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의 낙태 선택권과 입법과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1365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우리사회의 심각한 사회문제중의 하나인 낙태에 관하여 여성의 시각에서 접근하여 현행 법규정들의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생명존중의 입장에서 볼 때 낙태는 살인으로 여겨지나, 여성의 재생산기능에 대한 여성의 자율성을 보장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낙태에 대한 결정권은 프라이버시 행사 권으로 여성에게 주어져야 한다. 피임선택 등 여성의 성적 자기결정권이 충분히 보장되지 못하고 있는 한국의 현실에서 최소한의 불가피한 경우에 한해서는 여성에게 낙태의 선택권이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사회에서 향후 낙태관련 입법과정을 논할 때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사항들로, 임신후 언제부터 태아를 생명체로 인정할 것인가의 시기문제로 임신후 12주정도의 초기낙태는 자유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후에는 적응사유에 따라 허용기간을 달리 적용하고, 낙태 시 배우자의 동의를 배제하고, 낙태관련 절차규정을 강화하며, 상담과정을 제도화하고, 미성년 낙태에 대해서는 특별규정을 두는 방안 등이다.
      번역하기

      오늘날 우리사회의 심각한 사회문제중의 하나인 낙태에 관하여 여성의 시각에서 접근하여 현행 법규정들의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생명존중의 입장에서 볼 때 낙태는 살인으로 여겨지나, 여...

      오늘날 우리사회의 심각한 사회문제중의 하나인 낙태에 관하여 여성의 시각에서 접근하여 현행 법규정들의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생명존중의 입장에서 볼 때 낙태는 살인으로 여겨지나, 여성의 재생산기능에 대한 여성의 자율성을 보장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낙태에 대한 결정권은 프라이버시 행사 권으로 여성에게 주어져야 한다. 피임선택 등 여성의 성적 자기결정권이 충분히 보장되지 못하고 있는 한국의 현실에서 최소한의 불가피한 경우에 한해서는 여성에게 낙태의 선택권이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사회에서 향후 낙태관련 입법과정을 논할 때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사항들로, 임신후 언제부터 태아를 생명체로 인정할 것인가의 시기문제로 임신후 12주정도의 초기낙태는 자유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후에는 적응사유에 따라 허용기간을 달리 적용하고, 낙태 시 배우자의 동의를 배제하고, 낙태관련 절차규정을 강화하며, 상담과정을 제도화하고, 미성년 낙태에 대해서는 특별규정을 두는 방안 등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blems of current legislative measures and regulations with induced abortion, one of the acute social problems in Korea, were approached from the women's perspectives. If we take the view point of respecting life, induced abortion can be considered as murder. But if we view it from the women's side trying to secure autonomy of reproduction, the decision on it should be given to a woman as a right to exercising her privacy.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Korean women most of whom have very limited rights on such sex-related matters as having sex, pregnancy, contraception, and delivery, the right for choosing induced abortion should be given to women at least when it is not avoidable. In this context, suggestions on the issues that must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process of dealing with the abortion-related legislation were presented. Suggested are to permit induced abortion within 12 weeks of early pregnancy by setting up a legal criterion for accepting a fetus as an independent life from that time, to allow additional period for choosing it depending on adaptative problems of pregnancy after then, to permit it without agreement of husband or male partner, to reinforce its procedures and regulations, to introduce public counseling systems for it, and to establish special measures for teenagers.
      번역하기

      The problems of current legislative measures and regulations with induced abortion, one of the acute social problems in Korea, were approached from the women's perspectives. If we take the view point of respecting life, induced abortion can be conside...

      The problems of current legislative measures and regulations with induced abortion, one of the acute social problems in Korea, were approached from the women's perspectives. If we take the view point of respecting life, induced abortion can be considered as murder. But if we view it from the women's side trying to secure autonomy of reproduction, the decision on it should be given to a woman as a right to exercising her privacy.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Korean women most of whom have very limited rights on such sex-related matters as having sex, pregnancy, contraception, and delivery, the right for choosing induced abortion should be given to women at least when it is not avoidable. In this context, suggestions on the issues that must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process of dealing with the abortion-related legislation were presented. Suggested are to permit induced abortion within 12 weeks of early pregnancy by setting up a legal criterion for accepting a fetus as an independent life from that time, to allow additional period for choosing it depending on adaptative problems of pregnancy after then, to permit it without agreement of husband or male partner, to reinforce its procedures and regulations, to introduce public counseling systems for it, and to establish special measures for teenag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왜 여성의 입장에서 낙태논의가 필요한가?
      • Ⅱ. 우리나라의 낙태관련 현황
      • Ⅲ. 낙태를 보는 시각
      • Ⅳ. 법규정에서의 해결방식
      • Ⅴ. 우리나라 낙태관련 법규정의 문제점
      • Ⅰ. 왜 여성의 입장에서 낙태논의가 필요한가?
      • Ⅱ. 우리나라의 낙태관련 현황
      • Ⅲ. 낙태를 보는 시각
      • Ⅳ. 법규정에서의 해결방식
      • Ⅴ. 우리나라 낙태관련 법규정의 문제점
      • Ⅵ. 낙태관련 입법과정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점들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