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걷기교실 참여가 과체중 여아의 신체활동량과 신체기능 및 보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Walking Class Participation on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Function and Gait Function in Overweight Gir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6341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alking calss participation on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function and gait function in overweight girl. Sixteen overweight girl were assigned in walking calss group(n=8), and control gr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alking calss participation on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function and gait function in overweight girl. Sixteen overweight girl were assigned in walking calss group(n=8), and control group(n=8). The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walking class program 60min/session, 3 days each week for 12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In body composition, weight(p<.01), body mass index(p<.01), percent fat(p<.01), and lean body mass(p<.05)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daily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function and gait function, step count(p<.01), MVPA(p<.01), lower limb muscle strength(p<.05), maximal gait speed(p<.05), stance phase duration(p<.05), and Swing phase duration(p<.05)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alking class program may represent an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y for body composition and daily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function and gait function. Finally, the effect of longer-term modifications of walking exercise program on regular physical activ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경원, "한국 소아청소년의 비만 유병률 추이: 1997년과 2005년 비교" 대한소아과학회 51 (51): 950-955, 2008

      2 안용덕, "초등학교 남자학생들의 1주일간 신체활동량 조사" 한국스포츠리서치 18 (18): 545-556, 2007

      3 정경심, "초등학교 고학년 남학생의 비만지수에 따른 운동 및 식습관 분석" 한국초등체육학회 13 (13): 191-202, 2008

      4 김준모, "줄넘기 운동이 남ㆍ여 초등학생의 체력과 호흡순환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 14 (14): 75-84, 2008

      5 김종경, "저강도 걷기 운동 프로그램이 고도비만여성의 체력, 신체구성 및 혈중 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 18 (18): 19-24, 2010

      6 강현주, "유치원 아동을 둔 어머니들의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34 (34): 230-240, 2002

      7 김수남, "유산소운동과 이침요법 병행이 중년 비만여성의 신체구성, 복부피하지방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영양학회 10 (10): 281-287, 2006

      8 김성호, "운동 강도에 따른 3차원 요부 안정화 운동이 퇴행성변성디스크 환자의 요부근력 및 주관적 통증지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31) : 933-942, 2007

      9 이동환, "소아에서의 대사 증후군" 14 (14): 62-71, 2005

      10 신덕수, "걷기 및 덤벨 걷기운동이 비만 여대생의 건강관련체력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15 (15): 141-159, 2010

      1 오경원, "한국 소아청소년의 비만 유병률 추이: 1997년과 2005년 비교" 대한소아과학회 51 (51): 950-955, 2008

      2 안용덕, "초등학교 남자학생들의 1주일간 신체활동량 조사" 한국스포츠리서치 18 (18): 545-556, 2007

      3 정경심, "초등학교 고학년 남학생의 비만지수에 따른 운동 및 식습관 분석" 한국초등체육학회 13 (13): 191-202, 2008

      4 김준모, "줄넘기 운동이 남ㆍ여 초등학생의 체력과 호흡순환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 14 (14): 75-84, 2008

      5 김종경, "저강도 걷기 운동 프로그램이 고도비만여성의 체력, 신체구성 및 혈중 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 18 (18): 19-24, 2010

      6 강현주, "유치원 아동을 둔 어머니들의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34 (34): 230-240, 2002

      7 김수남, "유산소운동과 이침요법 병행이 중년 비만여성의 신체구성, 복부피하지방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영양학회 10 (10): 281-287, 2006

      8 김성호, "운동 강도에 따른 3차원 요부 안정화 운동이 퇴행성변성디스크 환자의 요부근력 및 주관적 통증지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31) : 933-942, 2007

      9 이동환, "소아에서의 대사 증후군" 14 (14): 62-71, 2005

      10 신덕수, "걷기 및 덤벨 걷기운동이 비만 여대생의 건강관련체력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15 (15): 141-159, 2010

      11 김종원, "건강 걷기 운동이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의 체격․BMI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5005-5014, 2012

      12 Trost, S. G., "physical activity and determinants of physical activity in obese and non-obese children" 25 : 822-829, 2001

      13 Geppert, j., "Summary document of nutrition intervention in obesity" S31-S35, 1991

      14 Aoyagi, Y., "Steps Per Day : The Road to Senior Health?" 39 (39): 423-438, 2009

      15 Whitaker R. C., "Predicting obesity in young adulthood from childhood and parental obesity" 337 (337): 869-873, 1997

      16 Rossner S., "Obesity through the ages of man" 25 : 529-533, 2001

      17 World Health Organization, "Obesity and overweight"

      18 International Obesity Taskforce, "Obesity The Global Epidemic"

      19 Robert, D. l., "Nutritional assessment" Dubuque, Brown & Benchmark Co 120-163, 1993

      20 Choi, J. S., "Morbidity & health behaviors among Korean; 2001Analysis of National Health & Nutrition Survey" Korea Institute for Health & Social Affairs 2003

      21 Shepard, R, J, "Exercise and aging : extending independence in older adult" 48 (48): 61-64, 1993

      22 Massimiliano Paua, "Effect of light and vigorous physical activity on balance and gait of older adults" 59 (59): 568-573, 2014

      23 Fogelholm, M., "Does physical activity prevent weight gain-a systemic review" 1 : 95-111, 2000

      24 Moore, L. L., "Does early physical activity predict body hat change throughout childhood?" 37 : 10-17, 2003

      25 Rocandio, A. M., "Comparison of dietry intake among overweight and non-overweight school children" 25 : 822-829, 2001

      26 Wabitsch, M., "Child and adolescent obesity:causes and consequences: prevention and management" cambrige University Press 50-68, 2002

      27 Gallagher. B., "A fall prevention program for the home environment" 6 (6): 157-163, 2001

      28 백은진, "8주간의 걷기와 줄넘기 복합운동 트레이닝이 초등학생의 신체구성, 체력, 혈중 지질 및 성장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6 (46): 461-472, 2007

      29 보건복지부, "2010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1차년도(2010)" 2011

      30 질병관리본부, "2007년 소아 및 청소년 표준 성장도표, 해설"

      31 김해중, "16주간의 건강걷기 운동이 체력과 대사증후군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7 (17): 441-455, 2008

      32 이성진, "10주간의 열량제한과 6 km/h 동일 속도의 걷기 또는 달리기 운동이과체중 여성의 체구성 및 유산소성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환경학회 15 (15): 224-232,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6 0.59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