic, elegant, and natural as representative analysis images after excluding avant-garde which was not appropriate for the makeup field. Then, romantic, elegant, and natural images which were shown as the most preferred image in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decided as a creative image.
      Based on the foregoing analysis, images were select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to create makeup by an image and five kinds of image makeup were suggested by a work sheet. Then, three kinds of images were performed in Chinese college women’s faces in practice. The illustration of the work sheet was made using Adobe Photoshop CS6 and Adobe Illustrator CS programs.
      The results of makeup design according to preference were created as follows.
      For romantic image makeup, soft eyes were expressed by tone-in-tone colors of brown eyebrow and pink shadow on the silky base and romantic and lovely feelings were emphasized by creamy pink blusher and creamy pink lipstick.
      For elegant image makeup, mature woman’s full maturity and rich feelings were emphasized by a light-tone base, curved eyebrow of natural and light color, brown eye shadow, pink blusher, and cheery pink lipstick
      For natural image makeup, looks which seemed no makeup were created by a natural-tone base, eyebrow which gives life to the texture of eyebrows, eye shadow using analogous colors, and lip expression similar to the original shape and color.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render rational help in the design of daily makeup as it suggested the most preferred makeup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with Chinese college women. Moreover, an attempt at creation to Chinese college women can be act as a one method to use a creation effect for Chinese college women’s real life.
      Finally, further makeup research should focus on texture according to the need of perception of applying an image in makeup and the need of texture as well as Line and Shap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sent college women’s preference for makeup image and create the makeup design of the highest imag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with Chinese college women. The m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sent college women’s preference for makeup image and create the makeup design of the highest imag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with Chinese college women.
      The methodology included theoretical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based on quantitative research. The theoretical research reviewed the concept of makeup, expression elements, and image makeup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an image associated with interrelationship between makeup and expression elements. In other words, it was reviewed that what makeup meant at the present day and what elements were used to express makeup. Then, the kinds of image makeup were classifi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For the concept of makeup, makeup occurred with the birth of human beings and self-protection and decorative meaning was given. It is one of important means of self-expression which develops from human being’s aesthetic instinct and continuous desire. In the present day, it is defined to be created as internal mind and external sense from a Dot of view as well as the shape of eyes, nose, and mouth in various ways and technique to pursue newness to and design the human body according to theme without limitation of materials. In particular, since the reformation and opening in 1978, China has enjoyed abundant material life and reached a higher level of cultural life. With women’s higher participation in society, their concern for appearances has become higher and makeup has been gradually changed.
      In the elements of expressing makeup, a ‘Dot’ has not size but location in the geometric sense and has area in the design aspect. In this regard, a ‘Dot’ influences the expression of makeup with diversity and complexity intended by very minute changes according to size in makeup and is used for Dot makeup.
      It is often to have decorative effects in stage or art makeup by using various forms of ‘Dots’ according to concepts. Also, a Dot has various forms and its size makes some difference between ‘Dot’ and ‘Shape’. Expression by artist’s intention can deliver different meaning irrespective of the size of a ‘Dot’. A ‘Dot’ makes rhythm or a special form of visual illusion by cluster and arrangement. A ‘Line’ element is a trace by the movement of ‘Dots’ which are the concept of a ‘Line’ in geometry or connects two ‘Dots’. It is defined as having length and square without thickness or width but regarded having thickness or width in a design sense. In other words, a ‘Line’ has length and has no width in a geometric sense but is regarded having width in a design sense. In this sense, a ‘Line’ used in a face is art of making beauty and a subtle curve is mostly used. Bilateral symmetry, proportion, balance, and organic unity are considered. Thus, a ‘Line’ in makeup is used for eyebrows, eye Line, and lip Line. Expressed images vary with the thickness of a ‘Line’. A ‘Shape’ element is the first step of a form and it is possible to express a solid Shape by size or distortion. A ‘Shape’ in makeup is expressed by ‘Lines’ and color. It often expresses beauty by having soft ‘Shapes’ by the curve of a skeleton in formative expression using the skeleton of features. A shape is made by a cluster and density of ‘Shapes’ or a cluster of Dots. A ‘Shape’ occupies the most part