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중평형 상태의 젠더 이데올로기와 부부관계 만족도의 학력별 차이 = Gender Ideology in Multiple Equilibria and Educational Differences of Marital Relationship’s Satisfa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080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the multiple equilibrium model, this study examines three topics about how the difference in the couples’ perception of woman’s care role and work role affects the wife’s marital satisfaction, how this effect of difference in the couple...

      Based on the multiple equilibrium model, this study examines three topics about how the difference in the couples’ perception of woman’s care role and work role affects the wife’s marital satisfaction, how this effect of difference in the couples’ attitudes varies depending on wife’s own gender role attitudes, and whether these effects differ according to wife’s educational background. The husband's attitude toward woman’s work role is more important than that toward woman's care role in the wife’s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decreasing effect of women's marital satisfaction attributed to couple's recognition gap about woman's work role is more stronger among the egalitarian women. For the women who have contradictory gender ideologies such as the neo-traditional attitude and the flexibly egalitarian attitude, the attitude toward motherhood ideology determines the satisfactions of marital relationships. And the instability of marital relationships caused by the difference of couples’ recognition about woman’s economic activities may arise from egalitarian females with a high school diploma, rather than highly educated women who are attracting attention as the leading forces of the gender revolu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가족 동학에 대한 젠더 이데올로기의 영향에 주목하는 다중평형모형에 따라, 여성의 돌봄역할과 일역할에 대한 성역할 태도와 남편과의 인식 차이가 부부관계 만족도에 어떻게 ...

      이 연구는 가족 동학에 대한 젠더 이데올로기의 영향에 주목하는 다중평형모형에 따라, 여성의 돌봄역할과 일역할에 대한 성역할 태도와 남편과의 인식 차이가 부부관계 만족도에 어떻게 작용하고, 부부 태도 차이의 영향이 여성 자신의 성역할 태도에 따라 어떻게 다르며, 이 효과가 여성 학력별로 차이가 있는지 세 가지 조절효과모형으로 살펴봤다.
      여성의 부부관계 만족도에는 돌봄 역할보다 일역할에 대한 남편의 태도가 더 중요했는데, 특히 성평등한 여성에서 여성 일에 대한 부부의 인식차가 여성의 부부관계 만족도를 크게 낮추었다. 반면 신전통적 태도나 유연하게 평등한 태도같이 모순적인 젠더 이데올로기를 지닌 여성에서는 모성 이데올로기에 대한 태도가 부부관계를 결정하였다. 또 대졸 여성은 여성 일역할에 대한 부부의 인식차가 크더라도 자신의 성역할 태도와 상관없이 부부관계 만족도가 높고, 오히려 고졸 여성이 여성 일에 대한 부부의 태도 차이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경제활동에 대한 남편과의 인식차로 인해 발생하는 부부갈등과 부부관계의 불안정성은 성혁명의 선도 세력으로 주목받는 고학력 여성이 아닌 고졸 여성, 특히 성역할 태도가 성평등한 고졸 여성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었다.
      이처럼 이 연구는 학력 동질혼, 여성 소득 비중 등을 통제한 후에도 부부관계에 있어 여성의 일에 대한 부부의 태도 차이가 중요하다는 점과, 이러한 부부의 젠더 이데올로기 영향이 학력 계층별로 다르다는 점을 밝힌 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민자, "한국가족의 부부관계" 사회문제연구소 1994

      2 김수정, "한국 맞벌이 가구에서 가사노동과 경제적 의존의 관계:교환 혹은 젠더보상?" 한국사회학회 41 (41): 147-174, 2007

      3 노익상, "한국 도시 기혼남녀의 배우자 만족도 연구 : 개인적, 환경적, 상호작용 요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4 문지선, "한국 기혼여성의 경제활동과 가족 관계에 관한 연구: 부부의 성역할 태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6

      5 김인지, "취학 전 자녀를 둔 어머니의 모성 이데올로기와 부모역할 만족도" 한국가족관계학회 10 (10): 1-25, 2005

      6 강이수, "취업 여성의 ‘남편’과 일-가족 문제" 여성학연구소 4 (4): 43-87, 2011

      7 백경흔, "중산층의 장시간 보육 이탈로 인한 성평등 지연: 학습중심 모성과 아동기의 형성" 한국여성학회 33 (33): 157-200, 2017

      8 박혜경, "중산층 기혼여성의 경험 세계를 통해 본 가사노동의 성격과 가사노동 가치인식" 한국여성연구소 8 (8): 159-196, 2008

      9 김호경, "전업주부와 취업주부의 결혼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1

      10 박기남, "전문직 여성의 노동경험과 돌봄의 젠더화: 198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7 (7): 83-124, 2007

      1 박민자, "한국가족의 부부관계" 사회문제연구소 1994

      2 김수정, "한국 맞벌이 가구에서 가사노동과 경제적 의존의 관계:교환 혹은 젠더보상?" 한국사회학회 41 (41): 147-174, 2007

      3 노익상, "한국 도시 기혼남녀의 배우자 만족도 연구 : 개인적, 환경적, 상호작용 요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4 문지선, "한국 기혼여성의 경제활동과 가족 관계에 관한 연구: 부부의 성역할 태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6

