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구온난화에 따른 제주도 근해의 해수면 상승과 제주도 동부 지역 지하수의 염수대 변화 = Sea Level Rise Around Jeju Island due to Global Warming and Movement of Groundwater/seawater Interface in the Eastern Part of Jeju Isla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614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roundwater is the main water resource in Jeju Island because storage of surface water in reservoir is difficult in the island due to the permeable volcanic rocks. Because of this reason, the groundwater is expected to be very vulnerable to seawater i...

      Groundwater is the main water resource in Jeju Island because storage of surface water in reservoir is difficult in the island due to the permeable volcanic rocks. Because of this reason, the groundwater is expected to be very vulnerable to seawater intrusion by global warming, which will cause sea level rise. The long term change of mean sea level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Jeju Island was analyzed for this study. The sea level rise over the past 40 years was estimated to be of $2.16\;{\pm}\;1.71\;mm/yr$ around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the rising trend around the eastern part of Jeju Island was more remarkable. In addition, the groundwater/seawater intrusion monitoring network operated by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shows that seawater intrusion becomes more prominent during dry 4-5 months in a year when the sea level increases. This implies that the fresh groundwater lens in the eastern part of Jeju Island is influenced by the sea level rise due to global warming in the long term sca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제주도는 투수성이 좋은 화산암류로 형성이 되어 지표수의 발달이 빈약하므로 수원의 대부분을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발생하여 지하수로의 해...

      제주도는 투수성이 좋은 화산암류로 형성이 되어 지표수의 발달이 빈약하므로 수원의 대부분을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발생하여 지하수로의 해수 침투가 발생할 경우 매우 심각한 문제에 봉착할 수 있는 취약성을 지녔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 조위 관측 자료를 토대로 한반도 주변과 제주도 근해의 장기적인 해수면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최근 40년 간 한반도 주변에서 해수면이 $2.16\;{\pm}\;1.71\;mm/yr$의 속도로 뚜렷한 상승 양상을 보였으며 제주도 해안에서는 더욱 빠른 속도로 해수면이 상승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주특별자치도의 지하수/해수침투관측망의 지하수 관측 자료를 통하여 갈수기 중 해수면이 연주기적으로 상승하는 4-5개월 정도의 시기 동안 해수면의 상승에 따라 염수대가 육지 쪽으로 확장하여 침투하고 있는 것을 관측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제주도 동부 지역이 장기적으로 해수면의 상승에 따라 염수대가 육지 쪽으로 확장하여 침투하였음을 간접적으로 보였다. 이는 지구 온난화에 의한 해수면의 상승이 그 동안 관찰되어 왔던 제주도 동부 지역의 해수 침투현상의 한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erzberg, A., 44 : 815-819, 1901

      2 조광우, "지구온난화에따른한반도주변의해수면변화와그영향에관한연구 II"

      3 조광우, "지구온난화에따른한반도주변의해수면변화와그영향에관한연구 I"

      4 윤정수, "제주동부지역지하수의고염도요인에관한연구" 3 : 43-53, 1986

      5 최순학, "제주도지하수의수질특성" 25 (25): 230-238, 1989

      6 고기원, "제주도지하수부존특성과서귀포층의수문지질학적관련성" 부산대학교 1997

      7 최순학, "제주도의형성과지하수특성" 5 : 59-77, 1988

      8 제주도, "제주도수문지질및지하수자원종합조사(III)"

      9 제주도, "제주도수문지질및지하수자원종합조사(I)"

      10 오윤근, "제주도동부지역지하수의염수화와이화학적특성" 9 (9): 253-259, 2000

      1 Herzberg, A., 44 : 815-819, 1901

      2 조광우, "지구온난화에따른한반도주변의해수면변화와그영향에관한연구 II"

      3 조광우, "지구온난화에따른한반도주변의해수면변화와그영향에관한연구 I"

      4 윤정수, "제주동부지역지하수의고염도요인에관한연구" 3 : 43-53, 1986

      5 최순학, "제주도지하수의수질특성" 25 (25): 230-238, 1989

      6 고기원, "제주도지하수부존특성과서귀포층의수문지질학적관련성" 부산대학교 1997

      7 최순학, "제주도의형성과지하수특성" 5 : 59-77, 1988

      8 제주도, "제주도수문지질및지하수자원종합조사(III)"

      9 제주도, "제주도수문지질및지하수자원종합조사(I)"

