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본에서 지역정당이 활발하게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선거에서 지역정당의 도입과 제도화 문제를 일본의 사례에 주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일본에서 지역정당의 등장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590537
고선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4
Korean
local party ; local election ; electoral reform ; party law revision ; 일본지역정당 ; 확인단체제도 ; 오사카유신회 ; 정당요건 완화 ; 정당법 개정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9-68(30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일본에서 지역정당이 활발하게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선거에서 지역정당의 도입과 제도화 문제를 일본의 사례에 주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일본에서 지역정당의 등장과...
최근 일본에서 지역정당이 활발하게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선거에서 지역정당의 도입과 제도화 문제를 일본의 사례에 주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일본에서 지역정당의 등장과 활발한 정치활동이 가능한 제도적 요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52년부터 도입된 확이단체제도의 영향이 크다. 둘째, 지방의회의원선거제도가 단기비이양식투표(SNTV-MMD)를 채택한 대선구제도인데 이것은 지역정당이 출현하기 유리한 제도적 조건이 되고 있다. 일본의 지역정당은 1) 자치단체장(정치가) 중심의 정당, 대표적인 지역정당으로는 오사카지역의 오사카유신회, 나고야지역의 감세일본이다. 2) 쟁점추구형 정당, 동경생활자네트워크조직과 같은 조직이 대표적이다. 그리고 의원들로 구성된 3) 의원형 지역정당 등의 형태로 존재한다.
일본의 지역정당제도가 주는 시사점으로는 첫째, 선거에 따라 정치단체나 후보자 수를 차별적으로 적용하여 선거운동을 허용하고 있다는 점, 둘째, 비례대표선거에서 정치단체에게도 입후보를 허용하고 있는 점, 셋째, 정당법에 따라 정당을 설립하는 방법과 선거를 통해서 유권자들의 지지를 획득한 정치단체에게 정당의 지위를 부여하는 방안 등이다.
이는 한국의 선거에도 유용한 시사점이 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two main purposes. The first one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party in Japan. The second aim is to provide the institutional issues for local party in Korea. Osaka Restoration Association and Genzeinippon have got ...
This study has two main purposes. The first one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party in Japan. The second aim is to provide the institutional issues for local party in Korea. Osaka Restoration Association and Genzeinippon have got absolute support from the local community by showing the pledge of Osaka metropolis plan and residence tax reduction. Local party has two good conditions of the rising and new-born. One is Kakunindantai System, the other in SNTV-MMD in local electoral system. Both publicly elected mayors and municipal assemblies represent the will of local residents. But municipal assembly is functionally disordered. Local party has gained popular support from voters by criticizing those attempting to protect their vested interests.
Based on these findings in Japanese local party case, this paper discusses institutional issues for local party in Korea. Finally, we try to seek some meaningful and realizable policy alternatives and applicable solutions in Korea.
참고문헌 (Reference)
1 하세헌, "지방정당 대두와 일본 지방정치 활성화; 새로운 지방정당 대두의 배경과 그 영향" 현대일본학회 (35) : 61-92, 2012
2 고선규, "지방선거에서 유권자의 투표선택 기준과 매니페스토" 2014
3 정하윤, "정당체계와 지역정당: 캐나다 퀘벡연대의 사례" 2012
4 한의석, "오사카유신회: 위기의 일본과 변화의 열망" 2012
5 浅野一郎, "選挙制度と選挙" 信山社 2003
6 飯田健, "議員行動に対する政策要因の影響: 大阪維新の会の事例を通じて" 2012
7 總務省選擧部, "衆議院議院総選擧結果調" 總務省自治行政局 2013
8 河村和徳, "現代日本の地方選挙と住民意識" 慶應義塾大学出版会 2008
9 河村たかし, "減税論" 幻冬舎 2011
10 고선규, "日本地方選擧의 特性分析" 한국일본학회 (77) : 157-171, 2008
1 하세헌, "지방정당 대두와 일본 지방정치 활성화; 새로운 지방정당 대두의 배경과 그 영향" 현대일본학회 (35) : 61-92, 2012
2 고선규, "지방선거에서 유권자의 투표선택 기준과 매니페스토" 2014
3 정하윤, "정당체계와 지역정당: 캐나다 퀘벡연대의 사례" 2012
4 한의석, "오사카유신회: 위기의 일본과 변화의 열망" 2012
5 浅野一郎, "選挙制度と選挙" 信山社 2003
6 飯田健, "議員行動に対する政策要因の影響: 大阪維新の会の事例を通じて" 2012
7 總務省選擧部, "衆議院議院総選擧結果調" 總務省自治行政局 2013
8 河村和徳, "現代日本の地方選挙と住民意識" 慶應義塾大学出版会 2008
9 河村たかし, "減税論" 幻冬舎 2011
10 고선규, "日本地方選擧의 特性分析" 한국일본학회 (77) : 157-171, 2008
11 중앙선거관리위원회, "政黨法變遷狀況" 중앙선관리위원회 2000
12 舟羽功, "奈良県知事選挙と関西広域連合" 2012
13 砂原庸介, "大阪-大都市は国家を超えるか" 中公新書 2012
14 白鳥浩編, "地方選挙の政治学" ミネルヴァ書房 2012
15 河村和徳, "地域政党の新時代到来?" (616) : 10-20, 2011
16 河村和徳, "地域政党の勢力拡大と保守政治" 2013
17 森正, "地域政党と地方選挙-2011年愛知・名古屋トリプル選・名古屋市議選の分析" (58) : 125-145, 2013
18 村山祥榮, "地域政党" 光村推古書院 2013
19 總務省選擧部, "參議院議院通常選擧結果調" 總務省自治行政局 2013
20 橋本徹, "体制維新ー大阪都" 文春新書 2011
21 "ウィキペディア日本語版"
22 Kawamura, K., "The turnover of regime and LDP Keiretsu realignments" 53 (53): 35-54, 2011
23 Scheiner, E., "Democracy without competitionin Japan : Opposition failureina one party dominant stat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프랑스 지방선거제도와 2014년 지방선거 분석: 코뮌 기초선거 결선비례대표제의 정치적 효과
성폭력 법·정책을 통해 본 피해자의 권리-성폭력수사·재판시민감시단의 모니터링 결과분석을 중심으로-
'역사 바로 세우기' 정책의 필요성: 임진왜란에 대한 역사교과서의 오류와 진실을 바탕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2 | 0.32 | 0.589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