in a face and is seen in eye shadow, blusher, and lipstick which have a shape and color in makeup. A visible Shape of eye shadow or blusher gives plasticity with various colors and creates various images with the effect of modification. A Shape of lips has an effect as the composition of makeup by the power of color. ‘Color’ is a powerful and beautiful visual element in people sensitive to infinite changes and aspects. The ‘color’ effect important in makeup needs a sense of ‘color’ which can obtain by understanding ‘color’ language and theories which indicate ‘color’. Cold ‘color’ and warm ‘color’ expressed in makeup are the element of visual design perceived first and means to express personal tastes and psychology and show an image and give a proper effect on the shape of a makeup image to be delivered. A ‘texture’ element is the nature of a surface an object visually has and refers to the intellectual feeling of being soft or tough. It has a direct effect by the absorption or reflection of light. ‘Texture’ is an essential element of design with form and ‘color’ and refers to the nature of making up an object. It can be the surface quality of an object which provides the knowledge of a form through our sense. ‘Texture’ expressed in makeup includes mat, glossy, and pearl and glitter and can be classified by the existence and kinds of gloss. ‘Texture’ has become various with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color of color products in the beauty industry and influenced the expression of makeup design in women.
      The quantitative research was done to suggest the theoretical basis of makeup design creation.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Chinese college women.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preference for makeup and image.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makeup perception. Then, variable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 for makeup and imag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makeup perception.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ge of 18-19 was the most common age, junior college graduates(including staying out of school temporarily) were the most common education, and freshmen were the common respondent. Art was the most common major and 1,200-1,800 yuan was the most common monthly spending money.
      The frequency analysis results of the preference for makeup and image were as follows. Mat was the most preferred texture, light mid tone was the most preferred tone, and more than five a week was the highest frequency. Natural was the most preferred image.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f makeup perception, four factors were extracted and named ‘positivity’, ‘expression’, ‘preference’, and ‘independence’.
      The results of ANOVA of the preference for makeup according to makeup perception were as follows. ‘Expression’ was the highest texture difference, ‘positivity’ was the highest tone difference, and ‘positivity’ was the highest frequency difference.
      For the ANOVA of the difference of preference for image according to makeup perception, ‘preference’ was the highest.
      The scope of the study was decided by the frequency of images found in previous researches. Modern, romantic, elegant, and natural were the most common(6 times), followed by mannish, classical, avant-garde(5 times), ethnic(4 times), active(3 times), and others(once). Thus, this researcher selected mannish, modern, romantic, elegant, and natural as representative analysis images after excluding avant-garde which was not appropriate for the makeup field. Then, romantic, elegant, and natural images which were shown as the most preferred image in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decided as a creative image.
      Based on the foregoing analysis, images were select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to create makeup by an image and five kinds of image makeup were suggested by a work sheet. Then, three kinds of images were performed in Chinese college women’s faces in practice. The illustration of the work sheet was made using Adobe Photoshop CS6 and Adobe Illustrator CS programs.
      The results of makeup design according to preference were created as follows.
      For romantic image makeup, soft eyes were expressed by tone-in-tone colors of brown eyebrow and pink shadow on the silky base and romantic and lovely feelings were emphasized by creamy pink blusher and creamy pink lipstick.
      For elegant image makeup, mature woman’s full maturity and rich feelings were emphasized by a light-tone base, curved eyebrow of natural and light color, brown eye shadow, pink blusher, and cheery pink lipstick
      For natural image makeup, looks which seemed no makeup were created by a natural-tone base, eyebrow which gives life to the texture of eyebrows, eye shadow using analogous colors, and lip expression similar to the original shape and color.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render rational help in the design of daily makeup as it suggested the most preferred makeup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with Chinese college women. Moreover, an attempt at creation to Chinese college women can be act as a one method to use a creation effect for Chinese college women’s real life.
      Finally, further makeup research should focus on texture according to the need of perception of applying an image in makeup and the need of texture as well as Line and Shape.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研究的目的在于对现代女大学生偏好的化妆形象进行考察,并以此为基础,对中国女大学生进行问卷调查,然后根据分析结果中出现最多的化妆形象进行创意设计。

