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게임산업 내 기술 발전과 환경 변화로 인해 오프라인을 기준으로 하는 기존 법 제도의 적용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명확한 기준 없이 제정되어 온 게임규제의 방향을 바로잡고 포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031004
서울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학위논문(박사) -- 한양대학교 대학원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2022. 2
2022
한국어
서울
xiii, 293 p. : 삽도 ; 26 cm.
부록 수록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지도교수: 이재진
참고문헌: p. 242-275
I804:11062-20000059024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게임산업 내 기술 발전과 환경 변화로 인해 오프라인을 기준으로 하는 기존 법 제도의 적용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명확한 기준 없이 제정되어 온 게임규제의 방향을 바로잡고 포괄...
본 연구는 게임산업 내 기술 발전과 환경 변화로 인해 오프라인을 기준으로 하는 기존 법 제도의 적용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명확한 기준 없이 제정되어 온 게임규제의 방향을 바로잡고 포괄할 수 있는 이론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또한, 향후 게임 영역에서 규제의 적정성과 실효성을 담보할 수 있는 이론을 구축하기 위해 현행 게임규제를 분석하고 사회심리학적 동인이 규제에 미치는 영향력과 원인을 검증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았다.
논문에서는 정부와 산업, 사회를 하나의 축으로 두는 모형을 기반으로 외부요인에 대한 실효성을 담보할 수 있는 형태의 이론을 도출하고자 세 가지 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법해석학적 방법으로 현존하는 대표적인 게임규제의 법리적 적정성을 확인하고 해외의 유사한 규제와 비교하여 적절한 수준의 이론적 바탕을 정립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언론과 개인이 게임과 게임규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프레임분석 및 제3자 효과 가설로 분석하여 규제강화 현상의 원인을 찾고 규제이론이 작동하는 과정에서 산업과 사회 영역의 실효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법해석학적 분석은 국내 게임규제의 시기를 세 등분하였을 때 각 시대를 대표하는 내용규제, 이용 및 접근제한규제, 거래규제인 게임물 등급분류 제도, 셧다운제,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를 대상으로 하였다. 게임 등급분류 제도는 산업적, 사회적 필요성에 의해 입법된 이후 법리적 문제를 개선하고 실효성을 유지하기 위해 규제방식의 변화를 꾀했으나 그로 인한 제도의 복잡화와 중복, 이중규제의 위험을 안게 되었다. 셧다운제는 사회적인 요구로 시행되었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 방법론적 합리성을 만족하지 못하게 되며 전면적인 개선이 필요한 상황에 놓였다.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는 법제화되어있지 않아 조항의 개정이 신속하고 유연하였으며 방법론적으로도 합리적이었지만, 산업과 이용자의 정보 비대칭 현상 및 상호 신뢰 관계의 미흡이라는 문제를 해결해야 했다.
법해석학적 분석과 해외 각국의 규제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게임 및 산업의 특성과 기술 변화속도를 반영하면서도 적정성을 해치지 않는 규제이론의 근간에는 자율규제가 있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형평성 있는 규제를 위해서는 역외적용의 한계를 극복해야 하고, 산업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신속하게 개정할 수 있는 규제 형태가 유리하기 때문이다. 다만 자율규제가 제대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그 바탕에 정부, 산업, 사회의 신뢰 관계가 구축되어 있어야 한다는 점과 국내 게임산업에 대한 정부와 사회의 불신을 고려하면 정부로부터 승인받는 형태로 도입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연구의 다음 장에서 자율규제의 도입과 정착 과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온 사회심리학적 동인인 언론과 개인을 분석함으로써 이론의 실효성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언론의 보도프레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언론에서는 부정적인 논조와 이를 강조할 수 있는 전문적인 논거를 활용하여 게임 자율규제를 피상적이고 편향적인 방식으로 보도하였으며, 이러한 언론의 프레임은 현행 자율규제를 정부규제로 전환하는 상황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었다. 언론의 이러한 경향성은 첫째, 게임 자율규제에 대한 낮은 주목도와 이로 인한 언론의 이해 부족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였으며 둘째, 자율규제의 주도권을 가지고 있는 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적인 시각에서 나타난 것으로 생각되었다. 연구는 산업에 대한 신뢰도나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자율규제 정착을 위해서는 능동적인 주체로서의 산업 책무성이 강화되어야 하며, 책임준수 감시 제도의 도입이 하나의 방안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라 보았다.
