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서편제”의 특성에 대한 연구이다. 영화는 소설에 비해 ‘소리’와‘영상’의 역할이 강화된다. “서편제”의 경우 사운드(sound)는 배경을 넘어 주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944972
2024
Korean
판소리 ; 서편제 ; 영화 문법 ; 오이디프스 콤플렉스 ; 승화 ; Pansori ; Seopyonje ; Grammar of cinema ; Oedipus complex ; Sublimation
KCI등재
학술저널
319-329(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서편제”의 특성에 대한 연구이다. 영화는 소설에 비해 ‘소리’와‘영상’의 역할이 강화된다. “서편제”의 경우 사운드(sound)는 배경을 넘어 주제...
이 논문은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서편제”의 특성에 대한 연구이다. 영화는 소설에 비해 ‘소리’와‘영상’의 역할이 강화된다. “서편제”의 경우 사운드(sound)는 배경을 넘어 주제적인 기능까지 수행한다.
소설에서 ‘노랫소리’가 부분적인 설명에 지나지 않았다면 “서편제”에서 ‘춘향가’와 ‘심청가’는 각각 영화의 전․후반을 이끌어 나가는 주된 이야기이다. ‘영상’ 또한 마찬가지이다. “서편제”의 영상은 스토리를보조하는 역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스토리를 이끌어가는 역할을 맡는다. 영화 “서편제”의 마지막 장면은 소리와 영상이 결합하여 만들어낸 한국 영화사상 최고 명장면 가운데 하나이다. 영화의 마지막 시퀀스(sequence)는 오직 ‘노랫소리’와 영상만으로 영화가 만들어 온 모든 스토리가 얽혀 있는 응어리(조실부모, 불륜, 근친상간적 욕망, 가정 파탄, 사랑, 이별, 죽음, 절망)들을 풀어내는 장면이다. ‘송화’가소리하고 ‘동호’가 북을 치는 장면을 통해, 이들이 가진 모든 한이 풀리는 과정을 오롯이 담아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vel-based film "Seopyeonje". Compared to novels, movies have a stronger role of sound and video. In the case of the movie "Seopyeonje", the sound goes beyond the background to the thematic functio...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vel-based film "Seopyeonje". Compared to novels, movies have a stronger role of sound and video. In the case of the movie "Seopyeonje", the sound goes beyond the background to the thematic function. While singing is only a partial explanation of the story in the novel, "Chunhyangga" and "Shimcheongga" in "Seopyeonje" are the main stories that lead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the movie, respectively.
The video of "Seopyeonje" also plays a role in leading the story, not just assisting the story.
he last scene of the movie "Seopyeonje" is one of the best scenes in Korean film history created by combining sound and video. The final sequence of the film is a scene in which only singing sound and video are used to solve the pain and sadness(losing parents early, affair, incestuous desire, family breakdown, love, separation, death, and despair) entangled in all the stories of the film. The scene where Song-hwa sings and Dong-ho hits the drum expressed the process of unraveling all their resentments.
지속가능한 교육 환경으로서 독도 지역에 대한 연구 - 에코뮤지엄을 중심으로 -
학교스포츠클럽 참가에 따른 다문화 중학생의 또래 지지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다문화 수용의 매개효과
디지털스토리텔링 활동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창의성 간의 관계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