      研究方法包括理论研究和以定量研究为基础的实证研究。为便于理解化妆与表现要素之间的相互关系,在理论研究中,分别对化妆、表现要素和形象化妆的概念进行了考察。即,考察了现代化妆的意义和化妆表现中常用的要素。然后,基于先前的研究对各种形象化妆进行了分类,并考察了它们的特征。

      对于化妆的概念,化妆是在人类诞生之初,人类的自我保护与装饰意义相结合而发生的。它是由人的审美本能和持续欲望发展而来的自我表达的重要手段之一。在今天,化妆并不仅限于口、眼、鼻的形态改变,而是在新的起点开始从内在的心理和外在的感受进行创造,追求新的自我,而不受材料的限制。特别地,自1978年中国改革开放以来,物质生活与文化生活水平逐渐提高,女性更多地参与到社会活动中,对于外貌的关心度也越来越高,从而对于化妆的态度也在逐渐改变。

      在表达化妆的元素中,“点” 没有大小,而是几何意义上的位置,并且在设计方面具有区域。在这方面,“点” 影响化妆的表达,具有多样性和复杂性,其意图是根据化妆的大小进行非常微小的变化,并用于“点”化妆。

      在舞台或艺术化妆中,经常根据概念使用各种形式的 “点” 来产生装饰效果。此外,“点” 有各种形式,它的大小在“点”和“形状”之间有所不同。无论 “点” 的大小如何,艺术家的意图表达都可以带来不同的意义。“点” 通过聚类和排列来制作节奏或特殊形式的视觉错觉。“线” 元素是 “点” 运动的轨迹,它是几何中 “线” 的概念或连接两个 “点”。它被定义为具有没有厚度或宽度的长度和正方形,但在设计意义上被认为具有厚度或宽度。换句话说,“线” 具有长度并且在几何意义上没有宽度,但在设计意义上被认为具有宽度。从这个意义上说,脸上使用的 “线条” 是美的艺术,主要使用微妙的曲线。考虑双边对称性,比例,平衡和有机统一。因此,化妆中的 “线条” 用于眉毛,眼线和唇线。表达的图像随“线”的厚度而变化。“形状” 元素是表单的第一步,可以通过大小或失真来表示实体形状。

      化妆中的 “形状” 由 “线条” 和 “颜色” 表示。它通常通过使用特征骨架在形成表达中通过骨架的曲线具有柔和的 “形状” 来表达美。形状由 “形状” 或 “点” 簇的簇和密度构成。“形状” 占据脸部的大部分,在眼影、腮红和唇膏中看到,它们具有化妆的形状和颜色。通常根据概念使用各种形式的 “点” 来在舞台或艺术化妆中具有装饰效果。可见的眼影或腮红形状赋予各种颜色可塑性,并创造出具有修饰效果的各种图像。嘴唇的形状通过颜色的力量具有作为化妆的组成的效果。对于对无限变化和方面敏感的人来说,“色彩” 是一种强大而美丽的视觉元素。化妆中重要的 “色彩”效果需要通过理解 “颜色” 语言和指示 “颜色” 的理论来获得 “颜色” 感。化妆中表现出的冷色彩和温暖的 “色彩” 是首先感知的视觉设计的元素,是表达个人品味和心理的一种方式,展示图像并对要交付的化妆图像的形状产生适当的效果。“纹理”元素是物体在视觉上具有的表面的性质,并且指的是柔软或坚韧的智力感。它通过光的吸收或反射具有直接影响。“纹理” 是具有形式和 “颜色” 的设计的基本要素,指的是构成对象的本质。它可以是物体的表面质量,通过我们的感觉提供形式的知识。化妆中表达的 “质地” 包括哑光,光泽,珍珠和闪光,可根据光泽的存在和种类进行分类。随着美容行业色彩产品色彩的创新发展,“质感” 变得多种多样,影响了女性化妆设计的表现。

      为进行以设计创作的逻辑性为基础的定量研究,本文以中国女大学生为调查对象,对化妆偏好和形象偏好进行频度分析,同时对化妆的认识进行立场与信赖度的调查,然后,根据化妆感知分析化妆和图像偏好的可变差异。

      对于调查对象的一般特征,18-19岁是最常见的年龄,大专毕业生(包括暂时离校)是最常见的教育,新生是最常见的受访者。艺术是最常见的专业,1200-1800元是最常见的月度花费。

      通过对化妆和图像的偏好的频率进行分析,垫子是最优选的质地,轻中间色调是最优选的色调,每周超过五个是最高频率。自然是最受欢迎的形象。

      作为化妆感知因素分析的结果,提取了四个因子,并分别命名为 “积极性”、“表达”、“偏好” 和 “独立性”。

      根据化妆感知的化妆偏好的ANOVA结果可知,“表达” 是最高的纹理差异,“积极性” 是最高的音调差异,“积极性”是最高的频率差异。

      对于根据化妆感知的图像偏好差异的ANOVA,“偏好”是最高的。

      研究的范围取决于先前研究中发现的图像频率。现代、浪漫、优雅和自然是最常见的(6次),其次是男性、古典、前卫(5次)、种族(4次)、活跃(3次)和其他(1次)。 因此,该研究人员在排除了不适合化妆领域的前卫艺术后,选择了男性、现代、浪漫、优雅和自然的代表性分析图像。然后,在问卷调查中显示为最受欢迎的图像的浪漫、优雅和自然图像被确定为创意图像。