제3자 효과 가설로 개인의 편향적 지각과 규제에 대한 지지 태도를 검증한 결과에서는 청소년 집단에 속한 개인이 성인인 자신에 비해 게임의 부정적인 영향력을 크게 받을 것이라 지각하는 편향적 인식이 존재하며,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언론보도가 청소년에 대한 편향적 지각을 매개하여 확률형 아이템 규제를 지지하는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 구성원들이 청소년 집단에 대한 게임의 부정적인 영향력을 편향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과 부정적인 언론보도가 규제의 지지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규제의 주체이자 감시자로서의 사회가 기능하기 위해 멀티 리터러시 기반의 민간 평가위원회를 구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연구를 바탕으로 제안된 규제이론은 ‘정부 최소개입형 공동3자 자율규제 모델’이다. 해당 이론은 정부의 자율규제 법적 승인, 산업의 책임준수 감시 제도, 사회의 민간 평가위원회 구성 및 교육을 기반으로 작동하며 법과 사회의 영역에서 수행해야 할 각 주체의 역할과 의무를 보여준다. 산업 영역에 자발적인 감시 제도를 도입하여 신뢰를 구축하고 정부와 사회 영역에 승인 및 평가 절차를 담당하도록 하여 규제의 안전장치를 마련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실효성을 가진다고 평가할 수 있다. 국가 최소개입형 공동3자 자율규제 모델은 형태나 방식에서 기존의 자율규제 모델과 유사한 점이 있지만, 사회 영역을 제3의 주체로 인정하고 역할 및 의무를 제안하였다는 점과 각 주체의 역할 및 의무가 충족되는 상황에서만 규제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것이라 본다는 점에서 기존의 이론과 차이점이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김영훈, "<규제행정>", 한국행정학회, 2001
2 류정아, "<축제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3 이종수, "행정학사전", 대영문화사, 2009
4 안법영, 윤재왕, "<법학방법론>", 세창출판사, 2011
5 전광석, "<한국헌법론>", 집현재, 2014
6 나보라, "<게임의 역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7 이병태, "<법률용어사전>", 법문북스, 2016
8 최병선, "「정부규제론」", 법문사, 1992
9 권도훈, 조근호, 김한오, 김선민, 김대진, "<중독 재활 총론>", 서울: 학지사, 2011
10 Caillois , R., "Man , play , and games", 2001
1 김영훈, "<규제행정>", 한국행정학회, 2001
2 류정아, "<축제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3 이종수, "행정학사전", 대영문화사, 2009
4 안법영, 윤재왕, "<법학방법론>", 세창출판사, 2011
5 전광석, "<한국헌법론>", 집현재, 2014
6 나보라, "<게임의 역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7 이병태, "<법률용어사전>", 법문북스, 2016
8 최병선, "「정부규제론」", 법문사, 1992
9 권도훈, 조근호, 김한오, 김선민, 김대진, "<중독 재활 총론>", 서울: 학지사, 2011
10 Caillois , R., "Man , play , and games", 2001
11 Johansson , B, "The third-Person effect", 26 ( 1 ) , 81-94 ., 2005
12 고봉진, "<판례 법학방법론>", 한국학술정보, 2013
13 강지웅, 조기현, 전홍식, 윤형섭, 오영욱, 박수영, "<한국 게임의 역사>", 북 코리아, 2012
14 Orbach , B, "What is regulation ? Yale", 38 ( 4 ) , 1-10, 2016
15 윤명희, "<교육평가 용어사전>", 학지사, 2004
16 윤태진, "<디지털 게임문화연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17 김재범, 이정기, "환경보도와 제3자 효과", <한국언론학보>, 56권 1호, 314-477, 2012
18 황승흠, "<인터넷 자율규제와 법>",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9 안성조, "<학문명백과: 사회과학>", 형설출판사, 2014
20 Crawford , C., "The art of computer game design", 1984
21 Posner , R., "Theories of economic regulation", 41 , 1-44, 1974
22 최석윤, "형사소송법과 유추금지",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4권 2호, 333-356, 2003
23 Graber , D., "Mass media and American politics", 1993
24 정종구, "게임산업의 규제와 혁신",
25 이상수, "샤비니에서 법의 역사성", <법사학연구>, 23호, 5-26, 2001
26 전경란, "<미디어 리터러시의 이해>", 커뮤니케이션 북스, 2015
27 황승흠, "<영화ㆍ게임의 등급 분류>",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28 이진호, "<초등학생 게임중독 심각>", 전자신문, https://news.naver.com /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30&aid=0000090613, 2004
29 백원우, 송지은, "번역: 표현의 자유의 한계", <공익과 인권>, 15권, 399-420, 2015
30 주정민, "인터넷 이용과 제3자 효과", <한국방송학보>, 16권 1호, 367-394, 2002
31 김기영, "법률해석의 의미론적 한계", <안암법학>, 46권, 45-86, 2012
32 조채희, "<시련을 딛고 21세기를 향해>", 연합뉴스, https://news.naver.c 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439780 3, 1998
33 이인화, "<한국형 디지털 스토리텔링>", 살림출판사, 2005
34 문성호, "국내 게임 중독 담론의 역사", <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 26권 1 호, 29-35, 2013
35 정창교, "<7일간 인터넷게임 30대 숨져>", 국민일보, https://news.naver.c 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118052, 2002
36 김은광, 정연근, 오승완, "<잇단 규제완화가 화 불렀다>", 내일신문, htt 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6 &aid=0000043215, 2006
37 Holden , C., "Behacioral addictions : Do they exist ?", 294 , 980-982, 2001
38 Davison , P., "The third person effect in communication", 47 , 1-15, 1983
39 정기도, "게임, 몰입, 그리고 탈자(脫自)", <정보와사회>, 2호, 88-106, 2000
40 정해상, "새로운 법 영역으로서의 게임법", <저스티스>, 146권 3호, 189-193, 2015
41 최윤진, "청소년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17권 2호, 189-208, 2005
42 김윤명, "확률형 게임아이템의 법률 문제", <법학논총>, 38권 1호, 323-358, 2014
43 이학준, "<게임중독 대학생의 범죄불감증>", 국민일보, https://news.na 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03 1719, 2000
44 박근서, 채다희, 이수엽, "게임 공간과 게임 플레이의 변화", <사이버커뮤니케이 션학보>, 33권 1호, 89-137, 2016
45 윤홍우, "<‘우리 아이도 도박중독 될라’>", 서울경제, https://news.naver. 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011&aid=00001468 77, 2006
46 정승호, "<인터넷중독 중학생 친동생 살해>", 동아일보, https://news.nav 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20&aid=00000513 34, 2001
