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밀기 및 당기기 요인의 관점을 바탕으로 중⋅고령자의 양극단 직업에 따른 조기은퇴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을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양극단의 직업을 관리자 및 (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밀기 및 당기기 요인의 관점을 바탕으로 중⋅고령자의 양극단 직업에 따른 조기은퇴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을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양극단의 직업을 관리자 및 (준)...
본 연구는 밀기 및 당기기 요인의 관점을 바탕으로 중⋅고령자의 양극단 직업에 따른 조기은퇴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을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양극단의 직업을 관리자 및 (준)전문가 집단과 판매서비스 종사자, 농업 및 어업숙련 종사자, 단순노무종사자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2차(2008)~8차(2020)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자료 내 만 60세 미만의응답자 중 조기은퇴자와 아닌 자를 선별하고, 무작위 추출을 통해 1,946명을 대상으로 독립표본 T-test, 카이제곱 검정, 그리고 직업별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관리자 및 (준)전문가에서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조기은퇴 가능성이 증가하였으나, 판매서비스, 농업 및 어업숙련, 단순노무자에서는 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둘째, 판매서비스, 농업 및 어업숙련, 단순노무자에서는 순자산이 낮을수록 오히려 조기은퇴를 결정할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령 근로자의 일자리 특성을반영한 정년제 보장제도 마련, 노동수요 장벽 제거 전략 활성화, 성별차이를 고려한 정책 제고, 기업⋅조직에서의 건강 증진⋅관리활동, 상병수당 도입이 필요하다는 제언을 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우혜경 ; 조영태, "한국인 중.고령자의 건강상태와 조기은퇴" 한국노년학회 33 (33): 397-418, 2013
2 유홍준 ; 김기헌 ; 정태인, "한국의 직업구조: 직업군별 인구집단의 변화추이" 한국인구학회 36 (36): 101-123, 2013
3 양춘, "한국의 계층구조의 변화 : 회고와 전망" (2) : 5-31, 1999
4 김수용 ; 김건우 ; 이정화 ; 최근호, "한국 중고령자의 은퇴 결정요인 분석: 은퇴 패턴과 소요 기간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2 (22): 527-536, 2021
5 서여주, "한국 중·고령자의 은퇴유형별 분류 규칙 도출에 관한종단적 연구" 한국직업능력연구원 18 (18): 125-149, 2015
6 김영남 ; 권호근 ; 정원균 ; 조영식 ; 최연희, "한국 성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인식과 객관적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9 (29): 250-260, 2005
7 전병유, "한국 노동시장의 양극화에 관한 연구 : 중간일자리 및 중간임금계층을 중심으로 / 논평 / 토론" 13 (13): 1-244, 2007
8 우석진, "한국 고령노동자의 부분은퇴와 노동시장 복귀" 한국노년학회 30 (30): 499-513, 2010
9 이성호 ; 민인식, "코로나19 재난 시기의 청년층 임금격차:상대적 분포분석 활용" 한국노동연구원 22 (22): 1-28, 2022
10 홍민기, "최상위 임금 비중의 장기 추세 (1958-2013)" 한국산업노동학회 21 (21): 191-220, 2015
1 우혜경 ; 조영태, "한국인 중.고령자의 건강상태와 조기은퇴" 한국노년학회 33 (33): 397-418, 2013
2 유홍준 ; 김기헌 ; 정태인, "한국의 직업구조: 직업군별 인구집단의 변화추이" 한국인구학회 36 (36): 101-123, 2013
3 양춘, "한국의 계층구조의 변화 : 회고와 전망" (2) : 5-31, 1999
4 김수용 ; 김건우 ; 이정화 ; 최근호, "한국 중고령자의 은퇴 결정요인 분석: 은퇴 패턴과 소요 기간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2 (22): 527-536, 2021
5 서여주, "한국 중·고령자의 은퇴유형별 분류 규칙 도출에 관한종단적 연구" 한국직업능력연구원 18 (18): 125-149, 2015
6 김영남 ; 권호근 ; 정원균 ; 조영식 ; 최연희, "한국 성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인식과 객관적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9 (29): 250-260, 2005
7 전병유, "한국 노동시장의 양극화에 관한 연구 : 중간일자리 및 중간임금계층을 중심으로 / 논평 / 토론" 13 (13): 1-244, 2007
8 우석진, "한국 고령노동자의 부분은퇴와 노동시장 복귀" 한국노년학회 30 (30): 499-513, 2010
9 이성호 ; 민인식, "코로나19 재난 시기의 청년층 임금격차:상대적 분포분석 활용" 한국노동연구원 22 (22): 1-28, 2022
10 홍민기, "최상위 임금 비중의 장기 추세 (1958-2013)" 한국산업노동학회 21 (21): 191-220, 2015
11 김예지 ; 전두배 ; 이희재, "직업의 교육수준, 숙련기간, 그리고 작업강도를 기준으로 분석한 직종별 적정임금" 한국문화융합학회 44 (44): 919-932, 2022
12 유홍준, "직업사회학"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6
13 서여주, "중년기 근로자의 은퇴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여가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경영연구소 36 (36): 73-105, 2018
14 손종칠, "중고령자 은퇴 및 은퇴 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10 (10): 125-153, 2010
15 장지연, "중고령자 노동시장 국제비교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8
16 김수완, "중고령자 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사회정책학적 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19 (19): 69-97, 2012