      基于以上分析,以先前的研究为参考,选择图像以通过图像创建化妆,并且通过工作表提出五种图像化妆。然后,在实践中,对中国大学女性的面孔进行了三种图像处理。工作表的图示是使用Adobe Photoshop CS6和Adobe Illustrator CS程序完成的。

      根据喜好进行化妆设计的结果如下:对于浪漫风的化妆,打造丝滑质感的面部,使用褐色的眉笔和粉色系的眼影等配色表现出温柔的眼妆后,使用奶油质地的粉色腮红和和粉色唇彩营造出可爱的浪漫风化妆。对于优雅风的化妆,使用明亮的颜色打造面部后,使用自然颜色打造温柔的曲线形眉妆,画出褐色的眼影与粉色系的腮红后,使用樱桃色口红打造成熟感女性形象。对于自然的图像化妆,看起来没有化妆的外观是由自然色调的基础,眉毛赋予眉毛纹理生命,使用类似颜色的眼影,以及类似于原始形状和颜色的唇部表情。

      该项研究有望在日常化妆设计中提供合理帮助,因为它通过与中国大学女性进行问卷调查,提出了最优选的化妆品。此外,对中国大学女性的创作尝试可以作为一种利用创作效应对中国大学女性现实生活的一种方法。

      最后,关于化妆的进一步研究应该通过在化妆中应用图像的感知需求、纹理以及线条和形状的需要来关注纹理。
      번역하기

      本研究的目的在于对现代女大学生偏好的化妆形象进行考察,并以此为基础,对中国女大学生进行问卷调查,然后根据分析结果中出现最多的化妆形象进行创意设计。 研究方法包括理论研...

      本研究的目的在于对现代女大学生偏好的化妆形象进行考察,并以此为基础,对中国女大学生进行问卷调查,然后根据分析结果中出现最多的化妆形象进行创意设计。

      研究方法包括理论研究和以定量研究为基础的实证研究。为便于理解化妆与表现要素之间的相互关系,在理论研究中,分别对化妆、表现要素和形象化妆的概念进行了考察。即,考察了现代化妆的意义和化妆表现中常用的要素。然后,基于先前的研究对各种形象化妆进行了分类,并考察了它们的特征。

      对于化妆的概念,化妆是在人类诞生之初,人类的自我保护与装饰意义相结合而发生的。它是由人的审美本能和持续欲望发展而来的自我表达的重要手段之一。在今天,化妆并不仅限于口、眼、鼻的形态改变,而是在新的起点开始从内在的心理和外在的感受进行创造,追求新的自我,而不受材料的限制。特别地,自1978年中国改革开放以来,物质生活与文化生活水平逐渐提高,女性更多地参与到社会活动中,对于外貌的关心度也越来越高,从而对于化妆的态度也在逐渐改变。

      在表达化妆的元素中,“点” 没有大小,而是几何意义上的位置,并且在设计方面具有区域。在这方面,“点” 影响化妆的表达,具有多样性和复杂性,其意图是根据化妆的大小进行非常微小的变化,并用于“点”化妆。

      在舞台或艺术化妆中,经常根据概念使用各种形式的 “点” 来产生装饰效果。此外,“点” 有各种形式,它的大小在“点”和“形状”之间有所不同。无论 “点” 的大小如何,艺术家的意图表达都可以带来不同的意义。“点” 通过聚类和排列来制作节奏或特殊形式的视觉错觉。“线” 元素是 “点” 运动的轨迹,它是几何中 “线” 的概念或连接两个 “点”。它被定义为具有没有厚度或宽度的长度和正方形,但在设计意义上被认为具有厚度或宽度。换句话说,“线” 具有长度并且在几何意义上没有宽度,但在设计意义上被认为具有宽度。从这个意义上说,脸上使用的 “线条” 是美的艺术,主要使用微妙的曲线。考虑双边对称性,比例,平衡和有机统一。因此,化妆中的 “线条” 用于眉毛,眼线和唇线。表达的图像随“线”的厚度而变化。“形状” 元素是表单的第一步,可以通过大小或失真来表示实体形状。