47 Jones , T., "Government regulation : How much is enough ?", 11 . 13.https : //www.investors.com/politics/government-r egulation-burden-cost/, 2018
48 권용만, "게임의 정의 및 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 27 권 4호, 221-227, 2014
49 심석태, "미국의 방송 내용 규제 법제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4권 1 호, 109-147, 2013
50 Mill, J., "(1859). On Liberty. 서병훈 역 <자유론>", 책세상, 2005
51 조민식, "인터넷과 청소년 일상문화의 변형", <청소년문화포럼>, 30권, 84-99, 2012
52 소성렬, "<리니지, 15세 이용가 심의 받을 듯>", 오마이뉴스, https://ne 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47&aid=0 000015141, 2002
53 박주현, "<인터넷저널리즘에서 의제의 문제>",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54 Parenti , M., "Inventing reality : The politics of news media", 1993
55 Kutner , L., "Legal philosophers : Savigny : German lawgiver", 55 ( 2 ) , 1-18 ., 1972
56 이정훈, "‘주폭’ 범죄 보도의 프레임 분석", <한국범죄정보연구>, 6권 2호, 217-240, 2020
57 김은미, 이상혁, "게임중독 예측을 위한 새로운 접근", <한국언론학보>, 63권 1 호, 165-196, 2019
58 이덕주, "<셧다운제 규제의 경제적 효과분석>", 한국경제연구원, 2015
59 국순신, "<영등위의 ‘엔씨소프트' 길들이기>", 아이뉴스24, https://new 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31&aid=000 0011310, 2002
60 하동석, "<이해하기 쉽게 쓴 행정학용어사전>", 새정보미디어, 2010
61 서성은, 연준명, "한국 언론의 게임 보도 프레임 분석", <한국게임학회 논문 지>, 17권 6호, 89-101, 2017
62 김윤경, "<게임심의, 이제는 ‘위헌논쟁'까지>", 아이뉴스24, https://news.n 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31&aid=00000 05369, 2002
63 김호정, 황창근, 조연하, 정헌일, 이재진, "<영상물 자율심의제 도입방안 연 구>",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0
64 정재민, "대부업 광고에 대한 제3자 효과 연구", <한국언론학보>, 51권 6호, 111-13, 2007
65 Feldman , N., "Free speech in europe is n't what americans think", Bloomberg Opinionhttps : //www.bloomberg.com/opinion/articles/2017-03-19 /free-speech-in-europe-isn-t-what-americans-think, 2017
66 Zhang , L., "Third ? person effect and gender in online gaming", 18 ( 1 ) , 1-7 ., 2013
67 장동준, "<온라인게임 ‘셧다운제’ 다시 고개>", 전자신문, https://www.et news.com/200811050211, 2008
68 김수정, "<인터넷중독 초등생 ‘황당한 범행’>", 국민일보, https://news.n 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0 80640, 2001
69 정수영, "<어카운터빌리티, 새로운 미디어 규범>", 커뮤니케이션 북스, 2015
70 권상희, "<온라인게임 셧다운제 ‘새로운 국면'>", 전자신문, https://new 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30&aid=000 0121953, 2005
71 손선희, "<요즘 악마들은 모두 게임중독자라고?>", 아시아경제, http://v 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5122115042885883, 2015
72 CNN, "Vietnam restricts online gaming over youth concerns", 2010
73 문정욱, "정부 규제와 삶의 질- 다국가 비교분석", <한국자치행정학보>, 32권 3 호, 197-218, 2018
74 성낙인, "헌법상 문화국가원리와 문화적 기본권", <유럽헌법연구>, 30권, 1-53, 2019
75 서윤경, "<게임업계 ‘게임문화 자율정화할터’>", 머니투데이, https://ne 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 000214779, 2002
76 박수형, "<게임업계 셧다운제 초강경, 집단 반발>", ZDNet Korea, https: //zdnet.co.kr/view/?no=20130122093401, 2013
77 김양은, "<새로운 세대의 등장, 게임 제너레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78 문정욱, "<정보화와 정부의 질: 다국가 비교분석>",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6
79 Meredith , E., "Gaming addiction in ICD-11 : Issues and implications", https : //www.psychiatrictimes.com/view/g aming-addiction-icd-11-issues-and-implications, 2019
80 김성원, 정해상, 이환수, "게임물 등급분류제도의 국제 비교 연구", <디지털융 복합연구>, 17권 12호, 91-108, 2019
81 문기탁, "스마트 콘텐츠의 중복규제에 대한 고찰", <법학연구>, 52권 4호, 79-98, 2020
82 김교헌, "중독과 자기조절: 인지신경과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11권 1호, 63-105, 2006
83 강희종, "통계로 보는 정부규제의 기업혁신 영향",
84 최서진, "<게임 중독이 질병? 누리꾼 ‘갑론을박'>", 매일경제, https://w ww.mk.co.kr/news/society/view/2019/05/315941/, 2019
85 조민중, "<나는 이렇게 바다이야기에서 탈출했다>", 세계일보, https://w ww.segye.com/newsView/20060821000962, 2006
86 Beales , H. et al, "Government regulation : The good , the bad & the ugly", ( 1 ) , 1-17, 2017
87 서종희, "게임과 관련된 자율규제 모델 해외 사례", <외법논집>, 41권 2호, 31-53, 2017
88 김영숙, "<가상현실에 빠져 자기 아이 방치ㆍ학대>", 내일신문, http://w ww.naeil.com/news_view/?id_art=188794, 2016
89 윤태진, "<게임과몰입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 2018
90 Entman , M., "Framing :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43 ( 4 ) , 51-58 ., 1993
91 Castillo , M., "Vietnam bans online gaming from 10 PM to 8 AM > , TIME", 2 . 24.https : //techland.time.com/2011/02/24/vietnam-bans-online-gaming-fr om-10-pm-to-8-am/, 2011
92 이정원, "컴퓨터게임산업의 육성을 위한 정책방향", <과학기술정책동향>, 4권 12호, 1-10, 1994
93 홍석우, "<전 세계에 드리운 ‘게임 중독’의 그늘>", KBS, https://news.k bs.co.kr/news/view.do?ncd=4010605, 2018
94 박소영, "<학부모 반대에도 불구 여론은 폐지 찬성>", IT조선, http://it.c hosun.com/site/data/html_dir/2021/07/13/2021071301925.html, 2021
