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ChatGPT 활용 ‘真是’의 감정 색채 정량적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640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ChatGPT를 활용하여 ‘真是’의 긍정, 부정, 중립적 감정 색채 비율 등 ‘真 是’의 감정 색채 양상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다량의 문장을 개별적으로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기에 ChatGPT를 활용한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총 1000 개의 문장 중에 긍정적 감정 색채가 531개로 53.1% 차지했고, 부정적 감정 색채는 451개로 45.1%로, 중립적 감정 색채는 18개로 1.8%로 나타났다. 이는 사전에 정의된부정적 감정 색채보다 긍정적 감정 색채로 사용된 것이 더 많이 나타났다. 『現代漢 語詞典(第7版)』와 『現代漢語八百詞(增訂本)』에 제시된 ‘真是’의 정의와는 매우 상반되는 결과임을 알 수 있다. 두 사전에는 ‘真是’를 동사와 관용어로 부정적 감정 색채를나타낸다고 정의하고 있다. 하지만 CCL 코퍼스를 통해 확인하면 ‘真是’는 이 두 가지 용법뿐만 아니라 부사로의 쓰임도 다수 발견된다. ‘真是’의 이러한 세 가지 쓰임을 통해 ‘真是’가 과거부터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언어의 변화 과정임을 볼 수 있었다. 언어는 사람들의 의사소통 도구이다. 따라서 사람들의 생활 환경이 변화하게 되면언어도 그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변화하고 전달되고 수용된다. 본래 실질적 의미를 가진 형태소 ‘真’과 ‘是’가 결합되면서, 문법적 기능을 하는 허사로 변화하고 이는 더나아가 관용어라는 화용적 담화 표지로 발전하는 과정 또한 언어의 자연스러운 진화단계라 볼 수 있는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ChatGPT를 활용하여 ‘真是’의 긍정, 부정, 중립적 감정 색채 비율 등 ‘真 是’의 감정 색채 양상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다량의 문장을 개별적으로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

      본고에서는 ChatGPT를 활용하여 ‘真是’의 긍정, 부정, 중립적 감정 색채 비율 등 ‘真 是’의 감정 색채 양상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다량의 문장을 개별적으로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기에 ChatGPT를 활용한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총 1000 개의 문장 중에 긍정적 감정 색채가 531개로 53.1% 차지했고, 부정적 감정 색채는 451개로 45.1%로, 중립적 감정 색채는 18개로 1.8%로 나타났다. 이는 사전에 정의된부정적 감정 색채보다 긍정적 감정 색채로 사용된 것이 더 많이 나타났다. 『現代漢 語詞典(第7版)』와 『現代漢語八百詞(增訂本)』에 제시된 ‘真是’의 정의와는 매우 상반되는 결과임을 알 수 있다. 두 사전에는 ‘真是’를 동사와 관용어로 부정적 감정 색채를나타낸다고 정의하고 있다. 하지만 CCL 코퍼스를 통해 확인하면 ‘真是’는 이 두 가지 용법뿐만 아니라 부사로의 쓰임도 다수 발견된다. ‘真是’의 이러한 세 가지 쓰임을 통해 ‘真是’가 과거부터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언어의 변화 과정임을 볼 수 있었다. 언어는 사람들의 의사소통 도구이다. 따라서 사람들의 생활 환경이 변화하게 되면언어도 그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변화하고 전달되고 수용된다. 본래 실질적 의미를 가진 형태소 ‘真’과 ‘是’가 결합되면서, 문법적 기능을 하는 허사로 변화하고 이는 더나아가 관용어라는 화용적 담화 표지로 발전하는 과정 또한 언어의 자연스러운 진화단계라 볼 수 있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utilized ChatGPT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emotional coloring of ‘真是’, including the ratio of its positive and negative, neutral usage. Due to the limitations in analyzing a large number of sentences individually, we employed a research method leveraging ChatGP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out of 1000 sentences, 531 (53.1%) exhibited positive emotional coloring, while 451 (45.1%) displayed negative emotional coloring, 18 (1.8%) exhibited positive emotional coloring. This indicates a higher frequency of positive emotional usage compared to the negative connotations suggested by dictionary definitions. This finding significantly contrasts with the definitions of ‘真是’presented in “The Contemporary Chinese Dictionary (7th Edition)” and “Eight Hundred Words in Modern Chinese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These dictionaries define ‘真是’ as a verb and idiom expressing negative emotions. However, examination of the CCL corpus reveals that ‘真是’ is not only used in these two ways but also frequently appears as an adverb. This raises the question of why these three usages are not fully defined in the aforementioned dictionaries. The three different uses of ‘真是’ can be viewed as part of a continuous and unified process of language evolution. Language is a tool for human communication, naturally evolving, transmitting, and adapting as people's living environments change. The combination of ‘真’ and ‘是’, originally words with substantial meanings, has evolved into a grammatical function word and further developed into a pragmatic discourse marker as an idiom. This process can be seen as a natural stage in the evolution of language.
      번역하기

      In this paper, we utilized ChatGPT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emotional coloring of ‘真是’, including the ratio of its positive and negative, neutral usage. Due to the limitations in analyzing a large number of sentences individually, we empl...

      In this paper, we utilized ChatGPT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emotional coloring of ‘真是’, including the ratio of its positive and negative, neutral usage. Due to the limitations in analyzing a large number of sentences individually, we employed a research method leveraging ChatGP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out of 1000 sentences, 531 (53.1%) exhibited positive emotional coloring, while 451 (45.1%) displayed negative emotional coloring, 18 (1.8%) exhibited positive emotional coloring. This indicates a higher frequency of positive emotional usage compared to the negative connotations suggested by dictionary definitions. This finding significantly contrasts with the definitions of ‘真是’presented in “The Contemporary Chinese Dictionary (7th Edition)” and “Eight Hundred Words in Modern Chinese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These dictionaries define ‘真是’ as a verb and idiom expressing negative emotions. However, examination of the CCL corpus reveals that ‘真是’ is not only used in these two ways but also frequently appears as an adverb. This raises the question of why these three usages are not fully defined in the aforementioned dictionaries. The three different uses of ‘真是’ can be viewed as part of a continuous and unified process of language evolution. Language is a tool for human communication, naturally evolving, transmitting, and adapting as people's living environments change. The combination of ‘真’ and ‘是’, originally words with substantial meanings, has evolved into a grammatical function word and further developed into a pragmatic discourse marker as an idiom. This process can be seen as a natural stage in the evolution of langu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현대중국어 ‘真是’의 사전적 의미와 그 쓰임
      • Ⅲ. ChatGPT 활용 ‘真是’의 감정 분석
      • Ⅳ. ‘真是’의 쓰임별 감정 색채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현대중국어 ‘真是’의 사전적 의미와 그 쓰임
      • Ⅲ. ChatGPT 활용 ‘真是’의 감정 분석
      • Ⅳ. ‘真是’의 쓰임별 감정 색채
      • Ⅴ. 결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