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소비자가 지각하는 브랜드 글로벌성과 원산지 이미지가 외국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특히 브랜드 글로벌성이 원산지 이미지의 효과를 조절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770378
2011
Korean
325.1
KCI등재
학술저널
1-23(2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소비자가 지각하는 브랜드 글로벌성과 원산지 이미지가 외국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특히 브랜드 글로벌성이 원산지 이미지의 효과를 조절하...
본 연구는 소비자가 지각하는 브랜드 글로벌성과 원산지 이미지가 외국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특히 브랜드 글로벌성이 원산지 이미지의 효과를 조절하는지 즉 글로벌성이 높은 브랜드는 낮은 브랜드에 비해 원산지 효과가 낮아지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30대 성인을 중심으로 일본 자동차 4개 브랜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우선 브랜드 글로벌성이 소비자의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반면에, 원산지 이미지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함께 브랜드 글로벌성이 원산지 이미지의 효과를 조절하는 경향이 있음이 발견되었다. 더 흥미로운 점은 원산지 효과가 글로벌성이 높은 브랜드에서는 나타난 반면에 글로벌성이 낮은 브랜드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는 브랜드 글로벌성이 커지면 원산지효과가 줄어들 것이라는 일반적인 기대와 상반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마케팅 관점에서 시사점이 논의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sumer perceived brand globalness and country-of-origin image on consumer evaluations of foreign brands. We hypothesize that perceived brand globalness moderates country-of-origin effe...
This study is intend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sumer perceived brand globalness and country-of-origin image on consumer evaluations of foreign brands. We hypothesize that perceived brand globalness moderates country-of-origin effects in brand effects. Surveys were carried out with adult consumers aged 20`s and 30`s on their evaluations of four Japanese automobile brands. Our findings support the effects of perceived brand globalness, but not country-of- origin effects in consumer evaluation of foreign brands. More importantly, we found that perceived brand globalness moderates the country-of-origin effects. This finding contrasts with our expectation from previous research. Finally,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TV 광고의 글로벌 소비자문화 포지셔닝이 제품 평가와 광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해외자회사의 네트워크 유형이 전략적 역할과 성과간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 효과
한국 전자무역의 활용 수준과 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글로벌 전자무역서비스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