95 서주현, 유안진,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친구관계의 특성", <아동학회지>, 22 권 4호, 149-166, 2001
96 부애리, "<국회도 中게임 ‘막장 운영' 규제 나선다>", 아시아경제, https:// view.asiae.co.kr/article/2021070508173583363, 2021
97 우정헌, "<인터넷중독 청소년, 치료-재활 길 열렸다>", 쿠키뉴스, https:/ /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143&ai d=0000023505, 2006
98 Shih , D., "Hate speech and the misnomer of the marketplace of ideas", 3 . 3.NPRhttps : //www.npr.org/sections/codeswitch/2017/05/03/483264173 /hate-speech-and-the-misnomer-of-the-marketplace-of-ideas, 2017
99 Sen , I, "Relevance of Volksgiest : A theory propounded by Savigny", 4 , 1-17, 2019
100 김민규, 신의진, 김주환, 김은주, "온라인 게임중독 검사 개발과 타당화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19권 1호, 385-415, 2008
101 김창완, "<리니지 18세 이용가 등급 판정을 환영하며>", 오마이뉴스, ht 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47 &aid=0000014477, 2002
102 권영전, "<청소년 학부모가 게임 셧다운제 헌법소원>", 연합뉴스, https:/ /www.bokjiro.go.kr/nwel/welfareinfo/livwelnews/news/retireveNewsDetail.d o?dataSid=5610640, 2011
103 김형근, "<문화부, 게임종합지원센터 설립 계획 발표>", 연합뉴스, https:/ /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4427472, 1999
104 Young , S., "Internet addiction : Symptoms , evaluation , and treatment", 17 , 119-31, 1999
105 박은희, "미디어 융합시대 내용규제 패러다임의 변화", <동서언론학회>, 12권, 219-246, 2009
106 현경보, "방송내용 규제방식의 분류모델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연구>, 50호, 365-397, 2000
107 최호진, "온라인 게임아이템에 대한 형법적 해석방향", <형사정책연구>, 22권 4 호, 37-68, 2011
108 유인창, "온라인게임 아이템의 재물성에 대한 재검토",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논 문지>, 18권 4호, 153-160, 2013
109 김혜경, "온라인게임 아이템의 재산범죄 성립 가능성", <법학연구>, 14권 2호, 214-242, 2004
110 정순훈, "우리 헌법상의 경제질서와 경제규제의 한계", <공법연구>, 16권, 149-180, 1988
111 Milton, J., "(1644). Areopagitica, 임상원 역 <아레오파지티카>", 나남, 2013
112 전필수, "<영등위, 게임물 등급제도 개선 토론회 개최>", 머니투데이, htt 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 &aid=0000481218, 2004
113 Goffman , E., "Frame Analysis .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1974
114 Hallahan , K., "Seven models of framing : Implications for public relations", 11 ( 3 ) , 205-242 ., 1999
115 Mollnau , K., "The contributions of Savigny to the theory of legislation .", 37 ( 1 ) , 81-93 ., 1989
116 조민식, "온라인 게임과 청소년 교제문화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인문학>, 4권 1호, 7-26, 2016
117 조민식, "온라인 게임과 청소년 일상문화에 대한 고찰", <사회적질연구>, 3권 1 호, 79-99, 2019
118 김두원, "온라인 도박 규제의 한계와 관리시스템 구축", <형사법연구>, 30권 2 호, 295-331, 2018
119 김신희, 안창일, "인터넷 게임중독자의 성격 및 의사결정 방식", <한국심리학회 지: 건강>, 10권 4호, 415-430, 2005
120 박현아, "<게임 자율규제 관련 언론보도의 프레임분석>", 한국게임정책자율기 구, 2020
121 조상현, "<‘리니지2', 바츠혁명 소재 미술 전시회 개최>", 포모스, https:/ /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236&ai d=0000065762, 2012
122 김영석, "<무서운 10대들…팬클럽회원 집단구타로 숨져>", 국민일보, ht 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 &aid=0000126601, 2002
123 Young , S., "Internet addiction :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1 ( 3 ) , 237-244, 1998
124 김학범, 김현수, "게임물 규제방안에 관한 연구- CERO를 중심으로", <한국중 독범죄학회>, 7권 4호, 1-21, 2017
125 나보라, 주재원, "올드미디어는 뉴미디어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언론과 사 회>, 17권 2호, 2-48, 2009
126 최철호, "행정법상의 자율규제의 입법형태에 관한 연구", <법학논총>, 23권, 353-372, 2010
127 양영석, "<데스티니 가디언즈, 한국 지역 셧다운제 적용>", 인벤, https:// www.inven.co.kr/webzine/news/?news=226520, 2019
128 Iyengar , S., "Is anyone responsible ?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1991
129 류화진, "MMORPG 게임아이템에 대한 재산죄의 성립 가능성", <동아법학>, 50호, 133-162, 2011
130 이준복, "청소년보호법 상 셧다운제에 관한 헌법적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법 학연구소>, 21권 3호, 555-592, 2014
131 최혜선, "한국의 정보통신망 정부규제 및 자율규제 현황", <가천법학>, 2권 2 호, 185-214, 2009
132 Perloff , M., "Third person effect research 1983-1992 : A review and synthesis", 5 ( 2 ) , 167-184 ., 1993
133 김종일, "게임물 등급분류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의 방향", <외법논집>, 41권 4호, 89-117, 2017
134 윤성옥, "방송의 내용 규제 개선에 대한 제언. <방송문화>", 2020 가을호, 54-80, 2020
135 장지영, "<‘리니지’ 등급 파동여파 게임 개발환경 급변>", 전자신문, htt 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5&oid=03 0&aid=0000014376, 2002
136 이어진, "<게임 셧다운제 시작, 어떤 게임이 되고 안 되나>", CNB, htt p://weekly.cnbnews.com/news/article.html?no=107676, 2011
137 Strossen , N., "Hate : Why we should resist it with free speech , not censorship", 2018
138 방희진, 조아미, "가족기능과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행동간의 관계", <한국심리 학회지: 발달>, 16권 1호, 1-22, 2003
139 서재호, 최성락, 이혜영, "영상물등급위원회의 자율규제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 15권 4호, 83-110, 2006
140 박창석, "온라인게임 셧다운제의 위헌성여부에 대한 검토", <한양법학>, 37권, 11-28, 2012
