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를 살아가는 아이들은 조기교육의 열풍으로 경쟁의 시대에 살고 있다. 이로 인하여 아이들은 어렸을 때부터 경쟁 속에서 살아가며 조화와 공존 보다는 개인주의적 삶을 우선시하며 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91157
2010
Korean
051
학술저널
65-79(1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대를 살아가는 아이들은 조기교육의 열풍으로 경쟁의 시대에 살고 있다. 이로 인하여 아이들은 어렸을 때부터 경쟁 속에서 살아가며 조화와 공존 보다는 개인주의적 삶을 우선시하며 성...
현대를 살아가는 아이들은 조기교육의 열풍으로 경쟁의 시대에 살고 있다. 이로 인하여 아이들은 어렸을 때부터 경쟁 속에서 살아가며 조화와 공존 보다는 개인주의적 삶을 우선시하며 성장하고 있다. 이른바 근대의 많은 학자들이 지칭하는 신자유주의 패러다임 속에서 자아와 주관성, 그리고 그것에 기초한 개인주의로 자연과 동떨어진 채 ‘나’ 중심으로 자라가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아동중심,즉 인간중심에 기초한 교육과정은 20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어 생태중심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유아교육 분야에서도 자연 생태계 파괴와 인간성 상실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교육관으로써 생태학적 패러다임을 수용 하여 생태유아교육(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이 등장하게 되었으며,생태중심 유아교육의 방향 정립과 현장 적용에 관한 많은 연구 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생태유아교육은 인간은 자연의 일부에 지나지 않으며 모든 생명체는 본연의 가치를 지닌다는 생태지향적인 가치를 추구하고, 자연의 본성을 지닌 아동과 자연과의 신체적 교류와 정서적 교감을 통해 인간과 자연의 공생 및 상생의 지혜를 터득하고 실천하도록 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다시 말해 생태유아교육은 생명 중심교육,공동체 중심교육, 전인교육을 지향하며 생명의 원리에 근거해 현행 유아교육을 바꾸어가려는 움직임인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he purpose to supply the basic data for the direction of preliminary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and comparion of recognition on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between the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his study is the purpose to supply the basic data for the direction of preliminary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and comparion of recognition on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between the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to complete the subject about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not to complete.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awareness on the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method of research uses questionnaire. The data collected t-test and - test were analyzed through. The result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liminary teachers to complete the subject about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preliminary teachers not to complet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황규호, "지식교육이 추구하는 앎의 상태에 대한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1998
2 마경희,마경희, "자연친화적 유아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99
3 윤영미, "유치원 교사의 인식분석을 통한 생태 유아교육의 적용 방안 모색"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허미애, "유아교사의 이야기나누기에 대한 실천적 지식탐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5 권미량,권미량, "유아과학교육의 생태지향적 접근방안"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6 김은주, "예비유아교사의 생명 체험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2004
7 윤구병, "실험 학교 이야기" 보리 2014
8 김미정,임재택, "생태지향주의에 기초한 유아환경교육의 접근방안 모색" 부산유아교육학회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98
9 곽은복, "생태지향적 관점에 근거한 유아 환경교육의 전망"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14(1), 2005
10 최미현, "생태중심적 유아환경교육에 관한 기초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학회지, 7(1), 161-186, 2000
1 황규호, "지식교육이 추구하는 앎의 상태에 대한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1998
2 마경희,마경희, "자연친화적 유아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99
3 윤영미, "유치원 교사의 인식분석을 통한 생태 유아교육의 적용 방안 모색"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허미애, "유아교사의 이야기나누기에 대한 실천적 지식탐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5 권미량,권미량, "유아과학교육의 생태지향적 접근방안"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6 김은주, "예비유아교사의 생명 체험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2004
7 윤구병, "실험 학교 이야기" 보리 2014
8 김미정,임재택, "생태지향주의에 기초한 유아환경교육의 접근방안 모색" 부산유아교육학회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98
9 곽은복, "생태지향적 관점에 근거한 유아 환경교육의 전망"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14(1), 2005
10 최미현, "생태중심적 유아환경교육에 관한 기초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학회지, 7(1), 161-186, 2000
11 김성옥, "생태중심 유아교육에 대한 교수?원장 및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1999
12 박숙현,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조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3 김은주, "생태유아교육의 사상체계 및 실천원리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14 최양미, "생태유아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접근 방안 모색"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생태유아교육연구, 1(1), 2002
15 박주연,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천 연구" 부산대학교 생태유아교육연구, 5(2), 2006
16 장하나,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운영 실태" 원광대학교 2005
17 임재택, "생태유아교육과 유아교사의 자질 및 역할"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05
18 문혁준 ( Hyuk Jun Moon ),민광순 ( Koang Soon Min ),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원장,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과 요구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2006
19 박숙현,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 실태 및 조사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0 권미량 ( Mee Ryang Kweon ), "생태유아교사교육의 프로그램 모형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5
21 권미량 ( Mee Ryang Kweon ), "생태유아교사교육의 교육원리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2005
22 김점옥, "불교와 동학에서 나타난 생명사상의 유아교육적 함의"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23 Elbaz,F., "Research on teaching and teacher research: The issues that divide" 1991
24 Katz,L., "Mutiple perspectives on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programs"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