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현병 환자의 영양상태분석과 식사 가이드라인 개발 = Analysis of nutritional status and development of dietary guidelines in schizophrenia pati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2092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현병은 환각 또는 망상을 수반하는 정신질환으로 국내외적으로 그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조현병 환자가 복용하는 항정신병 약물의 부작용으로 대사증후군이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조현병 치료와 관리에서 대사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는 식사 중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조현병 환자와 관련하여 영양섭취실태 조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조현병 환자의 영양상태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식사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로는 20∼50대 총 142명(건강한 성인 56명, 정신건강 센터 조현병 환자 60명, 병원 조현병 환자 26명)이 참여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에 참여하였고 병원대상자의 경우 생화학적 검사 결과도 분석에 이용하였다. 추가 대조군으로는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년도(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Ⅵ-2, KNHANES Ⅵ-2) 대상자의 영양섭취 및 생화학적 검사 자료를 이용하여 외래 및 입원 조현병군과 비교하였다. 집단은 정신건강 센터대상자의 경우 성별에 따라 대조군과 조현병군으로 나누었고 병원대상자는 대조군, 외래 조현병군, 입원 조현병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student’s t-test와 ANOVA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영양소 섭취량, 생화학적 검사 인자를 비교하였고, 조현병 관련 영양소 간의 상관성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다항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영양상태분석 결과, 정신건강 센터대상자의 경우 남자 조현병군은 대조군보다 단백질 섭취량이 낮았고 다가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과 니아신 섭취량도 유의적으로 낮았다. 여자 조현병군은 대조군보다 총 열량 섭취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남녀 조현병군 모두 엽산, 비타민 C 섭취량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조현병 관련 영양소 간의 상관관계에서 니아신, 엽산, 비타민 C는 총 n-3계 PUFA와 각각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특히 비타민 D와는 보다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항 회귀분석 결과 각각의 섭취량이 높을수록 조현병 위험률이 니아신은 0.277배(P=0.001), 비타민 C는 0.373배(P=0.010) 감소하였다. 총 n-3계 PUFA의 경우 교란인자인 연령, 체질량 지수, 흡연, 신체 활동으로 보정 시 조현병 위험률이 0.427배(P=0.044) 감소하였고, 엽산은 연령과 체질량 지수로 보정하였을 때 조현병 위험률이 0.304배(P=0.003)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병원대상자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총 열량 섭취는 낮은 반면 콜레스테롤과 나트륨 섭취는 유의적으로 높았다. 그리고 생화학적 검사 결과에서 외래와 입원 조현병군 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KNHANES Ⅵ-2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외래와 입원 조현병군의 혈중 비타민 D 수준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식사 가이드라인은 건강 체중 유지와 관련된 지침과 더불어 병원대상자의 경우 실외활동으로 비타민 D를 보충할 수 있도록 권고하였다. 또한, PUFA, 니아신, 엽산, 비타민 C의 주요 식품 급원과 1일 영양섭취기준을 제시하여 해당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도록 권고하였다.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의 영양상태분석을 바탕으로 식사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식사 가이드라인은 조현병 환자가 건강한 식사패턴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고 향후 조현병 환자와 가족을 위한 영양교육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조현병은 환각 또는 망상을 수반하는 정신질환으로 국내외적으로 그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조현병 환자가 복용하는 항정신병 약물의 부작용으로 대사증후군이 문제가 되고 있...

