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리산 덕산동의 文化元型과 名所의 의미 = The Cultural Archetypes of Deoksandong of Mt. Jiri and the Meanings of Its Attrac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693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and establish the cultural archetypes of Deoksandong of Mt. Jiri and figure out the meanings of its major attractions clearly based on poetry and prose works left by many different scholars after a trip to it in Joseon. ...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and establish the cultural archetypes of Deoksandong of Mt. Jiri and figure out the meanings of its major attractions clearly based on poetry and prose works left by many different scholars after a trip to it in Joseon. The discussions about them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 status of Mt. Jiri was further enhanced among Confucian scholars in Joseon as they perceived the mountain as the center of the nation and the major fundamental presence of its southern regions beyond its image as a guardian mountain to hold and defend the nation's territory in a huge and vast manner at the southern tip of the land, stretching down from Mt. Baekdu. Moreover, Nammyung Jo Shik, a moralist in middle Joseon, chose to retire to hermitage in Deoksandong of Mt. Jiri and made it the gathering place for moralists. After his death, it was regarded as a sacred place where the origin of moral philosophy began and received the ongoing inflow of pilgrims.
      There are three types of cultural archetypes in Deoksandong of Mt. Jiri: first, Deoksandong was Nammyung's place of retirement around Sancheonjae and his Daechukji as a seeker of truth that wished to cultivate the way of man and combine it with the way of Heaven; secondly, Deoksandong was established as a sacred place of moral philosophy in Joseon after the Deokcheon Seowon was built to praise and emulate his learning and virtue; and finally, Deoksandong was considered as the origin of moral philosophy by Neo-Confucian scholars in the climbing course to Cheonwang Peak via the Daewon Buddhist Temple and Jogaegok. This course became a popular course among those who hit the road to find human nature and seek the truth. These three cultural archetypes of Deoksandong hold huge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culture.
      There are several major attractions in Deoksandong: Ipdeokmun was named by Nammyung to signify an entry into the world of moral philosophy; Takyeongdae was a place where scholars were able to wash their hat strings in the clean and clear water flowing down from the upstream; Gomajeong and Mt. Suyang would transmit the old stories of hermits; Sancheonjae was the place where Nammyung completed his moral philosophy in his latter years; Deokcheon Seowon and Sesimjeong were built to commemorate the learning and virtue of Nammyung after his death; Songgaekjeong would pass down the stories of Nammyung holding a banquet to see off Oh Geon; Myeonsangchon was the place where Oh Geon had an injury in the forehead, being drunk; and the valley of the Daewon Buddhist Temple and Jogaegok were the places where the big origin of truth would begin to flow.
      All of these attractions have profound connections to Nammyung's moral philosophy, enriching the meanings of Deoksandong in culture and history. These relics show the spiritual orientation of his moral philosophy and Joseon's moral philosophy directly, thus providing good content for experience and field study. It is thus needed to continue the work of understanding their meanings right and promoting them broadly so that they will not be forgott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조선시대 여러 학자들이 지리산 덕산동을 유람하고 남긴 시문을 통해 지리산 덕산동의 문화원형을 발굴하여 정립하고, 주요 명소에 대한 의미를 명확히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