141 황성기, "온라인게임 셧다운제의 헌법적합성에 관한 연구", <한림법학 FORUM>, 16권, 139-156, 2005
142 김태오, "
143 최중혁, "<[단독] ‘중학생, 하루 3시간 게임시 강제종료’>", 머니투데이, h ttps://news.mt.co.kr/mtview.php?no=2012012016234452448&outlink=1&ref=htt ps%3A%2F%2Fsearch.naver.com, 2012
144 Singelis , M., "The measurement of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20 ( 5 ) , 580-591 ., 1994
145 김도경, 김효남, 김재형, "게임에서의 확률형 아이템 개선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28권 2호, 531-533, 2020
146 Ma , C., "Self-regulation versus government regulation : An externality view", 1 ( 31 ) , DOI : 10.2139/ssrn.3242591, 2018
147 양승찬, "매스미디어의 제3자 효과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언론정보연구>, 36권, 159-184, 1999
148 조광민, "<게임위, 게임 불법광고 근절 위한 다자간 MOU 체결>", 게임동 아, https://game.donga.com/92168/, 2019
149 이건혁, "<온라인 게이머들, 트럭시위로 오프라인 뒤흔들다>",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0203/105249245/1, 2021
150 권해주, "<온라인게임 ‘셧다운제' 도입 추진...청소년 단체>", 아이뉴스2 4,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 d=031&aid=0000048782, 2004
151 신정규, "'게임 이용행위'의 질병적 취급에 대한 헌법적 검토", <법과 정책연 구>, 19권 4호, 233-268, 2019
152 박영태, "<중독 막자 vs 지나친 규제…‘게임 셧다운제' 논란>", 한국경 제, https://www.hankyung.com/news/article/2010121041941, 2010
153 이상준, "고등학생의 인터넷 관련 중독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정신건강과 사 회복지>, 20권, 154-181, 2005
154 김수갑, "한국헌법에서의 '문화국가' 조항의 법적 성격과 의의", <공법연구>, 32권 3호, 179-198, 2004
155 이재윤, "<19년 전 오늘… 포켓몬 시청 日어린이들 ‘발작증상'>", 머니 투데이,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6121515265235919&outlink= 1&ref=https%3A%2F%2Fsearch.naver.com, 2016
156 권영전, "<게임중독법 놓고 정치권 공방 게임업계 ‘부글부글'>", 연합뉴 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5 &oid=001&aid=0006590472, 2013
157 문창완, "<해외 정신의학계 ‘게임 이용 장애 질병화 이르다’>", 쿠키뉴스, http://www.kukinews.com/newsView/kuk201911010251, 2019
158 강신규, 김광재, "디지털 게임의 자율규제 방안에 관한 비교분석적 접근", <한 국게임학회 논문지>, 12권 6호, 107-119, 2012
159 배관표, 정준화, "인터넷 게임의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와 정부의 역할", <입 법과 정책>, 11권 2호, 295-314, 2019
160 김교헌, 태관식, "자기노출이 청소년의 컴퓨터 중독 개선에 미치는 효과", <한 국심리학회지: 건강>, 6권 1호, 177-194, 2001
161 Hayes , F., "Introduction to mediation , moderation ,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2013
162 박종현, "헌법상 문화국가원리의 구체화와 헌법재판에서의 적용", <헌법학연 구>」, 21권 3호, 527-568, 2015
163 인현우, "<국민의힘이 낸 게임법 개정안이 8일 만에 사라졌다, 왜>", 한 국일보,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113012040002097?did =NA, 2021
164 전준구, "사회규제정책으로서 장애인 고용정책: 설계논리와 평가", <한국사회복 지정책학회 논문집>, 11권, 1-25, 2000
165 권남훈, "통신시장의 시장지배력과 사전규제 및 사후규제의 조화", <商經硏究>, 31권 2호, 109-136, 2006
166 김민규, "<게임법제도의 현황과 과제- 게임과 제도의 문화적 층위>", 서울: 박 영사, 2009
167 김명희, "<게임사 부담금법, 사실상 폐기된 법안 슬그머니 재검토>", 전 자신문, https://www.etnews.com/201201310101, 2012
168 Ostrom , E., "Governing the commons : The evolution of institutions for collective action", 1990
169 Liebert , M., "Skin gambling : Have we found the millennial goldmine or imminent trouble ?", 21 ( 8 ) , 557-565 ., 2017
170 이철현, 정계환, "초등학교 학생들의 게임중독과 공격성 및 인성과의 관계", <정보교육학회 논문지>, 9권 3호, 417-437, 2005
171 조재현, "게임내용 및 게임시간 규제의 헌법적 정당성에 관한 고찰", <동아법 학>, 64호, 145-175, 2014
172 장우리, "
173 전준우, "<마인크래프트 논란에 여가부 ‘셧다운제' 개선 논의키로>", 뉴스 1, https://www.news1.kr/articles/?4362609, 2021
174 Rees , J ., "Reforming the workplace : A study of self-regulation in occupational safety .", 1988
175 Gunther , C., "What we think others think : Cause and Consequence in the Third-person effect", 18 , 355-372, 1991
176 권혁인, 최용석, 박정은, 김다혜, "온라인게임 이용 관여수준의 진단 척도 개 발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 19권, 41-51, 2009
177 최창열, "중국 온라인 게임시장의 판호(版号)와 ASO정책에 대한 연구", <한국 비즈니스리뷰>, 10권 1호, 47-62, 2017
178 이성준, "걸그룹의 선정적 퍼포먼스 규제 태도 영향 요인에 대한 고찰", <한국 콘텐츠학회 논문지>, 14권 7호, 137-150, 2014
179 엄기영, 정아란, "유아의 컴퓨터게임과몰입 예방교육 프로그램 모형개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6권 2호, 211-237, 2006
180 이영주, "<아동학대 부르는 게임중독…충동조절 장애로 자녀살해까지>",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60316137700061?input=1195m, 2016
181 김성태, 라스, "윌나트ㆍ데이비드 위버 여론조사보도에 대한 제3자효과 검증", <한국언론정보학보>, 32권, 49-73, 2006
182 백민재, "<中게임 ‘왕비의 맛’, 저질 광고에 韓유저-게임사 ‘분통’>", 게 임톡, https://gametoc.hankyung.com/news/articleView.html?idxno=53789, 2020
183 서동민, "<게임법 개정안 놓고 찬반 시끌…확률형 아이템 규제가 핵 심>", 게임톡, https://gametoc.hankyung.com/news/articleView.html?idxno=57 561, 2021
184 김양중, "<정신과 및 소아청소년과 등 5개 의학회 ‘게임중독은 질병’>", 한겨레, https://www.hani.co.kr/arti/society/health/897301.html, 2019
185 Boddewyn , J, "Advertising self-regulation and outside participation : A multinational comparison", 51 ( 3 ) , 711-772, 1998