      化妆中的 “形状” 由 “线条” 和 “颜色” 表示。它通常通过使用特征骨架在形成表达中通过骨架的曲线具有柔和的 “形状” 来表达美。形状由 “形状” 或 “点” 簇的簇和密度构成。“形状” 占据脸部的大部分,在眼影、腮红和唇膏中看到,它们具有化妆的形状和颜色。通常根据概念使用各种形式的 “点” 来在舞台或艺术化妆中具有装饰效果。可见的眼影或腮红形状赋予各种颜色可塑性,并创造出具有修饰效果的各种图像。嘴唇的形状通过颜色的力量具有作为化妆的组成的效果。对于对无限变化和方面敏感的人来说,“色彩” 是一种强大而美丽的视觉元素。化妆中重要的 “色彩”效果需要通过理解 “颜色” 语言和指示 “颜色” 的理论来获得 “颜色” 感。化妆中表现出的冷色彩和温暖的 “色彩” 是首先感知的视觉设计的元素,是表达个人品味和心理的一种方式,展示图像并对要交付的化妆图像的形状产生适当的效果。“纹理”元素是物体在视觉上具有的表面的性质,并且指的是柔软或坚韧的智力感。它通过光的吸收或反射具有直接影响。“纹理” 是具有形式和 “颜色” 的设计的基本要素,指的是构成对象的本质。它可以是物体的表面质量,通过我们的感觉提供形式的知识。化妆中表达的 “质地” 包括哑光,光泽,珍珠和闪光,可根据光泽的存在和种类进行分类。随着美容行业色彩产品色彩的创新发展,“质感” 变得多种多样,影响了女性化妆设计的表现。

      为进行以设计创作的逻辑性为基础的定量研究,本文以中国女大学生为调查对象,对化妆偏好和形象偏好进行频度分析,同时对化妆的认识进行立场与信赖度的调查,然后,根据化妆感知分析化妆和图像偏好的可变差异。

      对于调查对象的一般特征,18-19岁是最常见的年龄,大专毕业生(包括暂时离校)是最常见的教育,新生是最常见的受访者。艺术是最常见的专业,1200-1800元是最常见的月度花费。

      通过对化妆和图像的偏好的频率进行分析,垫子是最优选的质地,轻中间色调是最优选的色调,每周超过五个是最高频率。自然是最受欢迎的形象。

      作为化妆感知因素分析的结果,提取了四个因子,并分别命名为 “积极性”、“表达”、“偏好” 和 “独立性”。

      根据化妆感知的化妆偏好的ANOVA结果可知,“表达” 是最高的纹理差异,“积极性” 是最高的音调差异,“积极性”是最高的频率差异。

      对于根据化妆感知的图像偏好差异的ANOVA,“偏好”是最高的。

      研究的范围取决于先前研究中发现的图像频率。现代、浪漫、优雅和自然是最常见的(6次),其次是男性、古典、前卫(5次)、种族(4次)、活跃(3次)和其他(1次)。 因此,该研究人员在排除了不适合化妆领域的前卫艺术后,选择了男性、现代、浪漫、优雅和自然的代表性分析图像。然后,在问卷调查中显示为最受欢迎的图像的浪漫、优雅和自然图像被确定为创意图像。

      基于以上分析,以先前的研究为参考,选择图像以通过图像创建化妆,并且通过工作表提出五种图像化妆。然后,在实践中,对中国大学女性的面孔进行了三种图像处理。工作表的图示是使用Adobe Photoshop CS6和Adobe Illustrator CS程序完成的。

      根据喜好进行化妆设计的结果如下:对于浪漫风的化妆,打造丝滑质感的面部,使用褐色的眉笔和粉色系的眼影等配色表现出温柔的眼妆后,使用奶油质地的粉色腮红和和粉色唇彩营造出可爱的浪漫风化妆。对于优雅风的化妆,使用明亮的颜色打造面部后,使用自然颜色打造温柔的曲线形眉妆,画出褐色的眼影与粉色系的腮红后,使用樱桃色口红打造成熟感女性形象。对于自然的图像化妆,看起来没有化妆的外观是由自然色调的基础,眉毛赋予眉毛纹理生命,使用类似颜色的眼影,以及类似于原始形状和颜色的唇部表情。