      조현병은 환각 또는 망상을 수반하는 정신질환으로 국내외적으로 그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조현병 환자가 복용하는 항정신병 약물의 부작용으로 대사증후군이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조현병 치료와 관리에서 대사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는 식사 중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조현병 환자와 관련하여 영양섭취실태 조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조현병 환자의 영양상태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식사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로는 20∼50대 총 142명(건강한 성인 56명, 정신건강 센터 조현병 환자 60명, 병원 조현병 환자 26명)이 참여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에 참여하였고 병원대상자의 경우 생화학적 검사 결과도 분석에 이용하였다. 추가 대조군으로는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년도(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Ⅵ-2, KNHANES Ⅵ-2) 대상자의 영양섭취 및 생화학적 검사 자료를 이용하여 외래 및 입원 조현병군과 비교하였다. 집단은 정신건강 센터대상자의 경우 성별에 따라 대조군과 조현병군으로 나누었고 병원대상자는 대조군, 외래 조현병군, 입원 조현병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student’s t-test와 ANOVA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영양소 섭취량, 생화학적 검사 인자를 비교하였고, 조현병 관련 영양소 간의 상관성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다항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영양상태분석 결과, 정신건강 센터대상자의 경우 남자 조현병군은 대조군보다 단백질 섭취량이 낮았고 다가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과 니아신 섭취량도 유의적으로 낮았다. 여자 조현병군은 대조군보다 총 열량 섭취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남녀 조현병군 모두 엽산, 비타민 C 섭취량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조현병 관련 영양소 간의 상관관계에서 니아신, 엽산, 비타민 C는 총 n-3계 PUFA와 각각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특히 비타민 D와는 보다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항 회귀분석 결과 각각의 섭취량이 높을수록 조현병 위험률이 니아신은 0.277배(P=0.001), 비타민 C는 0.373배(P=0.010) 감소하였다. 총 n-3계 PUFA의 경우 교란인자인 연령, 체질량 지수, 흡연, 신체 활동으로 보정 시 조현병 위험률이 0.427배(P=0.044) 감소하였고, 엽산은 연령과 체질량 지수로 보정하였을 때 조현병 위험률이 0.304배(P=0.003)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병원대상자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총 열량 섭취는 낮은 반면 콜레스테롤과 나트륨 섭취는 유의적으로 높았다. 그리고 생화학적 검사 결과에서 외래와 입원 조현병군 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KNHANES Ⅵ-2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외래와 입원 조현병군의 혈중 비타민 D 수준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식사 가이드라인은 건강 체중 유지와 관련된 지침과 더불어 병원대상자의 경우 실외활동으로 비타민 D를 보충할 수 있도록 권고하였다. 또한, PUFA, 니아신, 엽산, 비타민 C의 주요 식품 급원과 1일 영양섭취기준을 제시하여 해당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도록 권고하였다.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의 영양상태분석을 바탕으로 식사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식사 가이드라인은 조현병 환자가 건강한 식사패턴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고 향후 조현병 환자와 가족을 위한 영양교육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1. 국내외 조현병 유병률 1
      • 2. 조현병과 대사증후군 유병률 1
      • 3. 조현병과 식사패턴 2
      • 4. 조현병 발병 원인과 관련 영양소의 작용기전 3
      • 제 1 장 서론 1
      • 1. 국내외 조현병 유병률 1
      • 2. 조현병과 대사증후군 유병률 1
      • 3. 조현병과 식사패턴 2
      • 4. 조현병 발병 원인과 관련 영양소의 작용기전 3
      • 5. 연구목적 5
      • 제 2 장 대상 및 방법 6
      • 1. 연구대상자와 연구설계 6
      • 2. 영양소 섭취 조사 8
      • 3. 생화학적 검사 8
      • 4. 통계분석 9
      • 제 3 장 결과 10
      •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10
      • 1) 정신건강 센터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10
      • 2) 병원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10
      • 2. 정신건강 센터대상자의 영양섭취실태 13
      • 1) 열량 영양소 및 다가불포화지방산 섭취실태 13
      • 2) 비타민과 무기질 섭취실태 16
      • 3) 조현병 관련 영양소 간의 상관관계 18
      • 4) 영양소 섭취량에 따른 조현병 위험률과의 상관성 20
      • 3. 병원대상자의 영양섭취실태 및 생화학적 검사 결과 22
      • 1) 열량 영양소 및 다가불포화지방산 섭취실태 22
      • 2) 비타민과 무기질 섭취실태 22
      • 3)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년도(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Ⅵ-2, KNHANES Ⅵ-2) 대조군과 외래 및 입원 조현병군의 영양섭취 비교 26
      • 4) 외래 및 입원 조현병군의 생화학적 검사 결과 비교 28
      • 5) KNHANES Ⅵ-2 대조군과 외래 및 입원 조현병군의 생화학적 검사 결과 비교 28
      • 4. 식사 가이드라인 개발 31
      • 제 4 장 고찰 및 결론 34
      • 참고문헌 40
      • 영 문 초 록 47
      • 부 록 4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