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습윤리 교육 현황 및 인식에 대한 연구 - 디자인 전공을 중심으로 - =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 of Learning Ethics Education - Focused on Design Major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659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s awareness on establishing research ethics has increased in Korea, regulations and systems related to research ethics have improved considerably. Unlike research ethics required by professional researchers such as professors, researchers and graduate students, however, education on learning ethics, which is mostly applied to undergraduates attending universities, is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to research ethics education.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reflect in detail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s, as it is common to present general guidelines that should be followed, including all areas of specialties.
      Method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content required at the design education site by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status and awareness of learning ethics education for those involved in design colleges and design majors and draw out learning ethics education content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majors based on the results.
      Resul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learning ethics educatio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majors should be conducted. Learning ethics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more actively by universities than by professors and students' arbitrariness or morality, and education programs that reflect design characteristics should be provided to meet the needs of design majors and students.
      Conclusion We hope to contribute to the research of design learning ethics teaching methods and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contents and education programs to produce designers with design ethics awareness to society.
      번역하기

      Background As awareness on establishing research ethics has increased in Korea, regulations and systems related to research ethics have improved considerably. Unlike research ethics required by professional researchers such as professors, researchers ...

      Background As awareness on establishing research ethics has increased in Korea, regulations and systems related to research ethics have improved considerably. Unlike research ethics required by professional researchers such as professors, researchers and graduate students, however, education on learning ethics, which is mostly applied to undergraduates attending universities, is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to research ethics education.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reflect in detail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s, as it is common to present general guidelines that should be followed, including all areas of specialties.
      Method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content required at the design education site by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status and awareness of learning ethics education for those involved in design colleges and design majors and draw out learning ethics education content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majors based on the results.
      Resul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learning ethics educatio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majors should be conducted. Learning ethics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more actively by universities than by professors and students' arbitrariness or morality, and education programs that reflect design characteristics should be provided to meet the needs of design majors and students.
      Conclusion We hope to contribute to the research of design learning ethics teaching methods and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contents and education programs to produce designers with design ethics awareness to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국내에서 연구윤리 확립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연구윤리 관련 규정 및 체제 정비가 상당 수준 개선되었다. 그러나 교수, 연구원, 대학원생과 같은 전문 연구원에게 요구되는 연구윤리와 달리 주로 대학에 재학 중인 학부생들에게 적용되는 학습윤리에 대한 교육은 연구윤리 교육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특히 대학에서 공지하는 학습윤리 지침은 모든 전공에서 지켜야 할 일반적인 지침을 제시하므로 전공 특성을 세부적으로 반영하기는 어렵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대학 및 디자인 전공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학습윤리 교육 현황 및 인식을 실증 조사함으로써 디자인 교육현장에서 요구되는 교육내용을 파악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인 전공의 특성을 반영한 학습윤리 교육내용을 도출해내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대학 및 디자인 전공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학습윤리 교육 현황 및 인식을 실증 조사함으로써 디자인 교육현장에서 요구되는 교육내용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윤리 교육은 교수와 학생의 자의성 혹은 도덕성보다는 대학이 적극적인 교육을 제공하고 구체적인 규정을 제시해주어야 하며 디자인 특성을 반영한 학습윤리 교육과 디자인 전공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교육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인 전공의 특성을 반영한 학습윤리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디자인 윤리의식을 갖춘 디자이너를 사회에 배출하기 위한 디자인 학습윤리 교수법 및 지식재산권 교육 콘텐츠·교육 프로그램을 연구하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기를 바란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국내에서 연구윤리 확립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연구윤리 관련 규정 및 체제 정비가 상당 수준 개선되었다. 그러나 교수, 연구원, 대학원생과 같은 전문 연구원에게 요구되는...

      연구배경 국내에서 연구윤리 확립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연구윤리 관련 규정 및 체제 정비가 상당 수준 개선되었다. 그러나 교수, 연구원, 대학원생과 같은 전문 연구원에게 요구되는 연구윤리와 달리 주로 대학에 재학 중인 학부생들에게 적용되는 학습윤리에 대한 교육은 연구윤리 교육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특히 대학에서 공지하는 학습윤리 지침은 모든 전공에서 지켜야 할 일반적인 지침을 제시하므로 전공 특성을 세부적으로 반영하기는 어렵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대학 및 디자인 전공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학습윤리 교육 현황 및 인식을 실증 조사함으로써 디자인 교육현장에서 요구되는 교육내용을 파악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인 전공의 특성을 반영한 학습윤리 교육내용을 도출해내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대학 및 디자인 전공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학습윤리 교육 현황 및 인식을 실증 조사함으로써 디자인 교육현장에서 요구되는 교육내용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윤리 교육은 교수와 학생의 자의성 혹은 도덕성보다는 대학이 적극적인 교육을 제공하고 구체적인 규정을 제시해주어야 하며 디자인 특성을 반영한 학습윤리 교육과 디자인 전공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교육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인 전공의 특성을 반영한 학습윤리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디자인 윤리의식을 갖춘 디자이너를 사회에 배출하기 위한 디자인 학습윤리 교수법 및 지식재산권 교육 콘텐츠·교육 프로그램을 연구하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기를 바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은주"