      该项研究有望在日常化妆设计中提供合理帮助,因为它通过与中国大学女性进行问卷调查,提出了最优选的化妆品。此外,对中国大学女性的创作尝试可以作为一种利用创作效应对中国大学女性现实生活的一种方法。

      最后,关于化妆的进一步研究应该通过在化妆中应用图像的感知需求、纹理以及线条和形状的需要来关注纹理。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4
      • Ⅱ. 이론적 배경 ‧‧‧‧‧‧‧‧‧‧‧‧‧‧‧‧‧‧‧‧‧‧‧‧‧‧‧‧‧‧‧‧‧‧‧‧‧‧‧‧‧‧‧‧‧‧‧‧‧ 7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4
      • Ⅱ. 이론적 배경 ‧‧‧‧‧‧‧‧‧‧‧‧‧‧‧‧‧‧‧‧‧‧‧‧‧‧‧‧‧‧‧‧‧‧‧‧‧‧‧‧‧‧‧‧‧‧‧‧‧ 7
      • 1. 메이크업의 개념 및 표현요소 ‧‧‧‧‧‧‧‧‧‧‧‧‧‧‧‧‧‧‧‧‧‧‧‧‧‧‧‧‧‧‧‧‧‧‧‧ 7
      • 가. 메이크업의 개념 ‧‧‧‧‧‧‧‧‧‧‧‧‧‧‧‧‧‧‧‧‧‧‧‧‧‧‧‧‧‧‧‧‧‧‧‧‧‧‧‧‧‧‧‧ 7
      • 나. 메이크업의 표현요소 ‧‧‧‧‧‧‧‧‧‧‧‧‧‧‧‧‧‧‧‧‧‧‧‧‧‧‧‧‧‧‧‧‧‧‧‧‧‧‧ 9
      • 1) 점(Dot) ‧‧‧‧‧‧‧‧‧‧‧‧‧‧‧‧‧‧‧‧‧‧‧‧‧‧‧‧‧‧‧‧‧‧‧‧‧‧‧‧‧‧‧‧‧‧‧‧ 10
      • 2) 선(Line) ‧‧‧‧‧‧‧‧‧‧‧‧‧‧‧‧‧‧‧‧‧‧‧‧‧‧‧‧‧‧‧‧‧‧‧‧‧‧‧‧‧‧‧‧‧‧ 11
      • 3) 면(Shape) ‧‧‧‧‧‧‧‧‧‧‧‧‧‧‧‧‧‧‧‧‧‧‧‧‧‧‧‧‧‧‧‧‧‧‧‧‧‧‧‧‧‧‧‧‧‧ 13
      • 4) 색채(Color) ‧‧‧‧‧‧‧‧‧‧‧‧‧‧‧‧‧‧‧‧‧‧‧‧‧‧‧‧‧‧‧‧‧‧‧‧‧‧‧‧‧‧‧‧ 14
      • 5) 질감(Texture) ‧‧‧‧‧‧‧‧‧‧‧‧‧‧‧‧‧‧‧‧‧‧‧‧‧‧‧‧‧‧‧‧‧‧‧‧‧‧‧‧‧‧‧16
      • 2. 이미지의 분류 및 특성 ‧‧‧‧‧‧‧‧‧‧‧‧‧‧‧‧‧‧‧‧‧‧‧‧‧‧‧‧‧‧‧‧‧‧‧‧‧‧‧‧‧ 18
      • 가. 매니시(Mannish) ‧‧‧‧‧‧‧‧‧‧‧‧‧‧‧‧‧‧‧‧‧‧‧‧‧‧‧‧‧‧‧‧‧‧‧‧‧‧‧‧‧‧‧ 18
      • 나. 모던(Modern) ‧‧‧‧‧‧‧‧‧‧‧‧‧‧‧‧‧‧‧‧‧‧‧‧‧‧‧‧‧‧‧‧‧‧‧‧‧‧‧‧‧‧‧‧‧‧ 19
      • 다. 로맨틱(Romantic) ‧‧‧‧‧‧‧‧‧‧‧‧‧‧‧‧‧‧‧‧‧‧‧‧‧‧‧‧‧‧‧‧‧‧‧‧‧‧‧‧‧‧ 20
      • 라. 엘레강스(Elegance) ‧‧‧‧‧‧‧‧‧‧‧‧‧‧‧‧‧‧‧‧‧‧‧‧‧‧‧‧‧‧‧‧‧‧‧‧‧‧‧‧ 21
