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병어, Pampus punctatissimus와 덕대, Pampus argenteus의 외부 계측형질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193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결론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인석, "한국의 메기과(Siluridae) 어류의 계측형질 특징" 한국어류학회 16 (16): 223-228, 2004

      2 박인석, "퉁가리과(Amblycipitidae) 어류 계측형질 특징" 한국어류학회 18 (18): 209-215, 2006

      3 박인석, "참조기 (Larimichthys polyactis)와 부세 (L. crocea) 간의 외부계측형질 비교" 한국환경생물학회 38 (38): 507-517, 2020

      4 장서하, "갈가자미, Tanakius kitaharae와 기름가자미, Glyptocephalus stelleri (가자미과) 자어의 형태 비교" 한국어류학회 28 (28): 164-174, 2016

      5 Chyung MK, "The fishes of Korea" Ilchisa 576-, 1977

      6 Masuda H, "The Fishes of the Japanese Archipelago" Tokai Univ Press 448-, 1984

      7 Strauss RE, "Taxonomic methods, morphology. In: Methods for Fish Biology" American Fisheries Society 125-130, 1990

      8 Kim YU, "Studies on the fishery biology of pomfrets, Pampus spp. in the Korean waters 1. Morphology of the two species of the genus Pampus" 22 (22): 241-265, 1989

      9 Yuan L, "Species identification and cryptic diversity in Pampus species" 49 : 2521-2534, 2019

      10 Kang HW, "Monthly aquaculture"

      1 박인석, "한국의 메기과(Siluridae) 어류의 계측형질 특징" 한국어류학회 16 (16): 223-228, 2004

      2 박인석, "퉁가리과(Amblycipitidae) 어류 계측형질 특징" 한국어류학회 18 (18): 209-215, 2006

      3 박인석, "참조기 (Larimichthys polyactis)와 부세 (L. crocea) 간의 외부계측형질 비교" 한국환경생물학회 38 (38): 507-517, 2020

      4 장서하, "갈가자미, Tanakius kitaharae와 기름가자미, Glyptocephalus stelleri (가자미과) 자어의 형태 비교" 한국어류학회 28 (28): 164-174, 2016

      5 Chyung MK, "The fishes of Korea" Ilchisa 576-, 1977

      6 Masuda H, "The Fishes of the Japanese Archipelago" Tokai Univ Press 448-, 1984

      7 Strauss RE, "Taxonomic methods, morphology. In: Methods for Fish Biology" American Fisheries Society 125-130, 1990

      8 Kim YU, "Studies on the fishery biology of pomfrets, Pampus spp. in the Korean waters 1. Morphology of the two species of the genus Pampus" 22 (22): 241-265, 1989

      9 Yuan L, "Species identification and cryptic diversity in Pampus species" 49 : 2521-2534, 2019

      10 Kang HW, "Monthly aquaculture"

      11 Guoxing Yin, "Molecular systematics of Pampus (Perciformes: Stromateidae) based on thousands of nuclear loci using target-gene enrichment" Elsevier BV 140 : 106595-7, 2019

      12 Sulaiman A, "Larval developmental stages of laboratory-reared silver pomfret, Pampus argenteus" 47 (47): 137-141, 2000

      13 임상구, "Landmark-based Morphometric and Meristic Analysis of Serranidae" 한국발생생물학회 20 (20): 51-63, 2016

      14 Kim IS,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ublishing Co 615-, 2005

      15 Kim YU, "Ichthyology (Introduction)" Tae-Hwa Publishing Co 270-, 1989

      16 KOSTAT, "Fishery production survey"

      17 Matsubara K, "Fish morphology and hierarchy" Ishzaki-shoter 570-580, 1979

      18 Park IS, "Effect of starvation on morphometric changes in Rhynchocypris oxycephalus (Sauvage and Dabry)" 17 : 277-281, 2001

      19 Kim JK, "Distribution Map of Sea Fishes in Korean Peninsula"

      20 Kim JK, "Distribution Map of Sea Fishes in Korea"

      21 임상구, "Comparison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Smallscale Blackfish, Girella leonina and Largescale Blackfish, G. punctata"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8 (28): 1848-1857, 2016

      22 윤영은, "AFLP 분석에 의한 병어속(Pampus) 3종의 유전 변이" 한국수산과학회 42 (42): 146-150,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8-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수산해양교육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67 0.82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