      10 오윤근, "제주도동부지역지하수의염수화와이화학적특성" 9 (9): 253-259, 2000

      11 김지영, "제주도동부지역지하수의염수화에관한연구" 10 (10): 47-58, 2001

      12 최윤영, "제주도동부지역에서해수침입에의한지하수염분화에관한연구" 6 (6): 15-26, 1998

      13 이성숙, "제주도동부지역시추공내서귀포층과 “U”층의미화석특성" 20 (20): 51-52, 2004

      14 강주환, "서남해안의 해수면 상승" 대한토목학회 25 (25): 151-158, 2005

      15 하경자, "복합위성자료(Topex/Poseidon, Jason-1, ERS, Envisat)를 이용한 한반도 주변해역에서의 해수면 고도 변화와 해수면 온도의 상관성 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 22 (22): 519-531, 2006

      16 Gornitz, V, "Vertical crustal movement along the East Coast, North America, from historic and late Holocene sea level data" 178 : 127-150, 1990

      17 Barnett, T., "The estimates of ‘global’ sea level change: a problem of uniqueness" 89 : 7980-7988, 1984

      18 Trupin, A, "Spectroscopic analysis of global tide-gauge sea level data" 100 : 441-453, 1990

      19 KwangwooCho, "Sea-Level Trend at the Korean Coast" 한국환경과학회 11 (11): 1141-1147, 2002

      20 Warrick, R, "Sea level rise. In Climate Change: The IPCC Scientific Assess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8-281, 1990

      21 Fairbridge, R, "Sea level and the southern oscillation" 6 : 532-545, 1962

      22 최순학, "Sea Water Intrusion in the Coastal Area Of Cheju Volcanic Island, Korea" 24 (24): 319-327, 1991

      23 Lisitzin, E., "Sea Level Changes" Elsevier 1974

      24 Emery. K, "Relative sea levels from tide-gauge records" 77 (77): 6968-6972, 1980

      25 Aubrey, D, "Recent sea levels from tide gauge: problems and prognosis: in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Glaciers, ice Sheets and Sea-Level-Effect of a CO2-induced climatic change" U.S. Department of Energy, Carbon Dioxide Research Division 1985

      26 Braatz, B, "Recent relative sea-level change in eastern North America: in ; Sea-Level Fluctuation and Coastal Evolution" 41 : 29-46, 1987

      27 Barnett, T., "Recent changes in sea level and their possible causes" 5 : 15-38, 1983

      28 Thorarinsson, S, "Present glacier shrinkage and eustatic change in sea level" 22 : 131-159, 1940

      29 Pirazzloli, P., "Present and near-future global sea-level changes,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75 : 241-258, 1989

      30 Klige, R, "Oceanic level fluctuations in the history of the earth. In Sea and Oceanic Level Fluctuations for 15,000 years" Acad. Sc. USSR, Institute of Geography 11-22, 1982

      31 Ghyben, W., "Nota in verband met de voorgenomen putboring nabij Amsterdam" Tijdschrift van Let Koninklijk Inst. Van Ing. 1888

      32 Wahr,J., "New computation of global sea level rise from 1990 tide-guage data" 71 : 1267-, 1990

      33 Kuenen, P., "Marine Geology" Wiley 1950

      34 Pang, I, "Long-period sea level variations around Korea, Japan, and Russia" 27 (27): 733-753, 1994

      35 Peltier, W, "Influence of glacial isostatic adjustment on tide-gauge measurements of secular sea level change" 96 (96): 6779-6796, 1991

      36 Barnett, T., "Global sea level. In NCPO, Climate Variations Over the Past Century and the Greenhouse Effect. A report based on the First Climate Trends Workshop, 7-9 Sept" Nat’l Clim. Program Office/NOAA 1988

      37 Gornitz, V., "Global sea level trend in the past century" 215 : 1611-1614, 1982

      38 Peltier, W, "Global sea level rise and the greenhouse effect; might they be connected?" 244 : 806-810, 1989

      39 Douglas, B., "Global sea level rise" 96 : 6981-6992, 1991

      40 Gornitz, V, "Global sea level changes during the past century. In Sea Level Fluctuation and Coastal Evolution" 41 : 3-16, 1987

      41 Richter B, "Geochemical Techniques for Identifying Sources of Ground-Water Salinization" CRN Press Inc. 1993

      42 Sherif M, "Effect of climate change on sea water intrusion in coastal aquifers" 13 : 1277-1287, 1999

      43 IPCC,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ambridge Press 385-428, 2007

      44 Robin, G., "Changing the Sea Level, In: The Greenhouse Effect, Climatic Change and Ecosystems" John Wiley & Sons 323-359, 1986

      45 Guetenberg, B., "Change in sea level, post-glacial uplift and mobility on the earth’s interior" 52 : 721-772, 1941

      46 이진용, "An Interpretation of Changes in Groundwater Level and Electrical Conductivity in Monitoring Wells in Jeju Island" 한국지구과학회 28 (28): 925-935,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6 0.568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