      • 마. 내추럴(Natural) ‧‧‧‧‧‧‧‧‧‧‧‧‧‧‧‧‧‧‧‧‧‧‧‧‧‧‧‧‧‧‧‧‧‧‧‧‧‧‧‧‧‧‧‧ 22
      • Ⅲ. 분석방법 ‧‧‧‧‧‧‧‧‧‧‧‧‧‧‧‧‧‧‧‧‧‧‧‧‧‧‧‧‧‧‧‧‧‧‧‧‧‧‧‧‧‧‧‧‧‧‧‧‧‧‧ 24
      • 1.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 24
      • 가. 연구모형 ‧‧‧‧‧‧‧‧‧‧‧‧‧‧‧‧‧‧‧‧‧‧‧‧‧‧‧‧‧‧‧‧‧‧‧‧‧‧‧‧‧‧‧‧‧‧‧‧‧‧ 24
      • 나. 연구가설 ‧‧‧‧‧‧‧‧‧‧‧‧‧‧‧‧‧‧‧‧‧‧‧‧‧‧‧‧‧‧‧‧‧‧‧‧‧‧‧‧‧‧‧‧‧‧‧‧‧‧ 25
      • 2. 용어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 25
      • 가. 용어의 조작적 정의 ‧‧‧‧‧‧‧‧‧‧‧‧‧‧‧‧‧‧‧‧‧‧‧‧‧‧‧‧‧‧‧‧‧‧‧‧‧‧‧‧ 25
      • 1) 메이크업 인식 ‧‧‧‧‧‧‧‧‧‧‧‧‧‧‧‧‧‧‧‧‧‧‧‧‧‧‧‧‧‧‧‧‧‧‧‧‧‧‧‧‧‧ 25
      • 2) 메이크업 선호도 ‧‧‧‧‧‧‧‧‧‧‧‧‧‧‧‧‧‧‧‧‧‧‧‧‧‧‧‧‧‧‧‧‧‧‧‧‧‧‧‧ 26
      • 3) 이미지 선호도 ‧‧‧‧‧‧‧‧‧‧‧‧‧‧‧‧‧‧‧‧‧‧‧‧‧‧‧‧‧‧‧‧‧‧‧‧‧‧‧‧‧‧ 26
      • 나. 측정도구 ‧‧‧‧‧‧‧‧‧‧‧‧‧‧‧‧‧‧‧‧‧‧‧‧‧‧‧‧‧‧‧‧‧‧‧‧‧‧‧‧‧‧‧‧‧‧‧‧‧‧ 26
      • 3. 조사대상과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 28
      • 가. 조사대상과 자료수집 ‧‧‧‧‧‧‧‧‧‧‧‧‧‧‧‧‧‧‧‧‧‧‧‧‧‧‧‧‧‧‧‧‧‧‧‧‧‧‧ 28
      • 나. 분석방법 ‧‧‧‧‧‧‧‧‧‧‧‧‧‧‧‧‧‧‧‧‧‧‧‧‧‧‧‧‧‧‧‧‧‧‧‧‧‧‧‧‧‧‧‧‧‧‧‧‧‧ 29
      • Ⅳ. 분석결과 ‧‧‧‧‧‧‧‧‧‧‧‧‧‧‧‧‧‧‧‧‧‧‧‧‧‧‧‧‧‧‧‧‧‧‧‧‧‧‧‧‧‧‧‧‧‧‧‧‧‧‧ 30
      • 1.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 ‧‧‧‧‧‧‧‧‧‧‧‧‧‧‧‧‧‧‧‧‧‧‧‧‧‧‧‧‧‧‧‧‧‧‧‧‧‧‧‧ 30
      • 2. 메이크업 선호도 분석 ‧‧‧‧‧‧‧‧‧‧‧‧‧‧‧‧‧‧‧‧‧‧‧‧‧‧‧‧‧‧‧‧‧‧‧‧‧‧‧‧‧‧ 32
      • 3. 이미지 선호도 분석 ‧‧‧‧‧‧‧‧‧‧‧‧‧‧‧‧‧‧‧‧‧‧‧‧‧‧‧‧‧‧‧‧‧‧‧‧‧‧‧‧‧‧‧‧ 33