17 유향금, "중고령 장애인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웰니스학회 15 (15): 621-632, 2020
18 장지연, "중⋅고령자의 경력이동 : 대안적 은퇴과정으로서의 근로시간단축과 자영업창업의 비중" 37 (37): 95-121, 2003
19 정종우, "중․고령자의 건강 악화가 조기은퇴에 미치는 영향 연구-근로형태 별 비례위험모형 분석" 한국노년학회 37 (37): 871-891, 2017
20 안준홍 ; 이태, "중·고령층 근로자의 퇴직 후 노동시장 복귀 및 재취업 결정 요인에 대한 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45 (45): 71-108, 2022
21 홍백의 ; 김혜연, "중·고령자의 고용형태별 퇴직과정 유형과 그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291-319, 2010
22 김정원 ; 송경수, "조기퇴직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 전직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2 (22): 207-223, 2015
23 안종범 ; 정지운, "조기은퇴의 원인으로서 연금제도 관대성과 고령화" 한국경제학회 56 (56): 249-278, 2008
24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21~2025)"
25 조동훈, "정년제도와 중고령자 은퇴결정요인 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37 (37): 101-122, 2014
26 이정원, "정년은퇴 여부에 따른 경제적 격차와 정년은퇴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0) : 71-99, 2006
27 최은영 ; 주소현 ; 정순둘 ; 박난숙 ; 홍영란, "임금근로자의 가계자산과 소득이 은퇴시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보장학회 34 (34): 239-263, 2018
28 김유현, "임금격차의 현황과 제도적 원인: OECD 국가 패널 회귀분석" 경남발전 60-72, 2019
29 지상훈, "일자리의 인지적 숙련 수준과 이직" 55-72, 2020
30 이병훈 ; 신광영 ; 송리라, "일자리 질의 양극화 추이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노동연구원 16 (16): 37-64, 2016
31 남춘호, "일자리 양극화와 이동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35 (35): 29-69, 2011
32 전병유 ; 정세은, "일자리 분포의 변화와 동인에 관한 연구: 1993-2016년" 한국경제발전학회 23 (23): 31-58, 2017
33 강은나, "은퇴전환기 중고령자 특성과 삶의 만족변화" 236 : 1-8, 2014
34 김현정 ; 강은나 ; 배혜원, "은퇴전환기 남성 중고령자의 여가인식 유형화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6 (36): 192-226, 2016
35 배문조 ; 전귀연, "은퇴에 대한 태도 및 은퇴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가정학회 42 (42): 89-102, 2004
36 최은영, "은퇴시기와 가계자산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 21 9 (9): 1075-1088, 2018
37 박군석, "은퇴 노인의 주관안녕과 신체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은퇴전 직종에 따른 종단 연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5 (15): 291-318, 2009
38 박경하,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은퇴과정 유형화 연구 - 다양성과 불평등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2 (42): 291-327, 2011
39 이지영 ; 최현자, "우리나라 은퇴자의 은퇴자금 충분성과 영향요인:객관적 충분성과 주관적 인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9 (29): 215-230, 2009
40 이수진 ; 이해랑 ; 최현자 ; 김난도 ; 나종연, "우리나라 은퇴자의 은퇴 적응 유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Wang의 자원중심동적관점(Resource-Based Dynamic Perspective)을 중심으로" 한국FP학회 11 (11): 31-66, 2018
41 김연주 ; 차경욱, "완전은퇴와 부분은퇴 집단의 특성 비교 및 결정요인 분석"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4 (4): 59-79, 2008
42 김영옥,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추세와 과제" (1) : 106-107, 2006
43 서인주 ; 박정숙, "여성결혼이민자의 건강증진행위, 건강문제 및 주관적 건강상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369-382, 2013
44 신동균 ; 전병유, "소득 분포의 양극화 추이" 한국노동경제학회 28 (28): 77-109, 2005
45 최은영 ; 홍장표, "세대 간 직업계층의 이동성" 한국지역사회학회 22 (22): 51-70, 2014
46 백은영, "베이비부머의 은퇴 준비와 준비 유형 결정요인 분석" 한국사회보장학회 27 (27): 357-383, 2011
47 남순현 ; 김미혜, "베이비부머의 여가중심 라이프스타일, 은퇴준비 및 부부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34 (34): 183-203, 2014
48 서경현 ; 이경순,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사회비교 및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 한국건강심리학회 15 (15): 327-343, 2010
49 박재민, "대학 졸업생의 직업선택과 임금 수준" 한국기술혁신학회 14 (14): 22-39, 2011
50 남순현, "노인의 은퇴 후 삶의 적응에 대한 Glaser의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11 (11): 5-29, 2017
51 권승 ; 황규선, "노년층의 은퇴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성별, 거주지별 차이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4 (24): 69-90, 2004
