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노인의 사회적 접촉 빈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병렬잠재성장모형의 적용 =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contact frequency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A Parallel Latent Growth Modeling Approa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0890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traindividual variation in depression in the elderly and changes in family and non-family social contact frequency as potential determinants of this variation from a longitudinal perspective. Data from the 2nd through 8th wave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which were collected from individuals aged 65 years and older, were utilized, and a total of 2,984 individuals were included. The research questions were: first, to identify the changes in depression and family and non-family contact frequency over time, and second, to identify the pathways through which family contact frequency and non-family contact frequency influence depression in the elder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showed that among the three variables, the frequency of non-family contact decreased linearly with elderly depression, and the frequency of family contact increased linearly. Second, the parallel latent growth model was appli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amily and non-family contact on elderly depression,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family and non-family contact at the initial time point influenced the initial elderly depression.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change in non-family contact frequency affected the amount of change in elderly depression, but the initial level and the rate of change in family contact frequency did not affect the amount of change in elderly depress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initial level of family·non-family contact frequency, as well as continuous observation of non-family contact frequency and appropriate intervention to prevent elderly depression that can lead to severe depression in the long run.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Key words: Elderly Depression, Social Contact Frequency, Parallel Latent Growth Models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traindividual variation in depression in the elderly and changes in family and non-family social contact frequency as potential determinants of this variation from a longitudinal perspective. Data from the 2nd th...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traindividual variation in depression in the elderly and changes in family and non-family social contact frequency as potential determinants of this variation from a longitudinal perspective. Data from the 2nd through 8th wave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which were collected from individuals aged 65 years and older, were utilized, and a total of 2,984 individuals were included. The research questions were: first, to identify the changes in depression and family and non-family contact frequency over time, and second, to identify the pathways through which family contact frequency and non-family contact frequency influence depression in the elder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showed that among the three variables, the frequency of non-family contact decreased linearly with elderly depression, and the frequency of family contact increased linearly. Second, the parallel latent growth model was appli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amily and non-family contact on elderly depression,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family and non-family contact at the initial time point influenced the initial elderly depression.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change in non-family contact frequency affected the amount of change in elderly depression, but the initial level and the rate of change in family contact frequency did not affect the amount of change in elderly depress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initial level of family·non-family contact frequency, as well as continuous observation of non-family contact frequency and appropriate intervention to prevent elderly depression that can lead to severe depression in the long run.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Key words: Elderly Depression, Social Contact Frequency, Parallel Latent Growth Mode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 우울에 대한 개인 내 변화와 이러한 변화의 잠재적인 요인으로 가족·비가족 접촉 빈도의 변화를 종단적 관점에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수집된 2~8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총 2984명이 포함되었다. 연구 문제는 첫째, 시간의 변화에 따른 노인 우울, 가족·비가족 접촉 빈도의 변화양상을 확인하는 것이고, 둘째, 이러한 변화 과정에서 가족 접촉 빈도와 비가족 접촉 빈도가 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규명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성장모형분석 결과 세 변인 중 노인 우울과 비가족 접촉 빈도는 선형으로 감소하고, 가족 접촉 빈도는 선형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병렬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가족·비가족 접촉 빈도와 노인 우울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초기 시점의 가족·비가족 접촉 빈도는 초기 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쳤다. 한편 비가족 접촉 빈도의 변화량은 노인 우울의 변화량에 영향을 주었으나, 가족 접촉 빈도의 초기치와 변화율은 노인 우울 변화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따라서 장기적 관점에서 심각한 우울로 이어질 수 있는 노인 우울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초기 가족·비가족 접촉 빈도의 수준을 높이는 것은 물론 비가족 접촉 빈도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 및 그에 따른 적절한 개입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그 외에도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및 제한점을 함께 제시하였다.

      주요어 : 노인 우울, 사회적 접촉 빈도, 병렬잠재성장모형

      번역하기

      본 연구는 노인 우울에 대한 개인 내 변화와 이러한 변화의 잠재적인 요인으로 가족·비가족 접촉 빈도의 변화를 종단적 관점에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

      본 연구는 노인 우울에 대한 개인 내 변화와 이러한 변화의 잠재적인 요인으로 가족·비가족 접촉 빈도의 변화를 종단적 관점에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수집된 2~8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총 2984명이 포함되었다. 연구 문제는 첫째, 시간의 변화에 따른 노인 우울, 가족·비가족 접촉 빈도의 변화양상을 확인하는 것이고, 둘째, 이러한 변화 과정에서 가족 접촉 빈도와 비가족 접촉 빈도가 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규명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성장모형분석 결과 세 변인 중 노인 우울과 비가족 접촉 빈도는 선형으로 감소하고, 가족 접촉 빈도는 선형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병렬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가족·비가족 접촉 빈도와 노인 우울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초기 시점의 가족·비가족 접촉 빈도는 초기 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쳤다. 한편 비가족 접촉 빈도의 변화량은 노인 우울의 변화량에 영향을 주었으나, 가족 접촉 빈도의 초기치와 변화율은 노인 우울 변화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따라서 장기적 관점에서 심각한 우울로 이어질 수 있는 노인 우울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초기 가족·비가족 접촉 빈도의 수준을 높이는 것은 물론 비가족 접촉 빈도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 및 그에 따른 적절한 개입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그 외에도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및 제한점을 함께 제시하였다.

      주요어 : 노인 우울, 사회적 접촉 빈도, 병렬잠재성장모형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II. 이론적 배경 5
      • 1. 노인 우울의 시간적 변화 5
      • 2. 사회적 접촉 빈도의 시간적 변화 7
      • 3. 사회적 접촉 빈도의 구분 : 가족과 비가족 9
      • I. 서 론 1
      • II. 이론적 배경 5
      • 1. 노인 우울의 시간적 변화 5
      • 2. 사회적 접촉 빈도의 시간적 변화 7
      • 3. 사회적 접촉 빈도의 구분 : 가족과 비가족 9
      • 4. 가족과 비가족의 접촉 빈도와 노인 우울 간의 관계 10
      • III. 연구 방법 및 결과 12
      • 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12
      • 2. 변수의 정의 및 측정 13
      • 1) 노인 우울 13
      • 2) 가족 접촉 빈도 14
      • 3) 비가족 접촉 빈도 14
      • 4) 기타 영향을 주는 요인 14
      • 3. 자료 분석 15
      • 4. 연구 결과 17
      • 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17
      • 2) 변인별 변화 모형 추정 19
      • 3) 변인간 분석 모형 21
      • IV. 논의 23
      • 참고문헌 31
      • Abstract 4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