      이 글은 조선시대 여러 학자들이 지리산 덕산동을 유람하고 남긴 시문을 통해 지리산 덕산동의 문화원형을 발굴하여 정립하고, 주요 명소에 대한 의미를 명확히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는데, 본 논문에서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지리산은 조선시대 유학자들에 의해 백두산에서 뻗어 내려 국토의 남단에 크고 넓게 웅거한 鎭山이라는 의미를 넘어, 우리나라의 중심이고 남쪽 지방의 祖宗으로 인식됨으로써 그 위상이 한층 격상되었다. 그런데다 조선 중기 도학자 南冥 曺植이 지리산 덕산동을 은거지로 택함으로써 도학자의 은거지로 자리를 잡았고, 남명 사후에는 도학의 원류가 흐르는 聖地로 인식되어 순례자들이 끊이질 않았다.
      지리산 덕산동의 문화원형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덕산동은 山天齋를 중심으로 한 南冥의 만년 은거지로 人道를 닦아 天道에 합하기를 구한 求道者의 大畜地이었다. 둘째, 덕산동은 德川書院이 건립된 후 남명의 학덕을 기리고 본받고자 하는 朝鮮 道學의 聖地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셋째, 덕산동 중에 大源寺와 肇開谷을 경유해 天王峯에 오르는 코스는 성리학자들에게 道學의 源流가 흘러나오는 곳으로 인식되어 본성을 찾아나서는 구도여행코스가 되었다. 이 세 가지 덕산동의 문화원형은 그 문화사적 의미가 매우 크다.
      덕산동의 주요 名所로는 도학의 세계로 들어간다는 의미로 南冥이 붙인 入德門, 상류에서 맑고 깨끗한 물이 흘러내려 갓끈을 씻을 수 있는 濯纓臺, 은자의 고사가 전해지는 叩馬汀과 首陽山, 남명이 만년에 도학을 완성한 山天齋, 남명 사후 남명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德川書院과 洗心亭, 남명이 문인 吳健을 전송한 고사가 전해지는 送客亭과 오건이 술에 취해 이마에 상처를 입었다는 고사가 전해지는 面傷村, 도의 큰 근원이 흘러나온다는 大源寺 계곡과 肇開谷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런 명소는 모두 남명의 도학과 깊은 연관성을 갖고 있어 덕산동의 문화역사적 의미를 풍부하게 해준다. 곧 이런 유적지는 남명의 도학, 조선 도학의 정신지향이 무엇인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의미가 있기 때문에 체험학습, 현장학습을 하는 데 좋은 콘텐츠를 제공해 줄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의미를 올바로 이해하고 널리 알리는 일이 지속되어 잊히지 않게 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학민문화사

      2 鄭載圭, "老柏軒集"

      3 朴慶家, "鶴陽集"

      4 金誠一, "鶴峯集"

      5 金善臣, "頭流全志"

      6 安鼎福, "順菴集"

      7 釋應允, "鏡巖集" 동국대학교출판부

      8 文鎭龜, "訥菴集"

      9 朴泰茂, "西溪集"

      10 安益濟, "西岡遺稿"

      1 "論語" 학민문화사

      2 鄭載圭, "老柏軒集"

      3 朴慶家, "鶴陽集"

      4 金誠一, "鶴峯集"

      5 金善臣, "頭流全志"

      6 安鼎福, "順菴集"

      7 釋應允, "鏡巖集" 동국대학교출판부

      8 文鎭龜, "訥菴集"

      9 朴泰茂, "西溪集"

      10 安益濟, "西岡遺稿"

      11 崔琡民, "溪南集"

      12 李東白, "淸灘集"

      13 李佑贇, "月浦集"

      14 李鉉德, "晶山集"

      15 朴致馥, "晩醒集"

      16 成汝信, "晉陽誌"

      17 李 瀷, "星湖全集"

      18 李 瀷, "星湖僿說"

      19 曺 鎔, "惺溪集"

      20 河禹善, "德川師友淵源錄"

      21 金基鎔, "幾軒集"

      22 鄭鍾和, "希齋集"

      23 李震相, "寒洲集"

      24 宋時烈, "宋子大全"

      25 "孟子" 학민문화사

      26 "周易" 학민문화사

      27 許 愈, "后山集"

      28 河 溍, "台溪集"

      29 "古文眞寶" 학민문화사

      30 李道黙, "南川集"

      31 曺 植, "南冥集"

      32 郭鍾錫, "俛宇集"

      33 安致權, "乃翁遺稿"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5-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남명학연구소 -> 경남문화연구원
      영문명 : The Nammyonghak Study Institute -> Institute of Gyeongnam Cul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 0.98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