52 이기주 ; 석재은, "국민연금제도가 중고령 남성 임금근로자의 은퇴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보장학회 27 (27): 55-88, 2011
53 민연경 ; 이명석, "국민연금제도가 은퇴시기와 은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고령화패널(KLoSA) 2차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3 (23): 33-57, 2013
54 원종욱 ; 이연희, "국민연금 보험료 인상과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가 은퇴시점 및 저축수준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167-190, 2018
55 김병섭 ; 최서희, "공정한 임금격차에 관한 인식연구" 한국행정연구소 57 (57): 1-29, 2019
56 권문일, "고령자의 은퇴 및 은퇴후 근로행태 결정요인" (8) : 41-67, 1996
57 Beehr, T. A., "Work and nonwork predictors of employees' retirement ages" 57 (57): 206-225, 2000
58 Kohli, M., "Time for retirement: Comparative studies of early exit from the labor for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59 Schmitt, 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ttitudes and the decision to retire" 24 (24): 795-802, 1981
60 Shultz, K. S., "The influence of push and pull factors on voluntary and involuntary early retirees' retirement decision and adjustment" 53 (53): 45-57, 1998
61 Tibbitts, C., "Retirement problems in American society" 59 (59): 301-308, 1954
62 Oakman, J., "Retirement intentions : what is the role of push factors in predicting retirement intentions?" 33 (33): 988-1008, 2013
63 Mitchell, O. S., "Retirement differences by industry and occupation" 28 (28): 545-551, 1988
64 R C Atchley, "Retirement as a Social Institution" Annual Reviews 8 (8): 263-287, 1982
65 Janet L. Barnes-Farrell, "Performance Appraisal and Feedback Programs" SAGE Publications, Inc. 154-176, 2003
66 Radl, J., "Labour market exit and social stratification in Western Europe : the effects of social class and gender on the timing of retirement" 29 (29): 654-668, 2013
67 Blau, D., "Labor Market Rigidities and the Employment Behavior of Older Workers" 64 (64): 464-484, 2011
68 Elovainio, M., "Job demands and job control as correlates of early retirement thoughts in Finnish social and health care employees" 19 (19): 84-92, 2005
69 De Preter, H.,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push and pull factors as predictors of retirement timing in Europe : A multilevel analysis" 27 (27): 299-307, 2013
70 Casey, B., "Incentives and disincentives to early and late retirement"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1998
71 Gee, S., "Happily ever after? An exploration of retirement expectations" 25 (25): 109-128, 1999
72 Van Oorschot, W., "Early retirement differences between Denmark and The Netherlands : A cross-national comparison of push and pull factors in two small European welfare states" 23 (23): 267-278, 2009
73 Adams, G. A., "Career-related variables and planned retirement age : An extension of Beehr's model" 55 (55): 221-235, 1999
74 Ruhm, C. J., "Bridge jobs and partial retirement" 8 (8): 482-501, 1990
75 Edge, C. E., "Barriers and facilitators to extended working lives in Europe : a gender focus" 38 (38): 1-27, 2017
76 Griffeth, R. W., "A meta-analysis of antecedents and correlates of employee turnover : Update, moderator tests, and research implications for the next millennium" 26 (26): 463-488, 2000
77 박경숙, "55 세 이상 고령자의 노동시장 이탈 과정; 은퇴의 유형화에 대한 함의" 3 (3): 103-140, 2003
78 차승은, "50대 남녀의 기대은퇴연령에 관한 연구:누가 빠른 은퇴를 원하는가?" 한국인구학회 35 (35): 133-157, 2012
79 통계청, "2021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
한국 노인이 일터에서 경험하는 연령차별과 우울 간 관계: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인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음주 행동과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이용자 폭력 피해 경험과 대처 행동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혼합연구방법을 이용한 접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