      5 김인지, "취학 전 자녀를 둔 어머니의 모성 이데올로기와 부모역할 만족도" 한국가족관계학회 10 (10): 1-25, 2005

      6 강이수, "취업 여성의 ‘남편’과 일-가족 문제" 여성학연구소 4 (4): 43-87, 2011

      7 백경흔, "중산층의 장시간 보육 이탈로 인한 성평등 지연: 학습중심 모성과 아동기의 형성" 한국여성학회 33 (33): 157-200, 2017

      8 박혜경, "중산층 기혼여성의 경험 세계를 통해 본 가사노동의 성격과 가사노동 가치인식" 한국여성연구소 8 (8): 159-196, 2008

      9 김호경, "전업주부와 취업주부의 결혼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1

      10 박기남, "전문직 여성의 노동경험과 돌봄의 젠더화: 198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7 (7): 83-124, 2007

      11 이미숙, "자녀의 성, 연령, 수와 주부의 성역할태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3 (3): 151-170, 1985

      12 원숙연, "이질동형? 동질이형? 한국-미국-스웨덴의 성노동에 대한 고정관념적 인식 구조와 함의" 정부학연구소 21 (21): 171-199, 2015

      13 임인숙, "유급노동과 무급 가사노동의 질이 성인 남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학회 46 (46): 176-202, 2012

      14 최선희, "우리나라 부부갈등과 부부관계 유형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38 (38): 284-308, 1999

      15 금재호, "외환위기 이후 여성 노동시장의 변화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11

      16 한인영, "여성의 성역할인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여성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16 (16): 477-498, 2011

      17 오나 도나스, "엄마됨을 후회함- 모성애 논란과 출산 결정권에 대한 논쟁의 문을 열다" 반니 2016

      18 문지선, "아이와 남편에 의존적인 여성의 삶 - 경제활동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역사학회 19 (19): 127-166, 2016

      19 애너벨 크랩, "아내가뭄" 동양북스 2016

      20 강주현, "성평등체제하의 한국 여성에 대한 이중규범 분석: 여성의 성역할과 사회활동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 19 (19): 173-198, 2009

      21 박태온, "성역할태도와 결혼만족도간의 관계- 도시주부를 중심으로" 1 (1): 139-150, 1983

      22 이성희, "성역할태도에 따른 부부간 가족역할구조 분석: 서울시 기혼 남, 여를 대상으로" 7 (7): 109-125, 1989

      23 윤경자, "성역할태도가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15 (15): 221-235, 1997

      24 李英美, "성역할 정체감, 사회적 지지 및 일상적인 스트레스가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全北大學校 大學院 1995

      25 원숙연, "성역할 인식의 영향요인과 정책적 함의 — 모성 및 남성부양자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17 (17): 269-311, 2017

      26 김소정, "성역할 고정관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성인기 인구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4 (44): 89-111, 2013

      27 정승혜, "부부의 성역할태도에 따른 결혼만족도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8

      28 문지선, "부부의 성역할 태도로 본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한국사회학회 51 (51): 191-232, 2017

      29 鄭芝叔, "부부의 성역할 태도, 의사결정 및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大邱大學校 敎育大學院 1994

      30 강은령, "부부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취업주부/비취업주부를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9

      31 이여봉, "부부역할과 여성의 결혼만족도 : 연령범주별 분석" 한국인구학회 33 (33): 103-131, 2010

      32 주수산나, "부부관계 만족도의 종단적 상호영향: 노년기 부부를 대상으로" 한국가족학회 25 (25): 91-119, 2013

      33 이여봉, "부부간 평등 및 형평인식에 관한 연구" 11 (11): 47-78, 1999

      34 김향련, "부부간 상호지각의 일치도와 결혼만족간의 관계"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1 (21): 89-105, 2007

      35 손정연,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경제적·심리적·관계적 특성이 결혼만족도 및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34): 185-216, 2014

      36 안현숙, "배우자 직업 유무가 부부공평성, 부부갈등대처방식, 의사소통기술, 결혼만족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부부와 국제결혼부부의 비교-" 한국벤처창업학회 7 (7): 215-225, 2012

      37 로널드 잉글하트, "민주주의는 어떻게 오는가" 김영사 2011

      38 R.벨라, "미국인의 사고와 관습- 개인주의와 책임감" 나남 2001

      39 홍찬숙, "동북아 가족주의 맥락에서 본 한국 여성 개인화의 세 시나리오" 비판사회학회 (113) : 147-172, 2017

      40 안옥희, "도시주부의 성역할 태도와 가정관리에 대한 가치의식이 가사노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31 (31): 1-21, 1993

      41 아드리엔느 리치, "더 이상 어머니는 없다- 모성의 신화에 대한 반성" 평민사 2002

      42 이재경, "노동자계급 여성의 어머니 노릇(mothering)의 구성과 갈등: 경인지역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12 (12): 82-117, 2004

      43 요스타 에스핑-안데르센, "끝나지 않은 혁명- 성 역할의 혁명, 고령화에 대응하는 복지국가의 도전" 나눔의 집 2014

      44 조주은, "기획된 가족" 서해문집 2013

      45 이재경, "기혼 취업 여성의 일가족생활 변화와 한계: 계층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2 (22): 41-79, 2006

      46 통계청, "교육수준별 출생・사망・혼인・이혼 분석: 2000-2015년, 2017.5.23."