186 황승흠, "게임 등급분류의 특례와 자율규제: 영화 등급분류와 비교하여", <법 학논총>, 26권 3호, 355-392, 2014
187 이완수, 홍성철, "뉴스 포털 ‘네이버’에 게시된 범죄사건 재현과 프레임 분석", <언론과학연구>, 20권 2호, 256-293, 2020
188 차동필, 한균태, "공익광고와 제3자 효과: 타인의 반응에 대한 지식이 미친 영 향", <한국언론학보>, 47권 3호, 38-59, 2003
189 안창일, 이형초, "인터넷 게임중독의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 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권 3호, 463-486, 2002
190 김지연, "온라인게임 정보통신기술이 매개하는 시-공간 프레임과 실재성", <과 학기술학연구>, 12권 1호, 79-106, 2012
191 이관범, "<[국감 2005] 게임중독에 10억도 안쓴다고? 게임 몰입자 26. 4% 이상>", 아이뉴스24,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 mid=sec&sid1=105&oid=031&aid=0000069332, 2005
192 황승흠, "게임물 규제체제의 변천과정에 관한 역사- 한국게임법제의 역사", <중 앙법학>, 11권 1호, 421-456, 2009
193 이민영,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방송통신 내용규제 체계에 관한 법제연구", <미 국헌법연구>, 28권 3호, 253-296, 2017
194 신현주, 전대양, "온라인게임 중독 규제에 대한 이슈와 자율규제방안에 관한 연구", <경찰학논총>, 9권 2호, 151-175, 2014
195 Castro , D., "Benefits and limitations of industry self-regulation for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11 , 1-14, 2011
196 이승훈, "표현의 자유를 제약하는 게임물관리위원회의 심의실무 사례연구", <한 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 28권 4호, 75-82, 2015
197 김기환, 문성진, "환경규제는 자발적일 수 없는가?- 자율환경협약의 논리와 효 과성", <한국공공관리학보>, 32권 4호, 79-98, 2018
198 이덕규, "<엔씨소프트 3부작. 온라인게임 혁명 ‘리니지2와 바츠 해방전 쟁'>", 베타뉴스, http://www.betanews.net/article/555188, 2011
199 박태정, "<제1분과: 법해석학적 관점에서 본 장애인복지법의 실효성과 쟁점>",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4
200 김수경, 황금숙, 김정화,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어린이 게임과 몰입 극복에 미 치는 효과 연구", <한국비블리아 학회지>, 24권 2호, 93-111, 2013
201 김재민, 이혜원, 이영주,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아이템 구매의도에 영 향을 주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4권 1호, 165-178, 2014
202 김정해, "산업안전분야에서의 중복규제 해소방안: 갈등관리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5권 1호, 211-233, 2004
203 김치용, 송승근, "중국 온라인 게임 심의에 관한 규제 분석- 중국 NHN 게임 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9권 11호, 151-162, 2009
204 이해경, "청소년들의 음란물, 음란채팅, 폭력게임 중독 경험에 대한 비교분석", <청소년학연구>, 9권 1호, 91-114, 2002
205 김정수, 신현두, "딜레마의 늪- 온라인게임 아이템 현금거래에 관한 정책 결정 의 지연", <한국정책학회보>, 22권 4호, 61-86, 2013
206 장미경, "청소년 게임중독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권 2호, 277-297, 2011
207 김학태, "법률해석의 한계- 판례에서 나타난 법해석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외법논집>, 22권, 177-206, 2006
208 신동규, "<권인숙, 셧다운제 폐지 법안 발의…국가 규제보다 자율이 나 은 방향>", MBN뉴스, https://www.mbn.co.kr/news/politics/4547677, 2021
209 Wesley , Y, "Dutch loot box threat forces Valve to pull CS : GO and Dota 2 item trading in the Netherlands", 6 . 20.Eurogamerhttps : //www.euroga mer.net/articles/2018-06-20-dutch-loot-box-threat-forces-valve-to-pull-csgo- and-dota-2-item-trading-in-the-netherlands, 2018
210 김학범, 김현수, "도박중독 관리기구에 관한 연구- 호주의 온라인 도박 규제를 중심으로", <한국중독범죄학회보>, 8권 4호, 1-27, 2018
211 김종일, "<게임의 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법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212 Gunther , C., "Overrating the X-rating : The third-person perception and support for censorship of pornography", 45 , 27-38 ., 1995
213 김경식, 김정현, "RPG 게임의 유형 및 게이머의 유형을 통한 게임디자인 방법 에 관한 연구", <게임 & 엔터테인먼트 논문지>, 2권 3호, 1-7, 2006
214 이진구, "<인터넷게임 규제에 관한 법제 개선 연구- 강제적 셧다운제를 중심 으로>", 한국법제연구원, 2014
215 김영환, "법률해석의 목표: 주관적 해석이론과 객관적 해석이론 간의 논쟁에 관해", <법철학연구>, 21권 1호, 367-400, 2018
216 김혁, "온라인ㆍ모바일 게임의 이용과 게임 결과물의 거래를 둘러싼 법적 쟁 점", <법학연구>, 61권, 431-454, 2019
217 강필성, 최종현, "쟁점 사안에 대한 핵심 어휘 판별 및 시각화를 통한 언론사 별 논조 분석", <한국경영과학회지>, 45권 4호, 1-10, 2020
218 강태현, 유홍식, "언론의 자살사건 보도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제3자 효 과를 중심으로", <한국소통학보>, 23권 23호, 174-208, 2014
219 조은하, "게임의 매체적 특성과 스토리텔링- 장르문법의 매체 수용양상을 중심 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33호, 41-61, 2010
220 최정민, 우지숙, "공기업에 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구: 5개 일간지 사설 분석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53권 2호, 315-343, 2015
221 강희양, 손정락,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게임중독에 대한 자존감 향상 인지 행동치료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15권 1호, 143-159, 2010
222 김소울, "게임 내 캐릭터 뽑기 사용자의 과금 심리 분석: 퍼즐 앤 드래곤을 중 심으로", <한국게임학회지>, 16권 3호, 77-86, 2016
223 김선협, "게임산업발전을 위한 셧다운제도의 법정책적 재고: 셧다운제도와 관 련하여", <법학논총>, 35권, 93-130, 2016
224 탁진영, "과장광고의 설득효과와 제 3자 효과: 규제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0권 1호, 398-441, 2010
225 채유경, "초등학생 게임과몰입에 관한 통합예술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 과검증", <상담학연구>, 7권 3호, 885-898, 2006
226 Kowalewski , J, "Does humor matter ? : An analysis of how hard news versus comedy news impact the agenda-setting effects", 28 ( 1 ) , 1-29, 2013
