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묵(1929〜2009)은 1960년대 동시단에서 활발하게 활동한 작가이다. ‘동시인’ 동인으로 1967년 문협의 아동문학분과위원장을 역임하였고 ‘본격동시’ 운동 등 동시의 대전환에 앞장섰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12727
진선희 (대구교육대학교)
2022
Korean
정상묵 ; 동시 ; 1960년대 ; 동화시 ; 본격동시 ; 동시인 동인 ; 동심 ; Jung Sang-Muk ; Children’s Poem ; Fairy Tale Poem ; 'Bongyeokdongsi' ; 「Dongsi-in」 coterie poetry ; Children’s minds.
KCI등재
학술저널
195-250(5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정상묵(1929〜2009)은 1960년대 동시단에서 활발하게 활동한 작가이다. ‘동시인’ 동인으로 1967년 문협의 아동문학분과위원장을 역임하였고 ‘본격동시’ 운동 등 동시의 대전환에 앞장섰던 ...
정상묵(1929〜2009)은 1960년대 동시단에서 활발하게 활동한 작가이다. ‘동시인’ 동인으로 1967년 문협의 아동문학분과위원장을 역임하였고 ‘본격동시’ 운동 등 동시의 대전환에 앞장섰던 동시인이다.
그의 동시는 아기를 중심으로 가족의 삶을 그린 가족의 시공간, 자연의 아름다움을 그린 서경적 동심 세계, 약자에 대한 측은지심과 꿈, 거울에 비치는 동심 세계로 나눠 볼 수 있다.
형식 및 표현 특징은 1960년대 동시의 대전환에 앞장섰던 그의 활동 이력을 그대로 보여준다. 내재율의 완전한 실현, 동화시 실험, 이미지의 병치에 의한 시적 기능의 확대, 시어 사용의 자유로움이 잘 드러난다.
동시에 형상화된 시적화자는 어린이와 전달자로 나눠진다. 어린이 시적화자는 ‘나’의 고백체 목소리, 가족이나 친구를 호명하는 목소리, 어린이 말투와 의성의태어의 반복적 사용에서 형상화되었다. 전달자 시적화자는 기본적으로 성인의 목소리와 전지적인 화자의 목소리로 그의 동심관을 보여준다. 그에게 동심이란 반드시 실제 어린이의 마음을 의미한 것이 아니다. 성인의 마음속 동심과 자연과 우주만물을 바라보는 전일체적 세계관에서 발견할 수 있는 동심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철, "한국현대아동문학사" 일지사 1978
2 유경환, "한국현대동시론" 배영사 1979
3 임인수, "한국창착아동문학전집" 우성도서 1981
4 이원수, "한국아동문학선집-1·2학년" 교학사 1964
5 한국문인협회아동문학분과회, "한국아동문학선집 5월에 뜬 태양" 배영사 1970
6 원종찬, "한국아동문학사 서술방법론 연구―이재철 이후의 모색"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2) : 151-178, 2018
7 이원수, "한국소년소설선집-하" 교학사 1964
8 신현득, "한국동시사연구-창작동요성장기와 창작동요쇠퇴기를 중심으로" 단국대국어국문학과 18 : 2002
9 박경용, "플라스크 속의 형성-1960년대의 동시" 16 : 1968
10 "카톨릭소년, 1962년 5월호, 1964년 6월호, 1964년 7월호, 1964년 9월호, 1966년 1월호, 1967년 6월호"
1 이재철, "한국현대아동문학사" 일지사 1978
2 유경환, "한국현대동시론" 배영사 1979
3 임인수, "한국창착아동문학전집" 우성도서 1981
4 이원수, "한국아동문학선집-1·2학년" 교학사 1964
5 한국문인협회아동문학분과회, "한국아동문학선집 5월에 뜬 태양" 배영사 1970
6 원종찬, "한국아동문학사 서술방법론 연구―이재철 이후의 모색"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2) : 151-178, 2018
7 이원수, "한국소년소설선집-하" 교학사 1964
8 신현득, "한국동시사연구-창작동요성장기와 창작동요쇠퇴기를 중심으로" 단국대국어국문학과 18 : 2002
9 박경용, "플라스크 속의 형성-1960년대의 동시" 16 : 1968
10 "카톨릭소년, 1962년 5월호, 1964년 6월호, 1964년 7월호, 1964년 9월호, 1966년 1월호, 1967년 6월호"
11 임인수, "종아 다시 울려라" 교학사 1964
12 "정재영(정상묵의 맏딸)이 소지한 유품(주민등록증 외 다수)"
13 "전남일보(1967년 6월 25일)"
14 이주영, "이오덕 어린이문학론 연구 : 어린이문학에 대한 논쟁을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0
15 김동리, "월간문학 2월호"
16 "월간 횃불 창간호"
17 "어깨동무 1968년 10월호"
18 한국문인협회아동문학분과위원회, "아동문학연간집 푸른 동산" 1964
19 한국문인협회아동문학분과위원회, "아동문학연간집 꿈꾸는 나무" 1965
20 이재철, "아동문학개론" 서문당 1983
21 한국아동문학회, "아동문학 제3집" 장학출판사 1972
22 "아동문학 제1집, 제4집, 제6집, 제8집, 제9집, 제10집, 제11집, 제12집,14집"
23 동시인동인회, "숲속의 별"
24 "새소년 1965년 4월호, 1966년 10월호"
25 "새농민 4월호"
26 "새교육 14권 5호"
27 대한교련공제조합새교실출판실, "새교실 12월호(통권138호)"
28 정재걸, "복기초의 의미에 대한 일 고찰" 동양사회사상학회 (11) : 35-58, 2005
29 사단법인대구사회문화복지원부설 대구사회문화대학, "문화대학 제7호"
30 한국문인협회, "문협회보 제5집"
31 "마음의 美" 90-, 1962
32 동시인동인회, "동시인"
33 "단편소설 <막막(寞寞)>"
34 "강소천선생추모작품집 《봄동산 꽃동산》-동시동극편"
35 "靑脈 27호"
36 김유진, "‘본격동시’ 담론 연구" 인하대학교 2015
37 정규웅, "60년대 문단 이야기-글동네에서 생긴 일" 문학세계사 1999
38 장영미, "1960년대 아동문학 장(場)의 형성과 상업적 재편의 상관성 연구 - 전집‧선집을 중심으로" 동화와번역연구소 (35) : 303-324, 2018
39 김유진, "1960년대 동시의 형식 실험"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8) : 85-113, 2021
40 진선희, "1950년대 ≪소년세계≫지 수록 동시 연구" 한국아동문학학회 (29) : 183-215, 2015
41 이충일, "1950~1960년대 아동문학장의 형성과정 연구" 단국대학교 2014
김미혜 동시 연구, 호명된 생명의 의미 -‘지속’ 개념을 중심으로-
동화로 수용된『요재이지』-한·일「복숭아 도둑질(偷桃)」편의 번역을 중심으로-
김요섭의 동화에 나타난 구조적 특성 연구 -「달 뜰 무렵」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