      47 준 카르본, "결혼시장- 계급, 젠더, 불평등 그리고 결혼의 사회학" 시대의창 2016

      48 윤경자, "결혼만족도와 결혼안정성: 두 이론이 비교" 35 (35): 31-46, 1997

      49 전춘애, "결혼만족도와 결혼안정성 간의 관계에 관한 일 연구" 31 (31): 81-96, 1993

      50 오찬호, "결혼과 육아의 사회학" 휴머니스트 2018

      51 최유경, "결혼 초기 부부의 스트레스 인지와 대처방안이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52 허은, "개인화와 성별분업: 패널 자료를 이용한 가족형성기 여성의 성역할 태도 분석" 한국사회학회 51 (51): 47-78, 2017

      53 최규련, "가족학" 도서출판 하우 1999

      54 옥선화, "가족학" 도서출판 하우 1999

      55 데이비드 모건, "가족의 탐구- 가족실행의 새로운 접근" 이학사 2012

      56 조정문, "가족사회학- 현대사회에서 가족은 무엇인가" 아카넷 2007

      57 장미혜, "가족: 계급과 성별 불평등의 또 다른 영역: 중간계급과 노동자계급간 및 계급 내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1 (21): 105-146, 2005

      58 이여봉, "가족 안의 사회 사회 안의 가족" 양서원 2017

      59 황정미, "가족 가치관의 성별 차이와 그 함의" 2004

      60 Sayer, Liana C., "Women’s Economic Independence and the Probability of Divorce- A review and Reexamination" 21 (21): 906-943, 2000

      61 Wilcox, W. Bradford, "What’s Love Got To Do With It?-Equality, Equity, Commitment and Women’s Marital Quality" 84 (84): 1321-1345, 2006

      62 Salvini, Silvana, "Things Change: Women’s and Men’s Marital Disruption Dynamics in Italy during a Time of Social Transformations, 1970-2003" 24 (24): 145-173, 2011

      63 Cooper, Kristina, "The Relation of Sex-Role Self-Concept and Sex-Role Attitudes to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Personal Adjustment of Dual-Worker Couples with Preschool Children" 12 (12): 227-241, 1985

      64 Goldscheider, Frances, "The Gender Revolution: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Changing Family and Demographic Behavior" 41 (41): 207-239, 2015

      65 Hiller, Dana V., "The Division of Labor in Contemporary Marriage: Expectations, Perceptions, and Performance" 33 (33): 191-201, 1986

      66 Esping-Andersen, Gosta, "Re-theorizing Family Demographics" 41 (41): 1-31, 2015

      67 앤드류 F. 헤이즈, "Process macro를 이용한 매개분석 조절분석 및 조절된 매개분석" 신영사 2015

      68 Arpino, B., "How Do Changes in Gender Role Attitudes Towards Female Employment Influence Fertility? A Macro-Level Analysis" 0 (0): 1-13, 2015

      69 Yogev, Sara, "Happiness in Dual-Career Couples: Changing Research, Changing Values" 8 (8): 593-605, 1982

      70 Brinton, Mary, "Gender-Role Ideology, Labor Market Institutions, and Post-industrial Fertility" 42 (42): 405-433, 2016

      71 성문주, "Gender Role Attitudes and Determinants in The Early 21 Century in South Korea" 사회과학연구소 27 (27): 289-316, 2011

      72 Greenstein, Theodore N, "Gender Ideology, Marital Disruption, and the Employment of Married Women" 57 : 31-42, 1995

      73 Schoen, Robert, "Gender Competition and family change" 66 (66): 95-120, 2011

      74 Raymo, James M., "Educational Differences in Divorce in Japan" 28 (28): 177-206, 2012

      75 Park, Hyunjoon, "Educational Assortative Mating In South Korea: Trends 1930-1998" 23 : 103-127, 2005

      76 Yogev, Sara, "Do Professional Women Have Egalitarian Marital Relationships?" 865-871, 1981

      77 Mclanahan, Sara, "Diverging Destinies: How Children are Faring under the Second Demographic Transition" 41 (41): 601-627, 2004

      78 Esping-Andersen, Gosta, "Couple Specialization in Multiple Equilibria" 29 (29): 1280-1294, 2013

      79 Andrew F. Hayes, "A Tutorial on Testing, Visualizing, and Probing an Interaction Involving a Multicategorical Variable in Linear Regression Analysis" 11 (11): 1-30,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1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2 1.32 1.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5 1.58 1.768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