      • 4. 메이크업 인식의 차원분석 ‧‧‧‧‧‧‧‧‧‧‧‧‧‧‧‧‧‧‧‧‧‧‧‧‧‧‧‧‧‧‧‧‧‧‧‧‧‧ 33
      • 5. 메이크업의 인식에 따른 메이크업 선호도 차이 ‧‧‧‧‧‧‧‧‧‧‧‧‧‧‧‧‧‧‧ 37
      • 가. 메이크업 인식에 따른 질감의 차이 ‧‧‧‧‧‧‧‧‧‧‧‧‧‧‧‧‧‧‧‧‧‧‧‧‧‧ 37
      • 나. 메이크업 인식에 따른 톤의 차이 ‧‧‧‧‧‧‧‧‧‧‧‧‧‧‧‧‧‧‧‧‧‧‧‧‧‧‧‧ 38
      • 다. 메이크업 인식에 따른 횟수의 차이 ‧‧‧‧‧‧‧‧‧‧‧‧‧‧‧‧‧‧‧‧‧‧‧‧‧‧ 40
      • 6. 메이크업 인식에 따른 이미지 선호도 차이 ‧‧‧‧‧‧‧‧‧‧‧‧‧‧‧‧‧‧‧‧‧‧‧ 42
      • Ⅴ. 이미지 선호도 분석을 토대로 한 메이크업 디자인 창작 ‧‧‧‧‧‧‧‧‧‧‧ 44
      • 1. 디자인 전개 ‧‧‧‧‧‧‧‧‧‧‧‧‧‧‧‧‧‧‧‧‧‧‧‧‧‧‧‧‧‧‧‧‧‧‧‧‧‧‧‧‧‧‧‧‧‧‧‧‧‧‧ 44
      • 2. 디자인 창작 ‧‧‧‧‧‧‧‧‧‧‧‧‧‧‧‧‧‧‧‧‧‧‧‧‧‧‧‧‧‧‧‧‧‧‧‧‧‧‧‧‧‧‧‧‧‧‧‧‧‧‧ 50
      • 가. 작업지시서 ‧‧‧‧‧‧‧‧‧‧‧‧‧‧‧‧‧‧‧‧‧‧‧‧‧‧‧‧‧‧‧‧‧‧‧‧‧‧‧‧‧‧‧‧‧‧‧‧ 50
      • 나. 작품제시 ‧‧‧‧‧‧‧‧‧‧‧‧‧‧‧‧‧‧‧‧‧‧‧‧‧‧‧‧‧‧‧‧‧‧‧‧‧‧‧‧‧‧‧‧‧‧‧‧‧‧ 55
      • 1) 로맨틱메이크업 ‧‧‧‧‧‧‧‧‧‧‧‧‧‧‧‧‧‧‧‧‧‧‧‧‧‧‧‧‧‧‧‧‧‧‧‧‧‧‧‧‧ 55
      • 2) 엘레강스메이크업 ‧‧‧‧‧‧‧‧‧‧‧‧‧‧‧‧‧‧‧‧‧‧‧‧‧‧‧‧‧‧‧‧‧‧‧‧‧‧‧ 56
      • 3) 내추럴메이크업 ‧‧‧‧‧‧‧‧‧‧‧‧‧‧‧‧‧‧‧‧‧‧‧‧‧‧‧‧‧‧‧‧‧‧‧‧‧‧‧‧‧ 57
      • Ⅵ. 결론 ‧‧‧‧‧‧‧‧‧‧‧‧‧‧‧‧‧‧‧‧‧‧‧‧‧‧‧‧‧‧‧‧‧‧‧‧‧‧‧‧‧‧‧‧‧‧‧‧‧‧‧‧‧‧‧ 58
      • 참고문헌 ‧‧‧‧‧‧‧‧‧‧‧‧‧‧‧‧‧‧‧‧‧‧‧‧‧‧‧‧‧‧‧‧‧‧‧‧‧‧‧‧‧‧‧‧‧‧‧‧‧‧‧‧‧‧ 61
      • Abstract ‧‧‧‧‧‧‧‧‧‧‧‧‧‧‧‧‧‧‧‧‧‧‧‧‧‧‧‧‧‧‧‧‧‧‧‧‧‧‧‧‧‧‧‧‧‧‧‧‧‧‧‧‧‧ 66
      • 설문지 ‧‧‧‧‧‧‧‧‧‧‧‧‧‧‧‧‧‧‧‧‧‧‧‧‧‧‧‧‧‧‧‧‧‧‧‧‧‧‧‧‧‧‧‧‧‧‧‧‧‧‧‧‧‧‧‧ 8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