      2 김대군, "학습윤리와 연구윤리 교육의 필요성" 28 : 157-176, 2016

      3 이연정, "학습윤리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조사 연구-문과계열과 이공계열 신입생들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327-347, 2018

      4 정종진, "학습윤리가이드"

      5 김지인, "학습윤리 교육 내용에 대한 연구 -디자인전공을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8 (18): 133-150, 2017

      6 전방욱, "학습연구윤리" 한국연구재단 1-93, 2008

      7 김소영, "학습성과와 효과적인 교수법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조사연구" 원격교육연구소 10 (10): 59-82, 2014

      8 홍병숙, "패션산업의 디자인 모방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 13 (13): 560-571, 2011

      9 김희경, "치의학 교육의 학습윤리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의사협회 55 (55): 215-228, 2017

      10 이주형, "체육전공 대학원생의 연구・학습윤리교육 사례연구" 한국스포츠학회 17 (17): 551-563, 2019

      1 "한은주"

      2 김대군, "학습윤리와 연구윤리 교육의 필요성" 28 : 157-176, 2016

      3 이연정, "학습윤리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조사 연구-문과계열과 이공계열 신입생들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327-347, 2018

      4 정종진, "학습윤리가이드"

      5 김지인, "학습윤리 교육 내용에 대한 연구 -디자인전공을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8 (18): 133-150, 2017

      6 전방욱, "학습연구윤리" 한국연구재단 1-93, 2008

      7 김소영, "학습성과와 효과적인 교수법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조사연구" 원격교육연구소 10 (10): 59-82, 2014

      8 홍병숙, "패션산업의 디자인 모방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 13 (13): 560-571, 2011

      9 김희경, "치의학 교육의 학습윤리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의사협회 55 (55): 215-228, 2017

      10 이주형, "체육전공 대학원생의 연구・학습윤리교육 사례연구" 한국스포츠학회 17 (17): 551-563, 2019

      11 허순영, "조사연구에서 순위절차를 이용한 항목순위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조사연구학회 9 (9): 29-49, 2008

      12 류승호, "제품디자인과 모방" 2 : 35-44, 2006

      13 박해림, "제품 디자인 관점에서 바라본 유사성과 창작성 판단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8 (18): 215-228, 2017

      14 서추연, "의복구성학 분야의 연구윤리" 1 : 41-46, 2016

      15 이영희, "의대생의 부적절행위 유형과 평가 프로그램에 대한 고찰" 한국의학교육학회 24 (24): 93-101, 2012

      16 박희옥, "융복합시대에서 요구되는 학습윤리인식 실태조사: 간호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277-287, 2018

      17 박혜림, "순위 다중응답 자료 분석방법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18 김기태, "문예창작 분야에서의 학습윤리와 연구윤리" 한국문예창작학회 17 (17): 199-223, 2018

      19 한국연구재단, "대학연구윤리 실태조사 보고서" 한국연구재단 1-52, 2019

      20 박상석, "대학생의 글쓰기에서 발생하는 불가항력적 표절의 문제와 대안" 한국 리터러시 학회 (15) : 35-69, 2016

      21 정흥균, "광고 크리에이티브의 창의성과 모방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5 (15): 157-166, 2012

      22 이재숭, "공학윤리교육의 필요성 및 교육내용과 방법" 한국윤리교육학회 (16) : 229-244, 2008

      23 가톨릭대학교 학부대학, "가톨릭대학교 대학생 학습윤리 가이드"

      24 이성흠, "‘학습윤리’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중요도-실행도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2 (12): 75-94, 2011

      25 천명선, "A Matter of Professionalism: Academic Misconduct of Veterinary Students" 한국임상수의학회 32 (32): 174-179,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12-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Design Forum ->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7-10-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영문명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KCI등재
      2007-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영문명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KCI등재
      2006-06-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6-02-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10-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10-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 한국디자인포럼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9-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비쥬얼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Visual Design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631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