227 Brimley , S., "Game over , loot boxes : Insert self-regulation to continue 10 .. 9 .. 8 .. 7 ... Arizona Legal Studies", 2020
228 황승흠, "인터넷 콘텐츠 규제에 있어서 법제도와 사업자 자율 규제의 결합에 관한 연구", <공법학연구>, 9권 4호, 261-288, 2008
229 박현아, "게임 원작 기반 콘텐츠의 영화적 재현- 게임과 영화의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게임학회논문지>, 21권 2호, 17-32, 2021
230 김종세, "문화산업으로서 인터넷게임에 관한 헌법적 쟁점- 강제적 셧다운제를 중심으로", <법학연구>, 17권 3호, 109-129, 2017
231 박현아, 이재진, "온라인 MMORPG 약관의 아이템 현금거래 금지 조항에 대 한 이용자들의 인식 연구", <언론과 법>, 15권 1호, 143-181, 2016
232 심우영, "자율규제와 소비자법적 보호의 함의- 게임, 특히 웹보드게임의 분야 에 있어서", <외법논집>, 41권 2호, 7-29, 2017
233 김정기, 이희영, "질적 메타분석을 통한 뉴스프레임의 유형: 국내 117개 프레 임 연구를 대상으로", <한국언론학보>, 60권 4호, 7-38, 2016
234 남영옥, 이상준,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유형에 따른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과 정신건강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7권 3호, 195-222, 2005
235 권재원, "청소년의 게임중독 치료에서 게임유형 대체 요법의 효과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청소년학연구>, 11권 3호, 93-114, 2004
236 이경원, 이상원, "인터넷포털의 사전규제 필요성과 시장획정: 인터넷검색광고 서비스를 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연구>, 22권 1호, 33-84, 2015
237 Zhong , Z ., "Third-person perceptions and online games : A comparison of perceived antisocial and prosocial game effects", 14 ( 2 ) , 286-306 ., 2009
238 Felini , D., "Beyond today 's video game rating systems : A critical approach to PEGI and ESRB , and proposed improvements", 10 ( 1 ) , 106-122 ., 2015
239 Eskasasnanda , D., "Causes and effects of online video game playing among junior-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Malang east java", 9 ( 2 ) , 191-202, 2017
240 소영진, 최성모, "사회규제완화와 풍선효과: 규제완화조치에 대한 규제기관의 대응전략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27권 4호, 1139-1158, 1993
241 권정혜, 이소영, "인터넷 게임의 중독적 사용이 청소년의 문제해결 능력 및 의 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20권 1호, 67-80, 2001
242 Jones , C., "The fox in the henhouse : The failure of the video game industry ’ s self-regulation with regard to loot boxes", 24 ( 1 ) , 245-301 ., 2020
243 박경신, "게임셧다운제 및 게임실명제 헌재결정에 대한 평석- 게임이용자 권리 인정의 필요성", <법학연구>, 61권 1호, 1-37, 2020
244 고민수, "방송통신융합시대의 심의제도: EU에서의 수평적 규율체계논의에 관 한 헌법학적 분석", <언론과 법>, 8권 1호, 73-96, 2009
245 양승목, "여론조사와 제3자 효과: 여론조사의 영향에 대한 국회의원의 지각적 편향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18권, 6-28, 1997
246 홍남희, "미디어 리터러시 담론과 아동, 청소년: 미디어 이용 취약층에서 일탈 의 프로슈머까지", <한국언론정보학보>, 107권, 149-180, 2021
247 김유미, "소셜미디어의 가짜뉴스(Fake News)에 대한 제3자 효과: 감염병 관련 허위정보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35권 1호, 5-32, 2021
248 이신행, 조민정, "코로나19 관련 언론 보도 프레임 분석 : 자료기반 자동화 프레임 추출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소통학보>, 20권 1호, 79-121, 2021
249 왕승혜, "<경제행정법상 자율규제에 관한 연구- EUㆍ프랑스ㆍ한국 식품법제 의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법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250 Huizinga, J., "Homo Ludens: A Study of the Play-Element in Culture. 이종 인 역 (2018). <호모 루덴스- 놀이하는 인간>", 연암서가, 1971
251 김규찬, 김옥태, "언론의 신종플루 보도가 대학생의 예방위생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제3자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4권 6호, 344-367, 2010
252 이희경, "청소년의 게임 이용요인과 개인ㆍ사회적 요인이 게임 몰입과 게임 중 독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0권 4호, 355-380, 2003
253 Salwen , B, "Perceptions of media influence and support for censorship : The third-person effect in the 1996 presidential election", 25 , 259-285 ., 1998
254 유수정, 이건호, "메인 뉴스 논조 차별화가 드러낸 한국 종편 저널리즘의 지형 - 무상복지 이슈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1권 1호, 7-35, 2017
255 김서현, 윤종수, "확률형 아이템의 도박죄 해당 여부에 관한 고찰- 게임 아이 템의 거래 가능성을 중심으로",
256 고준, 신선진, 김희웅,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자기표현욕구의 영향요인과 디지 털 아이템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 <경영정보학연구>, 18권 1호, 117-144, 2008
257 신영수, 황승흠, "확률형 게임아이템 규제의 접근방식: 일본의 ‘콘푸가챠’ 규제 방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스포츠와 법>, 17권 2호, 239-267, 2014
258 Hond , M., "Framing and tone-of-voice of disaster media coverage : The aftermath of the Enschede fireworks disaster in the Netherlands", 13 ( 3 ) , 201-220 ., 2011
259 김인숙, "인터넷 게임에 대한 낙관적 편견, 제 3자 효과, 게임 중독법에 대한 태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14권 1호, 5-36, 2014
260 김종화, 유홍식, "이지은, 진소연 온라인게임 규제에 대한 언론의 보도프레임 분석: 셧다운제 보도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1권 4호, 355-384, 2011
261 이서현, 최낙진, "정파성과 취재기자의 성별에 따른 정보원 활용 분석: 안희정 미투 사건 신문보도를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60권, 129-178, 2021
