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천문 교육 방법의 개선 방향과 교 육 자료 또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교육과정 ‘태양계와 별’ 지도와 연계하여 초등예비교사들에게 태양으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78078
2021
Korean
교재 재구성 ; 태양계 ; 행성의 거리 ; 천문교육 ; 우주 ; reorganization of textbook ; solar system ; planet distance ; astronomy education
375.2
KCI등재
학술저널
225-235(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천문 교육 방법의 개선 방향과 교 육 자료 또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교육과정 ‘태양계와 별’ 지도와 연계하여 초등예비교사들에게 태양으로...
이 연구의 목적은 천문 교육 방법의 개선 방향과 교 육 자료 또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교육과정 ‘태양계와 별’ 지도와 연계하여 초등예비교사들에게 태양으로부터 행성까지의 상대적인 거리를 비교하는 재구성 과제를 제시한 후 이를 분석 하였다. 연구 대상인 초등예비교사들은 B광역시 소재 초등 교사 양성 대학교 음악교육학과 2학년에 재학 중 인 학생들로 남자 11명, 여자 19명이다. 도출된 시사점 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루마리 휴지를 이용한 거리 비교 활동’은 태양에서 행성까지의 거리를 단순 비교 하는 데는 적합하지만 태양계의 광대함을 체험하게 하 거나 학생 참여 중심의 수업을 이끌어내는 데는 한계 가 있다. 둘째, 넓은 학습 공간의 확보와 함께 행성의 크기와 행성까지의 거리를 동시에 반영하고 또한 태양 계의 광대함도 체험하며 실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초 등학생용 소프트웨어 자료의 개발이 더 필요하다. 셋 째, 교과서 자료는 초등예비교사의 수업 설계에 중요 한 영향을 미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astronomical education methods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or software. In connection with the 5th grade 1st semester elementary science 'Solar System 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astronomical education methods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or software. In connection with the 5th grade 1st semester elementary science 'Solar System and Stars' unit,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ere given a reorganization task to compare the relative distances from the sun to the planets, and then this was analyzed. Pre-service teachers are 11 male and 19 female students in the second year of the music education department a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university in B city.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tance comparison activity using a roll of tissue paper' is suitable for simply comparing the distances from the sun to the planet, but it has limitations in allowing students to experience the vastness of the solar system or inducing student participation-centered classe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software material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t can simultaneously reflect the size of the planet and the distance to the planet that can be applied indoors, and also experience the vastness of the solar system, as well as a wide learning space. Third, textbook materials for students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class design of pre-service teachers.
목차 (Table of Contents)
초등예비교사의 성별 및 지구과학 이수 여부가 ‘계절변화’ 개념에 미치는 효과
초등예비교사의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 메타버스 활용가능성 제안
2009 개정 및 2015 개정 초등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안개 발생 실험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이해
학교 급별에 효과적인 계절별 별자리 실험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