262 이원형, 홍석영, "청소년의 게임이용 정도가 게임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금단 증상과 통제력 상실의 매개효과", <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 28권 3호, 107-112, 2015
263 김건호, "<정부 게임산업 정책, 전문가들 성적표 ‘미’>, 세계일보, http: //www.segye.com/newsView/20181017004329?", OutUrl=naver, 2018
264 정남철, "現代國家의 規律構造와 規制된 自律規制- 특히 규제거버넌스의 구축 과 실현방안을 중심으로", <공법연구>, 46권 4호, 410-437, 2018
265 방성아, 이은희, "음악 치료프로그램이 인터넷 게임중독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3권 6호, 2520-2527, 2012
266 한종현, "확률형 아이템 규제 법안에 관한 연구: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일 부개정법률안을 중심으로",
267 Richardson , H., "Decoding U.S. media through framing theory : Examining the coverage of Hugo chavez in the Newyork times and the Washington times", 2013
268 김영주, 정재민, 유은, 송해엽, "인터넷 개인방송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과 규 제 지지 평가: 국내 이용자와 비이용자의 차이 비교", <한국방송학보>, 33권 3호, 108-140, 2019
269 김용민, "국내 온라인게임 규제제도 개선을 위한 행정법적 연구– 등급분류제 도와 자율심의제도를 중심으로", <법학논문집>, 44권 1호, 305-338, 2020
270 유병준, 이재환, "<게임 내 확률형 유료 아이템의 도입이 소비자의 아이템 구 매와 게임 내 불균형 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2016
271 박하늬, 유현재, "ㆍ양웅 청소년을 위한 온라인 게임중독 예방 메시지: 신체-사 회적 소구와 긍정-부정 소구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5권 1호, 321-341, 2014
272 박종현, "청소년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인터넷 규제의 의의와 한계: 최근의 소 위 셧다운제 도입문제를 중심으로", <언론과 법>, 12권, 111-145, 2011
273 곽우신, "<게임중독은 질병인가? 아닌가? 눈치보는 국회의원들>, 오마 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 CNTN_CD =A0002546524&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 ch&utm_campaign=naver_news, 2019
274 정현선, "언어ㆍ텍스트ㆍ매체ㆍ문화 범주와 복합문식성 개념을 통한 미디어교 육의 국어교육적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28호, 307-337, 2005
275 김나경, "의료법상 환자유인행위의 위법성 판단 구조 분석: 법해석학적 방법론 에 기초한 법원 논증의 비판적 이해", <저스티스>, 143권, 208-233, 2014
276 박현아, 이재진, "게임중독 규제법리에 대한 비판적 고찰: 보건복지부의 정신 건강종합대책에 대한 헌법적 판단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0권 5호, 7-33, 2016
277 전혜진, "<정치적 지지성향과 미디어 이용, 이용밀도의 제3자 효과 연구: 2012 국가정보원 대선 개입 보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16
278 김인숙,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이용, 제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언론과학연구>, 12권 3호, 79-106, 2012
279 김옥태, 이창호, 배상률, "청소년들의 인터넷게임규제정책에 대한 태도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 탐색: 제3자 효과와 귀인이론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3권 1호, 107-130, 2016
280 Bergstrom , A, "Expanding the third person effect : Parents ’ perceptions of positive and negative media effects on their own children compared to other children", 2011
281 김인숙, "성형광고 노출, 성형경험, 외모기준의 내면화, 제3자 효과가 성형광고 규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연구", <홍보학연구>, 19권 4호, 214-234, 2015
282 최윤규, "지상파 방송사의 검찰수사 뉴스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 편향에 관한 연구: 조국 수사 관련 정보원을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57권 4호, 196-239, 2020
283 Gardikiotis , A ., "Group distinctiveness , political identification , and the third-person effect : Perceptions of a political campaign in the 2004 Greek national election .", 11 ( 3 ) , 331-353 ., 2008
284 조윤주, "부모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Ping의 2단계 접근방식을 적용한 여가만족도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8권 3호, 27-48, 2011
285 문미리, "컴퓨터 텍스트 분석 툴(Tool)을 활용한 글로벌 뉴스 미디어의 싱가포 르 북미정상회담 뉴스 프레임 분석: BBC와 CNN을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 이션 연구>, 61권, 5-58, 2021
286 L. A . Times, "Sega to begin rating system for video games : Entertainment : Labeling similar to that used for motion pictures will gauge the level of graphic violence in each game", L. A . TIMEShttps : //www.latimes.com/archives/la-xpm-1993-05-25-fi-39461-story.html, 1993
287 양승찬, "제3자 효과 가설과 침묵의 나선 이론의 연계성: 여론조사 보도에 대 한 제3자 효과 지각과 공개적 의견표명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 보>, 43권 2호, 109-141, 1998
288 박우귀, "<방송통신내용 자율규제시스템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인식차이 연구: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의 융합매체와 소셜매체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89 임종섭, "방송 뉴스 프레임의 자동추출 기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지상파 방송 사, 종합편성채널, 보도전문채널의 부동산 정책 보도를 중심으로", <방송과 커 뮤니케이션>, 20권 1호, 47-96, 2019
290 박정훈, "비교법연구(比較法硏究): 미국의 청소년게임규제와 위헌성논의, 그리 고 그 평가와 시사- 캘리포니아주 청소년폭력비디오게임금지법을 중심으로", <법조>, 61권 8호, 223-273, 2012
291 이주락, "게임물 자체등급분류제를 어떻게 안착시킬 것인가- 개정된 게임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2017.1.1. 시행예정)이 야기할 변화 분석 및 게임물 자체등 급분류제 안착을 위한 사후관리시스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